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용주, "후보공천과정의 민주화와 그 정치적 결과에 관한 연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17-236, 2005
2 모종린, "후보경선제, 본선경쟁력 그리고 정당 민주화: 2002년 6.13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233-253, 2004
3 김영태, "호남지역주의의 연속성과 변화: 시·군별 제6~16대 대통령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90-213, 2007
4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2, 2013
5 지병근, "한국진보정당의 조직, 이념, 그리고 지지기반" 현대정치연구소 7 (7): 7-53, 2014
6 안청시, "한국의 지방선거제도" 20 (20): 37-61, 1986
7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강원택, "한국의 선거 III" 82-114, 1999
9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1, 2012
10 최준영,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 11 (11): 59-84, 2012
1 전용주, "후보공천과정의 민주화와 그 정치적 결과에 관한 연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17-236, 2005
2 모종린, "후보경선제, 본선경쟁력 그리고 정당 민주화: 2002년 6.13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233-253, 2004
3 김영태, "호남지역주의의 연속성과 변화: 시·군별 제6~16대 대통령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90-213, 2007
4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2, 2013
5 지병근, "한국진보정당의 조직, 이념, 그리고 지지기반" 현대정치연구소 7 (7): 7-53, 2014
6 안청시, "한국의 지방선거제도" 20 (20): 37-61, 1986
7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강원택, "한국의 선거 III" 82-114, 1999
9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1, 2012
10 최준영,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 11 (11): 59-84, 2012
11 "한겨레21"
12 "한겨레"
13 김범수, "투표용지의 순서효과와 기호효과: 제4회 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선거 분석" 한국정치학회 46 (46): 141-161, 2012
14 이정호, "지역주의에 기초한 한국 정당의 공천에 관한 연구: 제14대부터 19대 총선에서의 지역구 현역의원의 재공천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7-46, 2013
15 조기숙, "지역주의 논쟁: 비판이론적 시각에 대한 비판" 31 (31): 203-232, 1997
16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375-394, 2005
17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18 이곤수, "지방선거의 유권자 투표 선택, 정당인가 후보인가? : 6.2 지방선거와 서울시의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339-360, 2011
19 김진하, "지방선거의 역사적 의미와 6.2지방선거 분석 : 서울시장 선거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9 (9): 5-31, 2010
20 김용철,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호남지역 독점현상: 지속과 변화" 3 (3): 5-34, 2010
21 박수형, "절반의 인민주권" 후마니타스 2008
22 "전남일보"
23 이달곤, "역대지방선거의 반성과 6.27 지방선거의 과제" 14 (14): 15-35, 1995
24 한정택, "민주화 이후 호남의 소지역주의 : 19대 총선에서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57-80, 2013
25 민현정, "무투표의 정치 : 광주에서의 제18대 총선 기권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5 (5): 41-63, 2010
26 황아란, "기초 지방의원선거와 기호 효과" 한국정치학회 44 (44): 107-124, 2010
27 민형배, "광주지역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정당귀속성-6.4지방선거 광주광역시광산구 사례 조사연구" 한국정치학회 2014
28 "광주일보"
29 Dahl, Robert A., "Polyarchy" Yale University Press 1971
30 지병근, "6.4 지방선거 평가 및 7.30 재보궐선거의 전망과 과제: 호남권을 중심으로" 광주광역시의회 2014
31 도묘연, "6.4 지방선거 선거연합의 특성:광주, 부산, 울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연합을 사례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39-76, 2014
32 황아란,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413-432, 2013
33 박경미, "18대 총선의 공천과 정당조직: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7 (7): 41-6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