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기초학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 데이터를 이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74774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65-781(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기초학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 데이터를 이용...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실효성 있는 기초학력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 데이터를 이용해 중학교 3년 시기에 해당되는 5,37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개인특성, 가정배경, 학교맥락 요인 등 다양한 영향요인이 독립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고정효과와 확률효과 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모형을 적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수학 학업 저성취 수준으로 하위 20% 미만에 해당되는지 여부인 이분형 변수이기 때문에 패널로짓모형이 설정되었다.
결과 개인 내 변화량 중에서는 학습무동기와 수학수업태도가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개인 간 요인중에서는 기대교육수준, 스마트 기기 학습용 및 비학습용 사용 정도, 가정 소득수준 및 부모 학력, 수학 사교육 여부, 수학수업태도, 방과후학교 참여, 학교의 성적으로 인한 차별적 풍토, 읍면 지역과 같은 변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발휘하고 있었다.
결론 수학 학업 저성취 가능성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과 같은 구체적인 정책설계 방향과 연계하여 현장 적용 가능한 실효성 있는 교육적 개입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2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백병부 ; 김경근,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01-129, 2007
4 이예승, "학업 저성취 중학생의 교과별 성취 향상을예측하는 요인들"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6
5 진성희 ; 임고운 ; 김태현, "학업 저성취 대학생들을 위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교육연구소 20 (20): 671-694, 2019
6 손승현,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93-110, 2008
7 김용석, "학습노력, 태도 및 성취목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1-20, 2021
8 정제영 ; 이희숙 ; 김수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53-75, 2014
9 임현정 ; 김성은 ; 시기자, "학생 학업성취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세 시점 연계자료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23-145, 2016
10 김성식, "학생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양상의 변화: 2005~2009년과 2015~2019년의 비교" 교육연구소 43 (43): 167-192, 2022
1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2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3 백병부 ; 김경근, "학업성취와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01-129, 2007
4 이예승, "학업 저성취 중학생의 교과별 성취 향상을예측하는 요인들"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6
5 진성희 ; 임고운 ; 김태현, "학업 저성취 대학생들을 위한 학력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교육연구소 20 (20): 671-694, 2019
6 손승현, "학습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방법" 한국교육방법학회 20 (20): 93-110, 2008
7 김용석, "학습노력, 태도 및 성취목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4 (24): 1-20, 2021
8 정제영 ; 이희숙 ; 김수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53-75, 2014
9 임현정 ; 김성은 ; 시기자, "학생 학업성취 변화의 영향요인 탐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세 시점 연계자료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23-145, 2016
10 김성식, "학생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양상의 변화: 2005~2009년과 2015~2019년의 비교" 교육연구소 43 (43): 167-192, 2022
11 김경근 ; 성열관 ; 김정숙, "학력 부진 아동의 특징 및 발생 원인에 대한 면담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27-52, 2007
12 김상희, "학교장의 교육책무성이 저성취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3 곽현주 ; 백종면 ; 양예슬 ; 송인발, "학교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 요인: 학업고성취 및 저성취수준에 미친 요인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333-358, 2016
14 이은경 ; 오민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중⋅고등학생 학업성취도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31-545, 2022
15 임혜정 ; 전하람,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수학 학습부진을 경험한 학생들의 성취도 종단분석: 가정배경 및 가정의 교육적 지원 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29 (29): 85-113, 2019
16 고정화,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283-308, 2008
17 김정아, "초·중학생 기초학력 미달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1, 2021
18 이새롬 ; 함승환, "청소년이여, 교육포부를 키워라? 이주배경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능력주의’ 가설과 ‘기회구조’ 가설 비교" 한국교육학회 59 (59): 309-335, 2021
19 이향미 ; 정혜원, "청소년의 독서활동,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57 (57): 233-257, 2019
20 송홍정 ; 강태석, "중학생의 그릿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19-1244, 2020
21 김성식,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풍토 변인의 영향 분석 -평균 성취 수준과 학생 간 격차와 관련하여-" 한국교육개발원 34 (34): 27-50, 2007
22 백병부,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73-102, 2010
23 민채령, "중등 영어 학습부진 연구의 동향과 성과 : 연구 종합 및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24 교육부,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 교육부 2022
25 김성수 ; 윤미선, "자기결정성이론의 연구 동향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학회 50 (50): 77-106, 2012
26 권점례, "우수학력과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6 (26): 29-50, 2012
27 백혜조, "우리나라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397-415, 2022
28 이승민, "우리가 몰랐던 교실: 44명의 아이들이 알려준 것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29 고정화 ; 도종훈 ; 송미영,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8 (18): 179-200, 2008
30 김선희 ; 김지영, "수학 학습에서 정의적 특성, 메타정의, 메타인지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30 (30): 427-443, 2020
31 김나영 ; 전현정, "수학 기초학력 미달 여부가 중학생의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32): 97-128, 2021
32 허은영 ; 유현실, "서울시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의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37-52, 2012
33 장희원 ; 김경근,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안암교육학회 21 (21): 175-196, 2015
34 김경근 ; 연보라 ; 장희원,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영향요인 및 그 함의"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29, 2014
35 김경식 ; 이현철,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부모, 교사, 교우 관계와 학업성취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8 (58): 203-225, 2010
36 이은주, "무동기의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교육학회 53 (53): 111-135, 2015
37 박미현 ; 허균, "머신러닝 분류기법을 적용한 중학생의 학습 부진 예측모형 개발연구: 대구교육종단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7 (37): 627-648, 2021
38 김위정 ; 김양분, "대학진학에 대한 가정배경의 누적적 매개 효과 분석" 한국사회학회 47 (47): 263-302, 2013
39 허유성 ; 나경은 ; 박성기,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생태학적 삶 특성"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3-148, 2011
40 임현정 ; 시기자 ; 김성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종단자료에 기반한 학업성취 변화 유형의 판별요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1-27, 2017
41 임의진 ; 박인용 ; 정혜경 ; 서민희 ; 김완수 ; 한정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고등학생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및 격차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125-153, 2018
42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8
43 김종백 ; 김준엽,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45-267, 2014
44 서인균 ; 이연실 ; 서태균, "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17 : 9-19, 2015
45 김경근 ; 전하람, "고등학생의 교육포부 결정요인 분석: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85-206, 2006
46 민인식,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2
47 한치록, "계량경제학 강의" 박영사 2017
48 김희삼, "격차사회 극복을 위한 기초학력보장 정책의 방향" 한국사회보장학회 36 (36): 93-135, 2020
49 주동범, "가족구조와 중학교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25-43, 2009
50 이승진 ; 김경근, "가정배경, 양육태도, 교우관계, 오락적 휴대전화 이용행태와 학업성취 간 구조적 관계" 안암교육학회 21 (21): 41-66, 2015
51 한국일보, "“공부 못하는 아이로 낙인 찍힐라”보충수업 사인 안하는 학부모들"
52 Pollard, D., "Who Loves Maths? Exploring Ways to Foster Primary-Aged Learners'Positive Emotions during Maths" 1 : 28-35, 2021
53 Muller, C., "The Role of Caring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r At-risk Students" 71 (71): 241-255, 2001
54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55 Smith, M. W., "Reading don’t fix no Chevys: Literacy in the lives of yiung men" Heinemann 2001
56 Ali, P., "Performance and Attitude in Relation to Gender in a Computer Aided Developmental Math Class" 17-22, 2020
57 이은정 ; 이경화, "PISA수학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차 추이의 배경 요인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313-326, 2011
58 송미영 ; 임현정 ; 임해미 ; 박혜영 ; 구자옥,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영향요인 비교" 교육과학연구소 46 (46): 99-122, 2015
59 구자옥,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60 교육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61 OECD, "Low-Performing Students: Why They Fall Behind and How To Help Them Succeed" OECD Publishing 2016
62 Srivastava, S., "How self-evaluations relate to being liked by others : Integrating sociometer and attachment perspectives" 89 (89): 966-977, 2005
63 Leder, G. C., "Gender and Mathematic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Cassell 1-8, 1990
64 Rutter, M., "Fifteen thousand hours: 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65 Bell, A., "Explaining fixed effects : Random effects modeling of time-series cross-sectional and panel data" 3 (3): 133-153, 2015
66 Neuhaus, J. M., "Between-and within-cluster covariate effects in the analysis of clustered data" 54 (54): 638-645, 1998
67 Ratelle, C., "Autonomous, controlled, and amotivated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 A person-oriented analysis" 99 (99): 734-746, 2007
68 이상구 ; 이재화 ; 김영록 ; 함윤미, "4차 산업혁명과 대학수학교육: 산업수학 프로그램 소개 및 관련 수학강좌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 32 (32): 245-255, 2018
69 이광상 ; 조윤동,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237-257, 2014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줌(Zoom)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세 교수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수학으로 푸는 블록체인(Blockchain solved with mathematics)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임성배수학으로 푸는 블록체인(Blockchain solved with mathematics)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임성배수학으로 푸는 블록체인(Blockchain solved with mathematics)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임성배수학으로 푸는 자율주행AI(Autonomous Driving AI based on Mathematics)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이은경수학으로 푸는 블록체인(Blockchain solved with mathematics)
K-MOOC 호남대학교 백란, 임성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