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하가점하층문화와 고구리 석성의 축성법 비교 연구 - 옹성과 치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one Fortress construction art of Lower Xiajiadian culture and Kogu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8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구리(高句麗, BC.37∼AD.668)와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BC.2000∼BC.1500)의 석성에 나타난 축성법을 비교 연구하여 그 계승 관계를 시도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Ⅱ장에서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옹성을 비교하고, Ⅲ장에서는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치성에 나타난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가점하층문화 성문에서 옹성 형태를 갖춘 성이 존재했을 뿐만 아니라 꽤 발달한 형태의 각대치형 성문도 있었다.

      ➀ 성자산산성 4ㆍ5호 문은 고구리 성 옹성 분류에서 Ⅰ-3꼴인 ‘적대를 사용한 요(凹)자꼴 옹성’이었다.

      ➁ 성자산산성 8호 문은 고구리 성 옹성 분류에서 Ⅱ-1꼴인 ㄱ자꼴 옹성과 같았다.

      ➂ 북표(北票) 강가둔(康家店)석성의 동문은 적대를 사용한 凹자꼴 옹성 안에 다시 두 개의 담을 쌓은 아주 특이한 옹성이다.



      2.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는 매우 발달한 치가 설치되었다.

      ➀ 요령성 북표 강가둔석성에는 모두 6개의 치가 있고 동남모서리에 둥그런 각대(角臺)가 남아 있는데 보존 상태가 좋아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각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➁ 삼좌점(三座店) 석성은 지금까지 발굴된 하가점하층문화 석성 가운데 치가 가장 많이 나온 성으로, 큰 성에 15개, 작은 성에 10개, 모두 26개의 치가 남아 있다.

      ➂ 그 밖에 삼좌점촌 동량(東梁)석성, 상기방영자(上機房營子)석성, 서산근(西山根)석성, 신점(新店)석성, 윤가점석성에서도 치들이 발견되어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 서는 치가 꽤 일반화되어 있었다.

      고구리의 석성에서 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① 효과적인 공격 ② 효과적인 경계 ③ 벽체를 보호하는 받침대 ④ 전투할 때 아군의 활동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한 고구리 치의 설치 목적은 청동기시대의 석성의 치도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축성술이란 측면에서 볼 때 고구리 석성의 치는 하가점하층문화의 석성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무리가 없다고 본다.

      축성술이란 측면에서 보면 고구리 석성의 시원이 하가점하층문화의 석성이라는 데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두 시대의 석성 가운데는 1,000년이 넘는 시차가 있다는 점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고구리(高句麗, BC.37∼AD.668)와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BC.2000∼BC.1500)의 석성에 나타난 축성법을 비교 연구하여 그 계승 관계를 시도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 논문...

      이 논문은 고구리(高句麗, BC.37∼AD.668)와 하가점하층문화(夏家店下層文化, BC.2000∼BC.1500)의 석성에 나타난 축성법을 비교 연구하여 그 계승 관계를 시도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Ⅱ장에서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옹성을 비교하고, Ⅲ장에서는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치성에 나타난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가점하층문화 성문에서 옹성 형태를 갖춘 성이 존재했을 뿐만 아니라 꽤 발달한 형태의 각대치형 성문도 있었다.

      ➀ 성자산산성 4ㆍ5호 문은 고구리 성 옹성 분류에서 Ⅰ-3꼴인 ‘적대를 사용한 요(凹)자꼴 옹성’이었다.

      ➁ 성자산산성 8호 문은 고구리 성 옹성 분류에서 Ⅱ-1꼴인 ㄱ자꼴 옹성과 같았다.

      ➂ 북표(北票) 강가둔(康家店)석성의 동문은 적대를 사용한 凹자꼴 옹성 안에 다시 두 개의 담을 쌓은 아주 특이한 옹성이다.



      2.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는 매우 발달한 치가 설치되었다.

      ➀ 요령성 북표 강가둔석성에는 모두 6개의 치가 있고 동남모서리에 둥그런 각대(角臺)가 남아 있는데 보존 상태가 좋아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각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➁ 삼좌점(三座店) 석성은 지금까지 발굴된 하가점하층문화 석성 가운데 치가 가장 많이 나온 성으로, 큰 성에 15개, 작은 성에 10개, 모두 26개의 치가 남아 있다.

      ➂ 그 밖에 삼좌점촌 동량(東梁)석성, 상기방영자(上機房營子)석성, 서산근(西山根)석성, 신점(新店)석성, 윤가점석성에서도 치들이 발견되어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 서는 치가 꽤 일반화되어 있었다.

      고구리의 석성에서 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① 효과적인 공격 ② 효과적인 경계 ③ 벽체를 보호하는 받침대 ④ 전투할 때 아군의 활동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한 고구리 치의 설치 목적은 청동기시대의 석성의 치도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축성술이란 측면에서 볼 때 고구리 석성의 치는 하가점하층문화의 석성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무리가 없다고 본다.

      축성술이란 측면에서 보면 고구리 석성의 시원이 하가점하층문화의 석성이라는 데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두 시대의 석성 가운데는 1,000년이 넘는 시차가 있다는 점은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Koguri (高句麗, BC.37∼AC.668) and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夏家店下層文化, BC.37∼AC.668) by the study of the stone fortress construction art.

      In Chapter 2, I compared a jar-shaped gate of Koguri and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and in Chapter 3, a bastion of stone fortress, and I was able to achieve the following result.

      1) In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there was the fortress which equips the jar-shaped gate, and moreover a sufficiently developed bastion-shaped gate.
      ➀ The gates 4 and 5 of fortress in Cheng-zi Mountain were the concaveshaped gate, which corresponds to the Ⅰ-3 category of Koguri jar-shaped gate.
      ➁ The gates 8 of fortress in Cheng-zi Mountain were the ㄱ-shaped gate, which corresponds to the Ⅱ-1 category of Koguri jar-shaped gate.
      ➂ The eastern gate of stone fortress in Kangjiadian was a very extraordinary shape, which constituted two walls in concave-shaped gate.

      2) In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there was the fortress which equips sufficiently developed bastions.
      ➀ There were 6 bastions and a round-shaped corner bastion in Cheng-zi Mountain, which could be the model bastion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➁ 15 bastions in a large fortress and 10 bastions in a small fortress were discovered in Sanzuodian,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largest bastion of the fortresse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➂ In addition, the bastions were discovered in the fortresses in Dongliang(東梁), Shishangen(西山根), Xindian(新店), Yinjiadian(尹家店), which explains that the bastion in the stone fortres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became widespread.

      The purpose of the bastion in the stone fortress of Koguri was to effectively attack, effectively guard, protect the wall, and have space for our troops during the war. The same purpose can be found in the Bronze Age fort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at a bastion of Koguri fortress originated from the stone fortres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As we have seen above,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art of Koguri fortress originated from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is not in doubt, but there is still a great task to study more about the stone fortress between more than 1,000 years of two er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Koguri (高句麗, BC.37∼AC.668) and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夏家店下層文化, BC.37∼AC.668) by the study of the stone fortress construction art. In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Koguri (高句麗, BC.37∼AC.668) and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夏家店下層文化, BC.37∼AC.668) by the study of the stone fortress construction art.

      In Chapter 2, I compared a jar-shaped gate of Koguri and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and in Chapter 3, a bastion of stone fortress, and I was able to achieve the following result.

      1) In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there was the fortress which equips the jar-shaped gate, and moreover a sufficiently developed bastion-shaped gate.
      ➀ The gates 4 and 5 of fortress in Cheng-zi Mountain were the concaveshaped gate, which corresponds to the Ⅰ-3 category of Koguri jar-shaped gate.
      ➁ The gates 8 of fortress in Cheng-zi Mountain were the ㄱ-shaped gate, which corresponds to the Ⅱ-1 category of Koguri jar-shaped gate.
      ➂ The eastern gate of stone fortress in Kangjiadian was a very extraordinary shape, which constituted two walls in concave-shaped gate.

      2) In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there was the fortress which equips sufficiently developed bastions.
      ➀ There were 6 bastions and a round-shaped corner bastion in Cheng-zi Mountain, which could be the model bastion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➁ 15 bastions in a large fortress and 10 bastions in a small fortress were discovered in Sanzuodian,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largest bastion of the fortresse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➂ In addition, the bastions were discovered in the fortresses in Dongliang(東梁), Shishangen(西山根), Xindian(新店), Yinjiadian(尹家店), which explains that the bastion in the stone fortres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became widespread.

      The purpose of the bastion in the stone fortress of Koguri was to effectively attack, effectively guard, protect the wall, and have space for our troops during the war. The same purpose can be found in the Bronze Age fort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at a bastion of Koguri fortress originated from the stone fortress of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As we have seen above, the fact that the construction art of Koguri fortress originated from the Lower Fault Culture of Xiajiadian is not in doubt, but there is still a great task to study more about the stone fortress between more than 1,000 years of two er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 나타난 옹성
      • 1. 고구리 석성의 옹성문(甕城門) 형태 분류
      • 2.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성문와 옹성
      • Ⅲ.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의 치와 각대 비교
      • Ⅰ. 문제의 제기
      • Ⅱ.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에 나타난 옹성
      • 1. 고구리 석성의 옹성문(甕城門) 형태 분류
      • 2. 하가점하층문화 석성의 성문와 옹성
      • Ⅲ. 고구리와 하가점하층문화의 치와 각대 비교
      • 1. 고구리 석성의 치(雉)⋅각대(角臺)⋅적대(敵臺)
      • 2. 하가점하층문화의 치와 각대
      • Ⅳ.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