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지리교육 부흥 운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 = Geography Education Revival Move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이 지리 교과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어떻게 지리 교과와 관련지어 정당화했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주는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지리교육계는 지리의 부흥을 위한 노력의 성과로 고등학교에 「지리총합」이라는 필수과목을 안착시켰다. 지리교육의 국가 및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였는데, 여기서 범교육과정 주제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의 기여를 빼놓을 수 없다. 일본 지리교육계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글로벌 액션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에 관한 루체른 선언 등을 적극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라는 새로운 지리적 용어를 만들어 내고 이를 필수과목 「지리총합」의 주요 내용 중의 한 축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일본지리교육계의 이러한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를 위한 제언 배경 및 과제, 내용을 고찰한 후, 2018 학습지도요령에 이것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탐색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본이 지리 교과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어떻게 지리 교과와 관련지어 정당화했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주는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지리교육...

      본 연구는 일본이 지리 교과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어떻게 지리 교과와 관련지어 정당화했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주는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지리교육계는 지리의 부흥을 위한 노력의 성과로 고등학교에 「지리총합」이라는 필수과목을 안착시켰다. 지리교육의 국가 및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였는데, 여기서 범교육과정 주제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의 기여를 빼놓을 수 없다. 일본 지리교육계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글로벌 액션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에 관한 루체른 선언 등을 적극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라는 새로운 지리적 용어를 만들어 내고 이를 필수과목 「지리총합」의 주요 내용 중의 한 축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일본지리교육계의 이러한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를 위한 제언 배경 및 과제, 내용을 고찰한 후, 2018 학습지도요령에 이것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탐색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geography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on of geography in Japanese high schools.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puts a new compulsory subject “Chiri Sogo” in high schools as a result of efforts for the revival of geography. They emphasized that geography education could meet national and social needs, especially its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subject of crosscurriculum.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is actively introducing the Global Action Program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ucerne Declaration on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create a new geographical term called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to form one axis of the main content of the subject “Chiri Sogo”.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tasks and contents of the proposals for ‘Creating sustainable society’ in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and then explored how these are projected in the Japanese 2018 curriculum guidelin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geography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on of geography in Japanese high schools.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ustif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geography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on of geography in Japanese high schools.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puts a new compulsory subject “Chiri Sogo” in high schools as a result of efforts for the revival of geography. They emphasized that geography education could meet national and social needs, especially its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subject of crosscurriculum.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is actively introducing the Global Action Program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ucerne Declaration on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create a new geographical term called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to form one axis of the main content of the subject “Chiri Sogo”.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tasks and contents of the proposals for ‘Creating sustainable society’ in the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and then explored how these are projected in the Japanese 2018 curriculum guideli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한 글로벌 액션 플랜(GAP)
      • 3. 일본의 지리교육 부흥 운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한 글로벌 액션 플랜(GAP)
      • 3. 일본의 지리교육 부흥 운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4. 결론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97-107, 2017

      2 이종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리교육 선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291-296, 2008

      3 사카우에 히로아키, "지리교육과정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ESD)의 동향-일본과독일을 중심으로-" 41-45, 2017

      4 심정보, "자연재해에 대비하는 방재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89-101, 2017

      5 권오현, "일본학술회의의 지리교육 개혁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31-46, 2016

      6 심정보, "일본의 고등학교에 신설된 「지리총합」의 필수화 과정과 내용의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39-58, 2018

      7 유이 요시미치, "일본에 있어서 ESD로부터GAP로의 전개" 34-40, 2017

      8 김현진, "일본 지리교육 부흥기(르네상스)을 바라보며"

      9 홍원표,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0 文部科學省, "高等學校 學習指導要領" 文部科學省 2018

      1 이민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97-107, 2017

      2 이종원,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리교육 선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291-296, 2008

      3 사카우에 히로아키, "지리교육과정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ESD)의 동향-일본과독일을 중심으로-" 41-45, 2017

      4 심정보, "자연재해에 대비하는 방재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89-101, 2017

      5 권오현, "일본학술회의의 지리교육 개혁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31-46, 2016

      6 심정보, "일본의 고등학교에 신설된 「지리총합」의 필수화 과정과 내용의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39-58, 2018

      7 유이 요시미치, "일본에 있어서 ESD로부터GAP로의 전개" 34-40, 2017

      8 김현진, "일본 지리교육 부흥기(르네상스)을 바라보며"

      9 홍원표,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10 文部科學省, "高等學校 學習指導要領" 文部科學省 2018

      11 日本学術会議, "提言 「災害軽減と持続可能な社会の形成に向けた科学と社会の協働·協創の推進」"

      12 持続可能な開発目標(SDGs)推進本部, "持続可能な開発目標(SDGs)実施指針"

      13 井田仁康, "持続可能な開発教育(ESD)の最新動向と教育改革を見据えた地理教育の方向性" 64 (64): 2016

      14 中山修一, "持続可能な社会と地理教育実践" 古今書院 2011

      15 日本学術会議, "持続可能な社会づくりに向けた地理教育の充実" 2017

      16 日本学術会議, "持続可能な発展のための教育と人材育成の推進分科会、提言持続可能な未来のための教育と人材育成の推進に向けて"

      17 日本学術会議, "フューチャー·アースの推進に関する委員会, 「持続可能な地球社会の実現をめざして-Future Earth(フューチャー·アース)の推進-"

      18 UNESCO, "UNESCO Global Action Programm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2017

      19 Firth, R., "The Nature of ESD through geography: Some thoughts and questions" 36 (36): 14-16, 2011

      20 ACARA(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ustralian Curriculum-HASS,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Citizenship, Economics and Business"

      21 ACARA(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ustralian Curriculum-HASS"

      22 Morgan, A., "Studying PGCE Geography at M Level: Reflection, research and writ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Routledge 77-88, 2010

      23 IGU-CGE, "Lucerne Declaration on Geographic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Geographical View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Lucerne-Symposium, Switzerland, July 29-31, 2007" 42 : 243-250, 2007

      24 Freeman, D., "Living Geography" Chris Kington Publishing 29-52, 2009

      25 Hyunjin KIM, "International Trends in Geographical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Analysis" The Association of Japanese Geographers 7 (7): 82-89, 2012

      26 Kim, H., "Geography Education in Japan" Springer 185-194, 2015

      27 Nakayama, S., "Geography Education a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Japan, Ida, Y. (eds" Springer 107-119, 2015

      28 Firth, 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at was achieved in the DESD?" Routledge 2017

      29 심광택,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School Geography: A Proposed Model" 대한지리학회 48 (48): 466-481, 2013

      30 Reinfried, 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ucerne Declaration" 18 (18): 229-232, 2009

      31 文部科学省日本ユネスコ国内委員会のホームページ,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 -ment)とは?"

      32 Yoshimizu, H., "ESD in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and Social Studies" Kokonshoin 26-43, 2016

      33 Smith, M., "Debates in Geography Education" Loutledge 257-269, 2013

      34 Gress, D.R., "Bridging Geograph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Korean Example" 116 : 34-43, 2017

      35 Chaney, P.L., "An Active Learning Exercise on Sustainability and the Water Footprint of Food: The Dinner Party Menu Challenge" 15 (15): 173-184, 2018

      36 Underwood, B.L., "Aims in Geographical Teaching and Education 1870-71" University of Sussex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0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