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넷을 통한 벡터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 전송을 위한 최적화 기법 = An Optimization Strategy for Vector Spatial Data Transmission onover the Intern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38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공간 벡터 데이타는 래스터 데이타에 비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좀 더 융통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타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공간 벡터 데이타의 조작 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좁은 대역폭을 갖는 인터넷에서 크기가 크고 복잡한 벡터 데이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송하는가 라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좁은 대역폭을 갖는 인터넷을 통한 공간 벡터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전송 기법인 스케일에 기반한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아이디어는 보여질수 있는 것만을 전송하는 것이다. 특정 스케일에서 일부 피쳐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므로, 자연히 스케일은 공간 피쳐와 연관된 요소이다. 제안된 기법은 웨이블릿에 기반한 지도 일반화 알고리즘을 통해 공간 객체 중에서 출력되는 스케일에 따라 보여질 필요가 없는 피쳐들을 필터링하고, 보여지는 피쳐만을 최종적으로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개개의 공간 연산들에 대한 응답 시간이 대체적으로 향상됨을 보인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공간 벡터 데이타는 래스터 데이타에 비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좀 더 융통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타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공간 벡터 데이...

      일반적으로 공간 벡터 데이타는 래스터 데이타에 비해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좀 더 융통적이고 효율적으로 데이타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공간 벡터 데이타의 조작 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좁은 대역폭을 갖는 인터넷에서 크기가 크고 복잡한 벡터 데이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송하는가 라는 문제이다. 본 논문은 좁은 대역폭을 갖는 인터넷을 통한 공간 벡터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전송 기법인 스케일에 기반한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의 아이디어는 보여질수 있는 것만을 전송하는 것이다. 특정 스케일에서 일부 피쳐만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므로, 자연히 스케일은 공간 피쳐와 연관된 요소이다. 제안된 기법은 웨이블릿에 기반한 지도 일반화 알고리즘을 통해 공간 객체 중에서 출력되는 스케일에 따라 보여질 필요가 없는 피쳐들을 필터링하고, 보여지는 피쳐만을 최종적으로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개개의 공간 연산들에 대한 응답 시간이 대체적으로 향상됨을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lly, vector spatial data, with richer information than raster spatial data enabledata, enables a more flexible and effective manipulation of the data sets. However, one of challenges against the publication of vector spati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the efficient transmission of the big and complex vector spatial datadata, which is both large and complex, across the narrow-bandwidth of the Internet. This paper proposes a new transmission method, namely, the Scale-Dependent Transmission method,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vector spatial data transmission on the narrow-bandwidthacross the Internet. Simply put, its main idea is "Transmit what can be seen"”. Scale is regarded as a factor naturally associated with spatial features so that not all features are visible to users at a certain scale. With the aid of the Wavelet-Wavelet-based Map Generalization Algorithm, the proposed method filters out invisible features from spatial objects according to the display scale and then to transmit onlytransmits only the visible features as athe final answer for an individual oper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response times ofan individual operation has been reducedoperations were substantially by the usage ofreduced when using the proposed method.
      번역하기

      Generally, vector spatial data, with richer information than raster spatial data enabledata, enables a more flexible and effective manipulation of the data sets. However, one of challenges against the publication of vector spatial information on the I...

      Generally, vector spatial data, with richer information than raster spatial data enabledata, enables a more flexible and effective manipulation of the data sets. However, one of challenges against the publication of vector spati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the efficient transmission of the big and complex vector spatial datadata, which is both large and complex, across the narrow-bandwidth of the Internet. This paper proposes a new transmission method, namely, the Scale-Dependent Transmission method,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vector spatial data transmission on the narrow-bandwidthacross the Internet. Simply put, its main idea is "Transmit what can be seen"”. Scale is regarded as a factor naturally associated with spatial features so that not all features are visible to users at a certain scale. With the aid of the Wavelet-Wavelet-based Map Generalization Algorithm, the proposed method filters out invisible features from spatial objects according to the display scale and then to transmit onlytransmits only the visible features as athe final answer for an individual oper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response times ofan individual operation has been reducedoperations were substantially by the usage ofreduced when using the proposed meth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9-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3-04-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br>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Databas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