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군산군도 서측해역의 17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4속 16종 2품종의 규편모류가 산출되었다. 이중,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와 Di. messanensis forma spinosa가 매우 우세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고군산군도 서측해역의 17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4속 16종 2품종의 규편모류가 산출되었다. 이중,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와 Di. messanensis forma spinosa가 매우 우세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
고군산군도 서측해역의 17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4속 16종 2품종의 규편모류가 산출되었다. 이중,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와 Di. messanensis forma spinosa가 매우 우세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의 규편모류 골격에서는 어두운 색과 비정형개체들이 다산되며 비정형 개체들은 5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규편모류 군집조성에 의하면, 연구해역은 온난수괴의 영향을 받는 저염분의 연근해역에 해당하며 해저지형과 관련된 다양한 조류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연구해역의 이런 환경적 조건들은 불규칙한 기저환을 포함하는 비정형 생성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17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area of Gogunsan Islands, 16 silicoflagellate species and 2 forma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m,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 and Di. messanensis forma spinosa were extremely dominate...
From the 17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area of Gogunsan Islands, 16 silicoflagellate species and 2 formas belonging to 4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m, Di. messanensis forma messanensis and Di. messanensis forma spinosa were extremely dominate taxa. Among silicoflagellate skeletons in the study area, dark and aberrant ones are frequent. Aberrant individuals of the silicoflagellates are classified into 5 types. On the basis of silicoflagellate assemblages from the sedim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area is assigned to neritic and low saline environment influenced by warm water mass, and variable tidal conditions related with submarine topography are formed in the area. In addition, above environmental conditions might mainly control the aberrant forms including irregular basal rings of silicoflagellates in the study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태백층군에서 산출된 삼엽충의 개체발생과정 연구 성과와 삼엽충의 계통진화에 관한 기여
강원도 영월의 마차리 단면(마차리층)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의 전기 푸롱통(Furongian Series) 코노돈트 화석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