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 Nurses’ and Physicians’ Perceptions Abou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5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점집단 면담과 질적내용분석을 적용하여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당사자들의 인식을 기술하고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10명의 간호사와 ...

      본 연구는 초점집단 면담과 질적내용분석을 적용하여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당사자들의 인식을 기술하고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10명의 간호사와 8명의 의사이다. 질적내용분석은 간호사-의사 협력의 의미, 영향 요인, 그리고 협력의 중요한 상황의 세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세 주제는 7개의 범주, 16개의 하위범주 및 32개의 주요 개념으로 범주화되었다. 이 중 간호사-의사 협력의 의미에는 함께 환자를 돌보는 것과 동반자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두 범주가, 영향 요인에는 서로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지지적 업무환경 및 전문인으로서의 역량과 의식의 세 범주가, 협력이 중요한 상황에는 문제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처가 필요할 때와 대상자가 의료서비스의 문제를 제기할 때의 두 범주가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에 있어 간호사-의사 협력은 파트너십을 가지고 함께 환자를 돌보는 것으로서 직무환경과 당사자들의 역량 및 태도에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문제 상황에서 특히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and understand nurses' and physicians' perceptions abou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and understand nurses' and physicians' perceptions abou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ten nurses and eight physicians working at an university hospital. Three themes for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Seven categories, 16 subcategories, and 32 concepts were extracted. Theme of the meaning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had two categories, caring patients together and making partnership. Theme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collaboration had three categori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each other,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competences and spirit as a professional. Theme of the important situations for the collaboration had two categories, when the problem situation needs effective management and when the clients claim problems or insufficiency of the services. In conclusion,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nurses-physician collaboration as the efforts of caring patients together with partnership and being influenced by work environments and the competences and attitudes of the professionals. The collaboration wa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situations of patients’ serious probl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재, "포커스그룹연구방법" 현문사 2000

      2 김남수,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탈진(burn-out)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7 (7): 1-24, 2002

      3 김종래,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4 이은경, "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 능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4 (4): 49-57, 2009

      5 김현미, "간호사와 의사가 지각하는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정도" 4 (4): 301-318, 1997

      6 홍지연, "간호사-의사 협력,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5 (15): 601-609, 2009

      7 이병주, "간호사-의사 간의 갈등 연구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Hansson, A., "Working together-primary care doctors’ and nurses’ attitude to collaboration" 38 (38): 78-85, 2010

      9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10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1 김성재, "포커스그룹연구방법" 현문사 2000

      2 김남수, "종합병원 응급실 의사와 간호사의 탈진(burn-out)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7 (7): 1-24, 2002

      3 김종래,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4 이은경, "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 능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4 (4): 49-57, 2009

      5 김현미, "간호사와 의사가 지각하는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정도" 4 (4): 301-318, 1997

      6 홍지연, "간호사-의사 협력,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5 (15): 601-609, 2009

      7 이병주, "간호사-의사 간의 갈등 연구 :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Hansson, A., "Working together-primary care doctors’ and nurses’ attitude to collaboration" 38 (38): 78-85, 2010

      9 Elo, 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62 (62): 107-115, 2008

      10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8 (8): 27-37, 1986

      11 Tschannen, D., "The impact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on patient length of stay" 17 (17): 796-803, 2009

      12 Fagin, L., "The doctor-nurse relationship" 10 (10): 277-286, 2004

      13 Clarin, O. A., "Strategies to overcome barriers to effective nurse practitioner and physician collaboration" 3 (3): 538-548, 2007

      14 Kramer, M., "Securing “good” nurse/physician relationship" 34 (34): 34-38, 2003

      15 Prescott, P. A., "Physician nurse relationships" 103 (103): 127-133, 1985

      16 Burns, K., "Nurse-physician rounds: A collaborative approach to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ies, and perception of care" 20 (20): 194-199, 2011

      17 Rosenstein, A. H.,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Impact on nurse satisfaction and retention" 102 (102): 26-34, 2002

      18 Henneman, E. A.,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 post structuralist view" 22 (22): 359-, 1995

      19 Thomson, S.,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 comparison of the attitudes of nurses and physicians in the medical-surgical patient care setting" 16 (16): 87-91, 2007

      20 Nelson, G. A.,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on medical-surgical units" 17 (17): 35-40, 2008

      21 Casanova, J., "Nurse-Physician work relations and role expectations" 37 (37): 68-70, 2007

      22 Coluccio, M., "Collaborative practice: Becoming a reality through primary nursing" 7 (7): 59-63, 1983

      23 Lockhart-Wood, K.,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in clinical practice" 9 (9): 276-280, 2000

      24 Knaus, W. A., "An evaluation of outcome from intensive care in major medical centers" 104 (104): 410-418,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