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Resveratrol에 의한 자궁근종세포의 성장억제 효과 = Growth Inhibitory Effect of Resveratrol on Uterine Leiomyoma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5005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자궁근종세포에 resveratrol을 투여한 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궁근종으로 수술 받은 10예의 환자에서 자궁근종과 정상 자...

      목적: 자궁근종세포에 resveratrol을 투여한 후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궁근종으로 수술 받은 10예의 환자에서 자궁근종과 정상 자궁근 세포를 배양하였다. Resveratrol의 자궁근종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해 MTS 분석을 이용하였고, 세포 주기 회로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보기 위해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세포주기분석은 FACS를 이용하였다. 결과: 일차 배양된 자궁근종세포에 resveratrol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 μM/L의 농도에서 30%의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p53 단백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현이 증가하였고, resveratrol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비활성 형태의 pro-caspase 3 단백질의 양적 감소와 PARP cleavage가 증가됨을 관찰하였고, pRB의 탈 인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sveratro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NA 분절의 증가와, sub G1 주기의 지연 증가가 확인되어 세포자멸사의 양적 증거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으로 resveratrol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는 세포자멸사에 이르게 하고 세포주기와 세포자멸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향후 자궁근종의 치료나 예방에 있어서 효과적인 대체 치료 약물의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the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reduction ass...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resveratrol o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progression in the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reduction assa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iability of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Western blot analysis was done using anti pRB, anti- p21cip1/waf1, anti- p53, anti- cyclin E, anti CDK2 antibodies to detect the presence and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in treatment with resveratrol. DNA fragmentation assay was done to find the rate of apoptosis. Cell cycle analysis for resveratrol treated in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was done by FACS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er) analysis. Results: Resveratrol induced growth inhibi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100 μM/L resveratrol blocked 30% cell growth. From Western blot analysis it revealed resveratrol induced the expression of p53 increasing. Caspase pathway was activated and cleavage of PARP was occurred. Apoptosis took place but in a reduced manner. FACS results showed that resveratrol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in sub G1 phase. Conclusion: Resveratrol, a dietry phytoalexin,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sub G1 by enhancing the production of p5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veratrol will be a promising agent chemopreventives or therapeutics against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