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다기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사적 상상력을 활용한 인문 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AI 기술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다기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사적 상상력을 활용한 인문 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AI 기술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루...
이 연구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다기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탐색해 볼 수 있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서사적 상상력을 활용한 인문 교육 방향을 모색하였다. AI 기술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다루는 방법을 익히는 것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AI 기술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이 유발할 수 있는 문제와 결과를 예측해 보는 과정에 주목해 보았다.
먼저, 서사적 상상력의 여러 층위 중에 이 연구에서 초점을 둔 구성적 상상력을 살펴보고, 이것을 견인하기 위해 차용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활용 가능성을 논구하였다. 다음으로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차용하여 서사적 상상력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방향을 구체적으로 구안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설계한 교육 방향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humanities education using narrative imagination, focusing on texts that could specifically explore the various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I technology ...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humanities education using narrative imagination, focusing on texts that could specifically explore the various problems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I technology and learn how to handle it appropriately, bu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use it safely and ethically, so we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ritically accepting AI technology and predicting the problems and results it may cause.
First, among the various layers of narrative imagination, we looked at the constructive imagination that this study focused on, and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using interactive storytelling to drive this. Next, we borrowed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designed a specific direc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narrative imagination. Last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examined by analyzing cases where the designed educational direction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님 ; 조은경, "초거대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대화 인터페이스 -AI 대화 모델의 현황과 언어적 연구의 모색-" 국어학회 (105) : 345-374, 2023
2 강동훈, "챗지피티(ChatGPT)의 등장과 국어교육의 대응" 국어문학회 82 (82): 469-496, 2023
3 장성민, "챗GPT가 바꾸어 놓은 작문교육의 미래 - 인공지능 시대, 작문교육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56) : 7-34, 2023
4 NIS,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
5 반병현, "챗 GPT 마침내 찾아온 특이점" 생능북스 2023
6 Andrew Glassner,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7 백승국,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와 미디어 문화교육" 한국언론학회 2006
8 노대원, "소설 쓰는 로봇 - ChatGPT와 AI 생성 문학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77) : 125-160, 2023
9 변정호 ; 권용주, "생성적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생물학습을 위한 ChatGPT 활용을 중심으로" 뇌·AI기반교육연구소 13 (13): 1-17, 2023
10 장성민, "생성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의 쓰기 능력을 대신할 수 있는가? - 포스트 챗GPT 시대의 작문 평가 담론을 위한 예비적 논의 -" 한국어교육학회 (181) : 119-160, 2023
1 이경님 ; 조은경, "초거대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대화 인터페이스 -AI 대화 모델의 현황과 언어적 연구의 모색-" 국어학회 (105) : 345-374, 2023
2 강동훈, "챗지피티(ChatGPT)의 등장과 국어교육의 대응" 국어문학회 82 (82): 469-496, 2023
3 장성민, "챗GPT가 바꾸어 놓은 작문교육의 미래 - 인공지능 시대, 작문교육의 대응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56) : 7-34, 2023
4 NIS,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
5 반병현, "챗 GPT 마침내 찾아온 특이점" 생능북스 2023
6 Andrew Glassner,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7 백승국,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와 미디어 문화교육" 한국언론학회 2006
8 노대원, "소설 쓰는 로봇 - ChatGPT와 AI 생성 문학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77) : 125-160, 2023
9 변정호 ; 권용주, "생성적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생물학습을 위한 ChatGPT 활용을 중심으로" 뇌·AI기반교육연구소 13 (13): 1-17, 2023
10 장성민, "생성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의 쓰기 능력을 대신할 수 있는가? - 포스트 챗GPT 시대의 작문 평가 담론을 위한 예비적 논의 -" 한국어교육학회 (181) : 119-160, 2023
11 우한용, "상상력의 작동구조와 상상력의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97 : 1998
12 Nussbaum, "분노와 용서" 뿌리와이파리 2018
13 김지영, "드라마 활동을 통한 서사적 상상력 향상 지도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신동광 ; 정혜경 ; 이용상, "내용중심 영어 교수 학습의 도구로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2 (22): 171-192, 2023
15 이주영, "공상과학소설 플랫폼, 챗 GPT 작품 신청 밀려들자접수 중단"
16 Nussbaum,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1
17 양병석,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발전 방향과 시사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17
18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19 이상은, "OECD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RR-2018-08)" 한국교육개발원 2018
인문 교양강좌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에 관한 학습자 인식연구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를 중심으로
대학 신입생 예비대학 프로그램의 현황과 발전 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