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폴리네르의「대양-편지(Lettre-Océan)」보기 = Seeing of 「'Lettre-Océan'」by Apollina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agination is an essential source for plastic artists. If poet's imagination can be seen, it could be imagined that the width of plastic arts can be much more widened. Based on the words 'the poet's true nature can be closely understood when his/her poets should be read and see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d 'seeing the poem' of Apollinaire's「Lettre-Océan」. In the study course, first the relationship with Cubism was found among his art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Apollinaire's plastic consciousness. He was a poet who kept in step with Cubism in the revolutionary period of art circles. The aesthetic goals of Cubism could be found in his book. Second, in his imagery and image arrangement and analysis, trial which is similar to Cubism could be confirmed. His poems were linguistic collage and his inspiration affected Cubism. Third, review -reading and seeing- of「Lettre-Océan」was tried from his plastic view. As a result, simultaneousness and consistency could be discovered like plastic works. In conclusion, like the poet's words 'I am also a painter', this work was drawn after writing became painting's materials. Poems symbolized imagination in whole with figures and described contents with words. Here, it was confirmed that (linguistic) words and (visual) images can't have independent value separately so as to understand Apollinaire's imagination.
      번역하기

      Imagination is an essential source for plastic artists. If poet's imagination can be seen, it could be imagined that the width of plastic arts can be much more widened. Based on the words 'the poet's true nature can be closely understood when his/her ...

      Imagination is an essential source for plastic artists. If poet's imagination can be seen, it could be imagined that the width of plastic arts can be much more widened. Based on the words 'the poet's true nature can be closely understood when his/her poets should be read and see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d 'seeing the poem' of Apollinaire's「Lettre-Océan」. In the study course, first the relationship with Cubism was found among his art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Apollinaire's plastic consciousness. He was a poet who kept in step with Cubism in the revolutionary period of art circles. The aesthetic goals of Cubism could be found in his book. Second, in his imagery and image arrangement and analysis, trial which is similar to Cubism could be confirmed. His poems were linguistic collage and his inspiration affected Cubism. Third, review -reading and seeing- of「Lettre-Océan」was tried from his plastic view. As a result, simultaneousness and consistency could be discovered like plastic works. In conclusion, like the poet's words 'I am also a painter', this work was drawn after writing became painting's materials. Poems symbolized imagination in whole with figures and described contents with words. Here, it was confirmed that (linguistic) words and (visual) images can't have independent value separately so as to understand Apollinaire's imag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상상은 조형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밑천이다. 시인의 상상을 볼 수 있다면 조형 예술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으리라는 상상을 해본다. '시는 시 읽기와 함께 시 보기를 해야 시인의 상상의 실체에 근접할 수 있다’라는 전제를 두고, 본 논문에서 아폴리네르「대양-편지」의 ‘시 보기’를 시도했다. 연구과정에서 첫째, 아폴리네르의 조형의식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미술 평론 가운데에서 입체파와의 관계를 찾아보았다. 그는 미술계의 혁명기에 입체파와 보조를 맞춘 시인이었다. 입체파의 미학적 목표를 그의 저술에서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그의 이미저리와 이미지 배열 분석에서, 입체파적 시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의 시는 언어적 콜라주였고, 그 영감이 입체파에 영양을 끼쳤다. 셋째,「대양-편지」를 그의 조형관으로 다시 읽기와 다시 보기를 시도했다. 그 결과, 조형 작품과 같은 동시성, 지속성 그리고 조형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는 '나 또한 화가이다’라고 한 시인의 말처럼, 이 작품은 글이 회화의 재료가 되어 그려졌다. 시는 형상으로 상상의 전체 상징했고 낱말로 내용을 기술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아폴리네르의 상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상도 문자도 따로 떨어져 독립된 가치를 지닐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상상은 조형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밑천이다. 시인의 상상을 볼 수 있다면 조형 예술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으리라는 상상을 해본다. '시는 시 읽기와 함께 시 보기를 해야 시인의 상상의 실...

      상상은 조형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밑천이다. 시인의 상상을 볼 수 있다면 조형 예술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으리라는 상상을 해본다. '시는 시 읽기와 함께 시 보기를 해야 시인의 상상의 실체에 근접할 수 있다’라는 전제를 두고, 본 논문에서 아폴리네르「대양-편지」의 ‘시 보기’를 시도했다. 연구과정에서 첫째, 아폴리네르의 조형의식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미술 평론 가운데에서 입체파와의 관계를 찾아보았다. 그는 미술계의 혁명기에 입체파와 보조를 맞춘 시인이었다. 입체파의 미학적 목표를 그의 저술에서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그의 이미저리와 이미지 배열 분석에서, 입체파적 시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의 시는 언어적 콜라주였고, 그 영감이 입체파에 영양을 끼쳤다. 셋째,「대양-편지」를 그의 조형관으로 다시 읽기와 다시 보기를 시도했다. 그 결과, 조형 작품과 같은 동시성, 지속성 그리고 조형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는 '나 또한 화가이다’라고 한 시인의 말처럼, 이 작품은 글이 회화의 재료가 되어 그려졌다. 시는 형상으로 상상의 전체 상징했고 낱말로 내용을 기술하고 있었다. 여기서는 아폴리네르의 상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형상도 문자도 따로 떨어져 독립된 가치를 지닐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성, "파리의 보헤미안 아폴리네르" 아카넷 2007

      2 유영희, "이미지로 보는 시 창작교육론" 역락 2003

      3 권용, "아폴리네르의 상형적 시각성과 예술적 조형성" (41) : 2000

      4 이진성, "아폴리네르의 모더니즘과 새로운 정신" (여름) : 234-, 2003

      5 황현산, "아폴리네르"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6 황현산, "상형시와 동시성의 미학" (여름) : 2003

      7 아뿔리네르, "미학적 명상" 일지사 1991

      8 이규현, "기욤 아폴리네르의 상상 세계연구" 서울대

      9 이현영, "기욤 아폴리네르와 필리포 마리네티의 타이포그래피" 11 (11): 1998

      10 김지현, "글자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기능적 타이포그래피의 재해석"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13-22, 2004

      1 이진성, "파리의 보헤미안 아폴리네르" 아카넷 2007

      2 유영희, "이미지로 보는 시 창작교육론" 역락 2003

      3 권용, "아폴리네르의 상형적 시각성과 예술적 조형성" (41) : 2000

      4 이진성, "아폴리네르의 모더니즘과 새로운 정신" (여름) : 234-, 2003

      5 황현산, "아폴리네르"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6 황현산, "상형시와 동시성의 미학" (여름) : 2003

      7 아뿔리네르, "미학적 명상" 일지사 1991

      8 이규현, "기욤 아폴리네르의 상상 세계연구" 서울대

      9 이현영, "기욤 아폴리네르와 필리포 마리네티의 타이포그래피" 11 (11): 1998

      10 김지현, "글자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기능적 타이포그래피의 재해석"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13-22, 2004

      11 가스통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12 Apollinaire, "Oeuvres poétiques" Gallimard 1965

      13 Daniel Delbreil, "Lettre-Océan" (21) : 1979

      14 Jean Pierre Goldenstein, "ANOMO/ANORA: Tu connaitras un peu mieux les mayas- Lettre-Océan" (11)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