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재학생 요구도 분석: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를 중심으로 = Analyses of Student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6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경기도 및 강원권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A대학의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교양교육 편성 및 운영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와 교양교육의 핵심역량별 기여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의 관계 인식, 교양교육 개선 요구의 영역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평균차이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교수학습 방법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과정편성 시 학생들의 의견 반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양교육의 핵심역량 함양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교양교육 개선 요구분석에 있어서는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학생들의 요구를 미반영하는 것에 문제점을 꼽았다. 본 연구는 전공과 교양교육의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교양교육과의 연계의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경기도 및 강원권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A대학의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경기도 및 강원권역에 캠퍼스를 두고 있는 A대학의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교양교육 편성 및 운영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와 교양교육의 핵심역량별 기여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의 관계 인식, 교양교육 개선 요구의 영역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평균차이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교수학습 방법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교육과정편성 시 학생들의 의견 반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양교육의 핵심역량 함양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간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전공계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교양교육 개선 요구분석에 있어서는 교양교육과정 편성에 학생들의 요구를 미반영하는 것에 문제점을 꼽았다. 본 연구는 전공과 교양교육의 연계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공계열에 따른 교양교육과의 연계의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371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multiple campus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gene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analyz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ributions to core competencie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and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mean difference test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contribution of general education to fostering core competenc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dicated that students' needs are not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firms the need for students to connect their majors with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s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371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multiple campus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371 students at A University which has multiple campuses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general education, the researchers analyzed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tributions to core competencie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and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mean difference test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the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ajor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contribution of general education to fostering core competenc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major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indicated that students' needs are not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onfirms the need for students to connect their majors with general education and suggests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s and general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63-387, 2017

      3 김영식,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 고등교육부문" 한국정책학회 (4) : 1995

      4 임현식, "수요자중심교육의 교육학적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23 : 2000

      5 배은숙 ; 임영규, "수요자 중심 교양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42 (42): 265-299, 2023

      6 임재윤, "대학의 교양과정 고찰" 한국교육사학회 23 (23): 2001

      7 구유영 ; 박돈하 ; 김정재 ; 박영희 ; 고철기 ; 이보경, "대학생 전공-교양 교과목 이수 특성에 나타난 교육과정 구조와 이수체계의 문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69-396, 2019

      8 이은준,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3-91, 2017

      9 신소영 ;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10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2022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63-387, 2017

      3 김영식,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 고등교육부문" 한국정책학회 (4) : 1995

      4 임현식, "수요자중심교육의 교육학적 타당성 분석" 한국교육철학학회 23 : 2000

      5 배은숙 ; 임영규, "수요자 중심 교양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42 (42): 265-299, 2023

      6 임재윤, "대학의 교양과정 고찰" 한국교육사학회 23 (23): 2001

      7 구유영 ; 박돈하 ; 김정재 ; 박영희 ; 고철기 ; 이보경, "대학생 전공-교양 교과목 이수 특성에 나타난 교육과정 구조와 이수체계의 문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69-396, 2019

      8 이은준, "대학 신입생의 교양 수업 만족도 유형에 따른 군집화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3-91, 2017

      9 신소영 ; 권성연,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10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2022

      11 배상훈 ; 박정하 ; 한송이 ; 황수정 ; 이규린, "대학 교양기초교육 운영 모델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07-442, 2017

      12 손종현,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39, 2018

      13 이청민 ; 정제영 ; 양민석,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09-121, 2020

      14 임선애, "대학 교양교육 목표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문화학회 (91) : 243-273, 2018

      15 백승수, "교양교육의 명칭 재정립을 통한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41-161, 2019

      16 정연재 ; 주소영 ; 정기섭 ; 이영선, "교양교육과정 개편의 조건과 방향에 대한 탐색 -I 대학교 개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51-263, 2021

      17 손동현, "교양교육 공유 사업의 의의와 과제" 2021

      18 이보경, "과목개방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공유 가능성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미국과 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7 (17): 41-54, 2023

      19 Senior, C., "“I Can’t Get No Satisfaction”:Measuring Student Satisfaction In The Age Of A Consumerist Higher Education" 8 : 2017

      20 Mihanović, Z., "The Link Between Students’ Satisfaction With Faculty, Overal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tudent Life And Student Performances" 2 (2): 2016

      21 AAC&U, "The LEAP Vision for Learning: Outcomes, Practices, Impact, and Employers Views" AAC&U 2011

      22 Wong, W. H., "Student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In Higher Education" 85 : 2022

      23 Paul, R., "Achieving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In Higher Education : A Focus On Service Value Dimensions" 40 (40): 2019

      24 정제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제도 개선 방안 : 개인별 학습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53-7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