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트위터에 나타난 미투(#Me Too)운동과 젠더 갈등이슈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4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트위터를 통해 확산된 미투(#me too)운동이 기존의 대중 미디어와의 관계, 이용자들이 주목한 아젠다가 갖는 의미파악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과 텍스트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매개...

      이 연구는 트위터를 통해 확산된 미투(#me too)운동이 기존의 대중 미디어와의 관계, 이용자들이 주목한 아젠다가 갖는 의미파악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과 텍스트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매개 중심성 값을 통해 주요 확산자의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웹툰 작가에 대한 성추행을 언급한 트윗과 미투 운동 관련 명예훼손 트윗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트윗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권은’과 ‘언제쯤이면’이 많이 등장해 여성 인권 보호를 위해 필요한 제도마련을 촉구하는 의견이 주요하게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분석 결과에서는 미투운동이 SNS를 통해 확산되면서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성폭력 피해를 알리고, 고발함으로써 디지털 공간이 젠더 갈등을 촉발시키거나 동참시키는 공론장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사건을 의제화하고 미투 운동을 ‘정치 공작’으로 폄하한 진보 논객을 비판하는등 미투운동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하는 실천적 장의 역할과 함께 대중 미디어와의 상호연동작용을 통해 복잡한 층위의 페미니즘 운동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the movements of ‘#MeToo’ and ‘#WithYou’ in Korea have spread via Twitter. In Korea, #MeToo movement was initially triggered by a female prosecutor who testified about her own sexual harassment case on JTBC, ...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the movements of ‘#MeToo’ and ‘#WithYou’ in Korea have spread via Twitter. In Korea, #MeToo movement was initially triggered by a female prosecutor who testified about her own sexual harassment case on JTBC, Jan 29, 2018. The news quickly spread to other news agencies and to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4,327 Twitter messages and main Twitter ID regarding the two key hashtags for over two months with accompanying text analysis on to ascertain the significance. The female celebrity’s confession sparked many Twitterian’s sympathy and support, leading them to openly criticize ge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ve social structur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most mentioned retweets on Twitter were “someday”, “MeToo”, ‘human rights’ and ‘when will it be (guaranteed)’. In short, Twitterians seemed to equate #MeToo as a “human rights” movement. Another noteworthy fact was that SNS, by enabling a controversial agenda such as #MeToo to be circulated, played a key role in diffusing the message. Finally, while SNS played a pivotal role in spreading the movement in social and political spheres, mainstream news media also helped by drawing more public attention to the m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 제기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1. 문제 제기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무늬, "혐오에 맞서는 혐오: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젠더 담론" 고려대학교 2016

      2 이종임, "해외 언론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명암" 2018 (2018): 60-66, 2018

      3 고영태, "페이스북 사용자 22억…유튜브와 위챗은?"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이희은,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20-157, 2018

      6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운동의 사회적 의미" (234) : 5-12, 2018

      7 구교형, "트윗 하나가 공권력을 변화…트위터 영향력 공유에 감사"

      8 최주영, "트위터에서 숙의적 토론이 의견의 확산과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예란, "진실의 레짐과 미디어" 한국방송공사 29 (29): 7-40, 2017

      10 김은희, "지금 여기의 미투운동, ‘다시, 위험한 상상력’을 불러내다" (38) : 29-55, 2018

      1 박무늬, "혐오에 맞서는 혐오: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젠더 담론" 고려대학교 2016

      2 이종임, "해외 언론에 나타난 미투운동의 명암" 2018 (2018): 60-66, 2018

      3 고영태, "페이스북 사용자 22억…유튜브와 위챗은?"

      4 정희진, "페미니즘의 도전" 교양인 2005

      5 이희은, "페미니즘 운동과 미디어 윤리: #미투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120-157, 2018

      6 이나영,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본 미투운동의 사회적 의미" (234) : 5-12, 2018

      7 구교형, "트윗 하나가 공권력을 변화…트위터 영향력 공유에 감사"

      8 최주영, "트위터에서 숙의적 토론이 의견의 확산과 상호작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9 김예란, "진실의 레짐과 미디어" 한국방송공사 29 (29): 7-40, 2017

      10 김은희, "지금 여기의 미투운동, ‘다시, 위험한 상상력’을 불러내다" (38) : 29-55, 2018

      11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1) : 101-134, 2012

      12 설진아, "이집트 민주화 혁명에서 SNS와 소셜 저널리즘: 페이스북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7-30, 2012

      13 정훈석, "이슈 코멘트, 니치마켓 톹아보기; 웹툰시장"

      14 김지헌, "유엔여성기구 부총재 “미투운동은 현대판 여성인권운동”"

      15 성상훈, "웹툰 업계, 때아닌 ‘메갈’ 논란 시끌…무슨일?"

      16 김예란, "우리 시대, 행복의 윤리: #미투운동의 한 기점에서" 한국언론정보학회 90 : 44-73, 2018

      17 김수아,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 (15): 279-317, 2015

      18 김수아, "연결행동(Connective Action)? 아이돌 팬덤의 트위터 해시태그 운동의 명암" 한국문화사회학회 25 : 297-336, 2017

      19 우에노 치츠코, "여성혐오를 혐오한다(女ぎらい ニッポンのミソジニ-)" 은행나무 2012

      20 윤보라,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 이용의 사회문화적 함의 : 인스타그램 이용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31 (31): 78-119, 2017

      21 김은주, "여성 혐오(misogyny) 이후의 여성주의(feminism)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hybrid) 주체성" 한국여성철학회 26 : 103-130, 2016

      22 이종임, "신한류와 문화이동의 지형학" 논형 2013

      23 이원태,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한국의 트위터 공동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44-79, 2011

      24 한준호, "사회이슈에 민감한 한국인... 트위터 이용도 ‘들쑥날쑥’"

      25 이나영, "미투운동을 대하는 언론의 자세" (41) : 13-15, 2018

      26 주은혜, "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37-65, 2018

      27 양정인, "미투에 대한 농담이 가볍지 않은 이유"

      28 고정애, "미투가 공작이란 시각. 분수대"

      29 권김현영, "미투, 반성폭력 운동의 윤리-정치적 전환" 25 (25): 329-347, 2018

      30 윤태진,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컬처룩 489-511, 2015

      31 이희은, "문화연구의 방법론으로서 가추법이 갖는 유용성" 한국언론정보학회 54 (54): 76-97, 2011

      32 Nielsen Koreanclick, "모바일 콘텐츠 분야의 차기 주자, 웹툰/웹소설, 영화, 오디오 서비스의 특성 및 이용패턴 분석, <월간 이슈>, 제285-2호"

      33 강예원,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9

      34 제레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35 김예란, "감성 공론장: 여성 커뮤니티, 느끼고 말하고 행하다"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146-191, 2010

      36 이유진, "“여성의 분노를 혐오로 왜곡하지 말라” 혜화역 시위 6만명 집결"

      37 Clark, R., "“Hope in a hashtag”: the discursive activism of #WhyIStayed" 16 (16): 788-804, 2016

      38 박세회, "‘페미니스트’ 아지즈 안사리, 성폭력 논란에 영미권 시끌"

      39 김수아, "‘인권 침해 범죄’와 ‘구조적 차별’ 관점에서 보도해야:서지현 검사폭로 이후 언론 보도" 49-51, 2018

      40 양경언,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6) : 143-173, 2015

      41 이효석, "[미투, 세상을 바꾸다] ①남성⋅권위주의 사회의 종언"

      42 Guerra, Cristela, "Where’d the “Me Too” initiative really come from? Activist Tarana Burke, long before hashtags - The Boston Globe"

      43 Shirly, C., "The political power of social media" 90 (90): 28-41, 2011

      44 Trottier, D., "Social Media, Politics and the State: Protests, Revolutions, Riots, Crime and Policing in the Age of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Routledge 2015

      45 Trottier, D., "Social Media, Politics and the State" 1-36, 2015

      46 함재민, "SNS에 나타나는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미투데이(me2day)와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2011

      47 이종임, "SNS를 통한 사상검증의 일상화, 젠더 갈등을 더욱 부추기다-IMC게임즈의 페미니즘 사상검증 사건을 중심으로"

      48 김효인, "SNS 해시태그를 통해 본 여성들의 저항 실천: ‘#00_내_성폭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5-70, 2017

      49 Arbex, M., "Network Centrality in Labor Markets and Wage Dynamics.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50 Mahdizadehaghdam, S., "Information Diffusion of Topic Propagation in Social Media" 2 (2): 569-581, 2016

      51 Bennett, L., "Digital Media and the Prersonalization of Collective Action: Social Technology and the Organization of Protests against the Global Economics Crisis" 14 (14): 770-799, 2011

      52 Ratkiewicz, J., "Detection and tracking political abuse in social media" 297-304, 2011

      53 Honeycutt, C., "Beyond microblogging: Conversation and collaboration via Twitter" 2009

      54 김엘림, "20세기 여성인권법제사의 시대별 특성" 60 : 5-26, 2001

      55 오동현, "2018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한 SNS 앱 1위는 ‘밴드’"

      56 장슬기, "2018년 언론의 ‘미투’보도를 반성하며"

      57 장수경, "#미투 운동 확산…SNS 여론은 ‘적극지지’"

      58 황수현, "#당신의_용기가_세상을_바꿨습니다"

      59 Khomami, Nadia, "#MeToo: how a hashtag became a rallying cry against sexual harassment"

      60 France, Lisa Respers, "#MeToo: Social media flooded with personal stories of assault"

      61 Schmidt, Samantha, "#MeToo: Harvey Weinstein case moves thousands to tell their own stories of abuse, break silence"

      62 Mendes, K., "#MeToo and the promise and the pitfalls of challenging rape culture through feminist digital activism" 25 (25): 236-24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 Korean Women's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4 2.562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