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의 2014 지방선거 - 민주성과 개혁성을 초점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1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ttings,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2014 local elections in the area of Honam that includes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author tries to highlight whether or not the electoral politics could be judged to enhance procedural democracy and/or to produce restructuring outcomes, both of which were badly demanded by local people. Before the elections,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in Honam to see a competitive match between Democratic Party, which had been hegemonic over the region for decades, and a new party under formation by Ahn Cheol Soo. However, the two parties suddenly merged into one before the elections. Honam voters in the elections expressed a sizable amount of critical sentiments but helplessly accepted the new party(NPAD: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s candidates in general. Nevertheless the electoral returns showed that the NPAD has been losing its influence over Honam.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a reform of nomination procedures is necessary to further the electoral democracy in Honam.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ttings,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2014 local elections in the area of Honam that includes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author tries to highlight whether or not the electoral politi...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ettings, processes and outcomes of the 2014 local elections in the area of Honam that includes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The author tries to highlight whether or not the electoral politics could be judged to enhance procedural democracy and/or to produce restructuring outcomes, both of which were badly demanded by local people. Before the elections, there were high expectations in Honam to see a competitive match between Democratic Party, which had been hegemonic over the region for decades, and a new party under formation by Ahn Cheol Soo. However, the two parties suddenly merged into one before the elections. Honam voters in the elections expressed a sizable amount of critical sentiments but helplessly accepted the new party(NPAD: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s candidates in general. Nevertheless the electoral returns showed that the NPAD has been losing its influence over Honam.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a reform of nomination procedures is necessary to further the electoral democracy in Hon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용주, "후보공천과정의 민주화와 그 정치적 결과에 관한 연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17-236, 2005

      2 모종린, "후보경선제, 본선경쟁력 그리고 정당 민주화: 2002년 6.13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233-253, 2004

      3 김영태, "호남지역주의의 연속성과 변화: 시·군별 제6~16대 대통령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90-213, 2007

      4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2, 2013

      5 지병근, "한국진보정당의 조직, 이념, 그리고 지지기반" 현대정치연구소 7 (7): 7-53, 2014

      6 안청시, "한국의 지방선거제도" 20 (20): 37-61, 1986

      7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강원택, "한국의 선거 III" 82-114, 1999

      9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1, 2012

      10 최준영,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 11 (11): 59-84, 2012

      1 전용주, "후보공천과정의 민주화와 그 정치적 결과에 관한 연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17-236, 2005

      2 모종린, "후보경선제, 본선경쟁력 그리고 정당 민주화: 2002년 6.13 기초자치단체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233-253, 2004

      3 김영태, "호남지역주의의 연속성과 변화: 시·군별 제6~16대 대통령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5 (15): 190-213, 2007

      4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2, 2013

      5 지병근, "한국진보정당의 조직, 이념, 그리고 지지기반" 현대정치연구소 7 (7): 7-53, 2014

      6 안청시, "한국의 지방선거제도" 20 (20): 37-61, 1986

      7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35 (35): 113-134, 2001

      8 강원택, "한국의 선거 III" 82-114, 1999

      9 정진민, "한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와 세대: 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1-21, 2012

      10 최준영,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 11 (11): 59-84, 2012

      11 "한겨레21"

      12 "한겨레"

      13 김범수, "투표용지의 순서효과와 기호효과: 제4회 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선거 분석" 한국정치학회 46 (46): 141-161, 2012

      14 이정호, "지역주의에 기초한 한국 정당의 공천에 관한 연구: 제14대부터 19대 총선에서의 지역구 현역의원의 재공천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23 (23): 27-46, 2013

      15 조기숙, "지역주의 논쟁: 비판이론적 시각에 대한 비판" 31 (31): 203-232, 1997

      16 최준영, "지역균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제17대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대 균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375-394, 2005

      17 하세헌, "지방정당 대두와 일본 지방정치 활성화; 새로운 지방정당 대두의 배경과 그 영향" 현대일본학회 (35) : 61-92, 2012

      18 이곤수, "지방선거의 유권자 투표 선택, 정당인가 후보인가? : 6.2 지방선거와 서울시의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339-360, 2011

      19 김진하, "지방선거의 역사적 의미와 6.2지방선거 분석 : 서울시장 선거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9 (9): 5-31, 2010

      20 김용철,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의 호남지역 독점현상: 지속과 변화" 3 (3): 5-34, 2010

      21 박수형, "절반의 인민주권" 후마니타스 2008

      22 "전남일보"

      23 이달곤, "역대지방선거의 반성과 6.27 지방선거의 과제" 14 (14): 15-35, 1995

      24 한정택, "민주화 이후 호남의 소지역주의 : 19대 총선에서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7 (37): 57-80, 2013

      25 민현정, "무투표의 정치 : 광주에서의 제18대 총선 기권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5 (5): 41-63, 2010

      26 황아란, "기초 지방의원선거와 기호 효과" 한국정치학회 44 (44): 107-124, 2010

      27 민형배, "광주지역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정당귀속성-6.4지방선거 광주광역시광산구 사례 조사연구" 한국정치학회 2014

      28 "광주일보"

      29 Dahl, Robert A., "Polyarchy" Yale University Press 1971

      30 지병근, "6.4 지방선거 평가 및 7.30 재보궐선거의 전망과 과제: 호남권을 중심으로" 광주광역시의회 2014

      31 도묘연, "6.4 지방선거 선거연합의 특성:광주, 부산, 울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연합을 사례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39-76, 2014

      32 황아란,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413-432, 2013

      33 박경미, "18대 총선의 공천과 정당조직: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7 (7): 41-6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21st centry Political Science Review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21세기정치학회보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57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