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부별 한국 공공분쟁의 현황과 추세 = Trends and Aspects of Korean Public Disputes in the 4 Gover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99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별로 공공분쟁의 특징은 무엇이었으며, 임기별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공공분쟁이 정부별로 공통적인 특징 혹은 뚜렷한 ...

      본 연구는 정부별로 공공분쟁의 특징은 무엇이었으며, 임기별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공공분쟁이 정부별로 공통적인 특징 혹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며 발생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한국 공공분쟁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분쟁은 노동분쟁이지만 지역분쟁과 계층분쟁의 발생이 최근에 들어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의 공공분쟁을 정부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지역분쟁의 증가와 노동분쟁의 감소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민/민 분쟁은 감소하고 관/관 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합적으로 4개 정부 20년을 돌아보면 한국의 공공분쟁에 커다란 변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한국의 고질적인 분쟁이었던 노동분쟁은 아직도 심각한 수준으로 남아 있지만, 이에 더하여 계층분쟁과 지역분쟁이 크게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며 한국 공공분쟁의 지형을 바꾸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에서 조만간 계층분쟁과 지역분쟁이 노동분쟁을 뛰어넘어 한국의 공공분쟁은 계층분쟁과 지역분쟁으로 대표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념분쟁의 증가세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많은 공공분쟁들의 내면에는 이념적 대립이 잔존하고 있어 이념분쟁은 잠재적으로 커다란 사회 문제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한국 공공분쟁을 정부별, 임기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공공분쟁의 추세 및 발생에 있어 중요한 특징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ublic disputes of the 4 governments from the Youngsam Kim government to the Myungbak Lee government and to find whether the occurrence of particular public dispute is associated with presi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ublic disputes of the 4 governments from the Youngsam Kim government to the Myungbak Lee government and to find whether the occurrence of particular public dispute is associated with presidential term. Analyses on Korean public disputes in 4 governments show that labor dispute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overall public disputes for 20 years; however, study discovers that the rates of regional disputes and class disputes rapidly have increased in recent. Accordingly, the rate of public disputes between governments increases while the rate of public disputes between private groups decreases. It implies that there has been a sea change in public disputes during 20 years. The study sincerely expects that regional disputes and class disputes overtake labor disputes soon. A rapid increase of regional disputes and class disputes will chang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Korean public disputes. However, the study can`t find the percentage of ideological disputes has increased even though the Korean society suffers from ideological polarity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But, the fact that many public disputes internally contain ideological confrontation even though they are not originally classified as ideological disputes implies that ideological disputes will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e study is of importance because it finds trends and status of Korean public disputes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disputes by each administration and presidential te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2 가상준, "한국의 공공분쟁 1990-2006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 5 (5): 137-167, 2007

      3 하혜영, "한국 공공갈등의 발생과 해결: 1995∼2006년까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329-356, 2007

      4 이민창,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의 성패요인: 폐기물처리시설과 공항건설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71-92, 2005

      5 김도희, "주민배심원제를 통한 비선호시설 성공적 입지사례의 정책적 함의: 북구 음식물자원화시설’유치사업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261-284, 2005

      6 가상준, "정치・사회・경제 환경요인과 공공분쟁 발생" 한국정책과학학회 16 (16): 89-107, 2012

      7 가상준, "정치적 변화에 따른 한국 공공분쟁 특징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64) : 33-62, 2010

      8 임재형, "시민단체의 개입이 공공분쟁 기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39 (39): 123-140, 2013

      9 고경훈, "선호시설 유치와 관련된 정부간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 전북 공립 외국어 고등학교 유치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2 (12): 29-58, 2003

      10 강재호, "선호시설 유치를 둘러싼 지방정부간 갈등사례의 비교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61-88, 2005

      1 임재형, "한국의 공공분쟁에 있어서 시민단체의 개입이 분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19-235, 2007

      2 가상준, "한국의 공공분쟁 1990-2006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공공분쟁 데이터베이스" 5 (5): 137-167, 2007

      3 하혜영, "한국 공공갈등의 발생과 해결: 1995∼2006년까지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329-356, 2007

      4 이민창,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의 성패요인: 폐기물처리시설과 공항건설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71-92, 2005

      5 김도희, "주민배심원제를 통한 비선호시설 성공적 입지사례의 정책적 함의: 북구 음식물자원화시설’유치사업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4 (14): 261-284, 2005

      6 가상준, "정치・사회・경제 환경요인과 공공분쟁 발생" 한국정책과학학회 16 (16): 89-107, 2012

      7 가상준, "정치적 변화에 따른 한국 공공분쟁 특징 비교"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64) : 33-62, 2010

      8 임재형, "시민단체의 개입이 공공분쟁 기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39 (39): 123-140, 2013

      9 고경훈, "선호시설 유치와 관련된 정부간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 전북 공립 외국어 고등학교 유치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2 (12): 29-58, 2003

      10 강재호, "선호시설 유치를 둘러싼 지방정부간 갈등사례의 비교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61-88, 2005

      11 김석태, "선호( P I M F Y ) 시설유치를둘러싼렌트추구와렌트의사회적환원:도청이전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7 (37): 77-94, 2003

      12 백종섭, "서울시 추모공원 건립정책의 갈등원인과 해결방안" 13 (13): 191-216, 2002

      13 정주용, "비선호시설 입지수용성 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탐색: 제천시 자원관리센터 부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6 (16): 255-280, 2007

      14 전주상,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노원, 목동, 강남 쓰레기소각장 건설사례의비교분석" 11 (11): 275-295, 2000

      15 박병식, "공공시설 입지결정에 관한 연구 : 쓰레기매립장을 중심으로" 32 (32): 239-255, 1998

      16 김학린, "공공분쟁 해결전략의 결정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인과구조에 대한 탐색" 한국경영사학회 24 (24): 213-237, 2009

      17 하혜영, "공공갈등 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갈등관리 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73-296, 2007

      18 강인호, "NIMBY와 PIMFY입지의 지방정부간 갈등관리 : 공항건설과 외국어고입지갈등구조 비교연구" 17 (17): 137-166, 2005

      19 김도희, "NIMBY와 PIMFY 시설입지정책의 갈등구조 비교분석: '북구 화장장 유치사업'과 '경부고속전철 울산역 유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3 (13): 157-18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행정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39 1.7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