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와 특성(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1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3. 선행 연구의 검토
      4. 연구 범위 및 방법
      5. 논문 구성
      제2장 종교생태운동에 대한 분석 이론
      1. 종교생태운동의 목적
      1)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
      (1) 종교 외적 목적
      (2) 종교 내적 목적
      2. 종교생태운동의 전략
      1)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전략
      제3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배경
      1. 경제성장 중심의 국가 정책
      1) 국가 주도의 산업화
      2) 정치적 저항운동
      2. 시민단체들의 활동
      1) 생태주의적 문제의식의 대두
      2) 문명전환운동의 전개
      3) 문명전환운동의 의미
      3. 종교계와 생태운동의 결합
      1) 생태주의의 확산과 생태운동의 다각화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3. 선행 연구의 검토
      4. 연구 범위 및 방법
      5. 논문 구성
      제2장 종교생태운동에 대한 분석 이론
      1. 종교생태운동의 목적
      1)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
      (1) 종교 외적 목적
      (2) 종교 내적 목적
      2. 종교생태운동의 전략
      1)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전략
      제3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배경
      1. 경제성장 중심의 국가 정책
      1) 국가 주도의 산업화
      2) 정치적 저항운동
      2. 시민단체들의 활동
      1) 생태주의적 문제의식의 대두
      2) 문명전환운동의 전개
      3) 문명전환운동의 의미
      3. 종교계와 생태운동의 결합
      1) 생태주의의 확산과 생태운동의 다각화
      (2) 1990년대
      가. 불교수행적 생태운동
      나. 공간중심적 생태운동 : 사찰환경수호운동
      (3) 2000년대
      가. 지역공동체 중심의 대안문명운동
      나. 생태사찰만들기 운동
      3) 불교 생태운동의 특성
      4.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특성
      제5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유형
      1. 종교생태운동의 유형 분석
      1) 유형 I : 종교 외적 목적과 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2) 유형 II : 종교 내적 목적과 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3) 유형 III : 종교 내적 목적과 비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4) 유형 IV : 종교 외적 목적과 비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2. 종교생태운동의 유형별 특성 비교
      3. 종교생태운동 유형론의 함의
      제6장 결론
      번역하기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3. 선행 연구의 검토 4. 연구 범위 및 방법 5. 논문 구성 제2장 종교생태운동에 대한 분석 이론 1. ...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3. 선행 연구의 검토
      4. 연구 범위 및 방법
      5. 논문 구성
      제2장 종교생태운동에 대한 분석 이론
      1. 종교생태운동의 목적
      1)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
      (1) 종교 외적 목적
      (2) 종교 내적 목적
      2. 종교생태운동의 전략
      1)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전략
      제3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배경
      1. 경제성장 중심의 국가 정책
      1) 국가 주도의 산업화
      2) 정치적 저항운동
      2. 시민단체들의 활동
      1) 생태주의적 문제의식의 대두
      2) 문명전환운동의 전개
      3) 문명전환운동의 의미
      3. 종교계와 생태운동의 결합
      1) 생태주의의 확산과 생태운동의 다각화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목적
      3. 선행 연구의 검토
      4. 연구 범위 및 방법
      5. 논문 구성
      제2장 종교생태운동에 대한 분석 이론
      1. 종교생태운동의 목적
      1)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
      (1) 종교 외적 목적
      (2) 종교 내적 목적
      2. 종교생태운동의 전략
      1)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
      2)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전략
      제3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배경
      1. 경제성장 중심의 국가 정책
      1) 국가 주도의 산업화
      2) 정치적 저항운동
      2. 시민단체들의 활동
      1) 생태주의적 문제의식의 대두
      2) 문명전환운동의 전개
      3) 문명전환운동의 의미
      3. 종교계와 생태운동의 결합
      1) 생태주의의 확산과 생태운동의 다각화
      (2) 1990년대
      가. 불교수행적 생태운동
      나. 공간중심적 생태운동 : 사찰환경수호운동
      (3) 2000년대
      가. 지역공동체 중심의 대안문명운동
      나. 생태사찰만들기 운동
      3) 불교 생태운동의 특성
      4.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특성
      제5장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유형
      1. 종교생태운동의 유형 분석
      1) 유형 I : 종교 외적 목적과 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2) 유형 II : 종교 내적 목적과 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3) 유형 III : 종교 내적 목적과 비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4) 유형 IV : 종교 외적 목적과 비물리적 자산 활용의 결합형
      2. 종교생태운동의 유형별 특성 비교
      3. 종교생태운동 유형론의 함의
      제6장 결론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developme ntand
      characteristicsoftheecologicalmovementsincontemporaryKoreanreligions.
      Inthisdissertation,Iarguethat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
      havetwofoldcharacteristics.Ontheonehand,theecologic almovementsof
      religiousgroupscanbeconsideredasthereligiousmovemen tsformaking
      societiesadaptabletoecologicalenvironmentforthesurv ivalofhumankind.On
      theotherhand,they can beconsideredasan adaptabletransf ormation of
      religions fortheirown subsistence.On this perspective,Iexamined the
      developmentsofecologicalmovementsfocusingontheProtes tantchurches,
      theCatholicchurches,andtheBuddhistgroupsinKorea,andanalyzedtheir
      characteristicswhilemakingtypologyofecologicalmovemen tsofreligions.
      In thechapterII,Isuggestedthemethodology ofthisdisser tation.To
      analyze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deepl y,weneed to
      apprehendthepurposeandthestrategyofthem,basedupontheu nderstanding
      ofthecorrelationbetweenhuman,cultureandecosystem.Onthisperspective,
      firstlyIexaminedtheecologicalplaceofreligion.Andthe nIsuggestedthat
      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havetwodisti nctivepurposes,
      i.e.,internalpurposeandexternalpurpose.Secondly,Iex aminedtheorientation
      ofecologism andIsuggestedthateventhoughtheecologicalmovementsof
      religiousgroupswouldusediversedevicesinordertoaccomplishsuchtwo
      fundamentalpurposes,theirstrategiescouldbegroupedin totwo,i.e., using
      the materialproperties ofreligion more commonly (religio us organization,
      community,place,etc.), andusingtheimmaterialpropertie sofreligionmore
      primarily(religiousworldview,ritual,etc.).
      InthechapterIII,Ianalyzedthesocio-culturalenvironmen tswhichhave
      affectedtheformationofthepurposeandthestrategyofrel igiousecological
      movements.Religionhasbeenchangedinordertoadaptitsel ftochanging
      environments.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 scanbeconsidered
      asreligiouseffortstoadaptthemselvestotheirenvironme ntswhichmeanthe
      cultural,socialenvironmentsaswellasthephysical,biol ogicalenvironments.
      Therefore,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ca nbeconsiderednot
      onlyastheeffortstoadaptthemselvestothecrisisofphysi calecosystem,but
      alsoastheeffortstoadaptthemselvestothesocial-cultur alpressuresin
      relation tothecrisisofecosystem.With thisperspective,Iexaminedthe
      developmentalprocessoftheecologicalmovementswhichha vepracticedby
      KoreanNGOshistorically.
      In the chapter IV,I analyzed the historicaldevelopments an d the
      characteristicoftheecologicalmovementsincontemporar yKoreanreligions,
      focusingontheProtestantchurches,theCatholicchurches ,andtheBuddhist
      groups.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haveb ecomeactive
      since1990s.Theyhavesometimesdemonstratedtogetheraga instthenational
      projectsofKoreangovernmentsuchasthereclamationworksofSaemangum, theconstructionoftheDonggangdam,theconstructionproj ectofhigh-speed
      railway.However,there appeared some differences among th e Protestant
      churches',the Catholic churches',and the Buddhist groups ' ecological
      movements.Itisremarkablethattheecologicalmovementso freligiousgroups
      appropriate the ecologism differently according with thei r own religious
      traditions and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And from the lifestyle
      improvementcampaigntotheecologicalconversionmovemen t,thereemerge
      widespectrumsofecologicalmovementsinKoreanreligions.
      InthechapterV,Isuggestedthebasicstructurewhichmakesthevariety
      andthedistinctionsamong theecologicalmovementsin thec ontemporary
      Korean religion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theirown pu rposes and
      strategies,typologizingtheecologicalmovementsofKoreanreligiousgroups.
      TheanalysisofecologicalmovementsinKoreanreligionsco uldmakeit
      easiertounderstandtheroleofreligionsinKoreanecologic almovementsand
      thesignificanceofthem,andalsoshow usthepresentawaren essstatesof
      religionsinrelationtoecologicalcrisis.Moreover,witht hisanalysiswecould
      understandthedifferencesbetweenthereligiousecologic almovementsandthe
      secularecologicalmovementsandhow thosedifferencesaremad e.
      번역하기

      The purpose of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developme ntand characteristicsoftheecologicalmovementsincontemporaryKoreanreligions. Inthisdissertation,Iarguethat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 havetwofoldcharacteristics.Ontheonehand,...

      The purpose of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developme ntand
      characteristicsoftheecologicalmovementsincontemporaryKoreanreligions.
      Inthisdissertation,Iarguethat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
      havetwofoldcharacteristics.Ontheonehand,theecologic almovementsof
      religiousgroupscanbeconsideredasthereligiousmovemen tsformaking
      societiesadaptabletoecologicalenvironmentforthesurv ivalofhumankind.On
      theotherhand,they can beconsideredasan adaptabletransf ormation of
      religions fortheirown subsistence.On this perspective,Iexamined the
      developmentsofecologicalmovementsfocusingontheProtes tantchurches,
      theCatholicchurches,andtheBuddhistgroupsinKorea,andanalyzedtheir
      characteristicswhilemakingtypologyofecologicalmovemen tsofreligions.
      In thechapterII,Isuggestedthemethodology ofthisdisser tation.To
      analyze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deepl y,weneed to
      apprehendthepurposeandthestrategyofthem,basedupontheu nderstanding
      ofthecorrelationbetweenhuman,cultureandecosystem.Onthisperspective,
      firstlyIexaminedtheecologicalplaceofreligion.Andthe nIsuggestedthat
      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havetwodisti nctivepurposes,
      i.e.,internalpurposeandexternalpurpose.Secondly,Iex aminedtheorientation
      ofecologism andIsuggestedthateventhoughtheecologicalmovementsof
      religiousgroupswouldusediversedevicesinordertoaccomplishsuchtwo
      fundamentalpurposes,theirstrategiescouldbegroupedin totwo,i.e., using
      the materialproperties ofreligion more commonly (religio us organization,
      community,place,etc.), andusingtheimmaterialpropertie sofreligionmore
      primarily(religiousworldview,ritual,etc.).
      InthechapterIII,Ianalyzedthesocio-culturalenvironmen tswhichhave
      affectedtheformationofthepurposeandthestrategyofrel igiousecological
      movements.Religionhasbeenchangedinordertoadaptitsel ftochanging
      environments.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 scanbeconsidered
      asreligiouseffortstoadaptthemselvestotheirenvironme ntswhichmeanthe
      cultural,socialenvironmentsaswellasthephysical,biol ogicalenvironments.
      Therefore,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ca nbeconsiderednot
      onlyastheeffortstoadaptthemselvestothecrisisofphysi calecosystem,but
      alsoastheeffortstoadaptthemselvestothesocial-cultur alpressuresin
      relation tothecrisisofecosystem.With thisperspective,Iexaminedthe
      developmentalprocessoftheecologicalmovementswhichha vepracticedby
      KoreanNGOshistorically.
      In the chapter IV,I analyzed the historicaldevelopments an d the
      characteristicoftheecologicalmovementsincontemporar yKoreanreligions,
      focusingontheProtestantchurches,theCatholicchurches ,andtheBuddhist
      groups.Theecologicalmovementsofreligiousgroupshaveb ecomeactive
      since1990s.Theyhavesometimesdemonstratedtogetheraga instthenational
      projectsofKoreangovernmentsuchasthereclamationworksofSaemangum, theconstructionoftheDonggangdam,theconstructionproj ectofhigh-speed
      railway.However,there appeared some differences among th e Protestant
      churches',the Catholic churches',and the Buddhist groups ' ecological
      movements.Itisremarkablethattheecologicalmovementso freligiousgroups
      appropriate the ecologism differently according with thei r own religious
      traditions and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And from the lifestyle
      improvementcampaigntotheecologicalconversionmovemen t,thereemerge
      widespectrumsofecologicalmovementsinKoreanreligions.
      InthechapterV,Isuggestedthebasicstructurewhichmakesthevariety
      andthedistinctionsamong theecologicalmovementsin thec ontemporary
      Korean religion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theirown pu rposes and
      strategies,typologizingtheecologicalmovementsofKoreanreligiousgroups.
      TheanalysisofecologicalmovementsinKoreanreligionsco uldmakeit
      easiertounderstandtheroleofreligionsinKoreanecologic almovementsand
      thesignificanceofthem,andalsoshow usthepresentawaren essstatesof
      religionsinrelationtoecologicalcrisis.Moreover,witht hisanalysiswecould
      understandthedifferencesbetweenthereligiousecologic almovementsandthe
      secularecologicalmovementsandhow thosedifferencesaremad 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동이 생태계 위기에 직면한 인류의 생존을 위
      해 생태 환경에 적응적인 사회를 수립하려는 운동으로서의 성격과 종교 자체의 지속
      을 위한 종교계의 적응적 변화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다고 보고,이를 규명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연구의 범위는 종교환경회의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생태운동과 담
      론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개신교,천주교,불교 종단으로 제한하였으며,분석의 이론
      적 틀을 수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사례들에 적용하여 유형화하
      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종교생태운동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수립하였다.종교생태운동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인간,문화,생태계의 상관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종교생태운동의 목적과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따라서 우선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를 고찰하였고,그에 따라 종교생태운동의 목적을 두 가지 측
      면에서 제시하였다.종교생태운동은 첫째로 근대 문명이 불러일으킨 생태계 위기에
      직면해서 인류의 생존을 위해 생태 환경에 적응적인 사회를 수립하려는 인간의 여러
      가지 시도들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또한,종교생태운동은 생태계 위기와 생태주
      의의 확산이라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종교들 자체의 지속을 위한 종교들의 적응적
      노력으로 조명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근대적 공간관을 극복하려는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을 고찰한 뒤,종교
      생태운동의 주요 전략이 활용되는 종교의 자산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즉,종교생태운동은 종교 조직력,종교 공동체,종교 공간 등 종
      교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경우와,종교의 세계관,의례 등 비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특히 근대적 공간관을 극복하려는 생태주의
      의 기본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의 활용이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과 두 가지 전략을 교차시켜 결합해보면,
      종교생태운동의 네 가지 유형이 이론적으로 만들어진다.곧,종교생태운동은 종교 외
      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물리적 자산 활용이 두드러지는 유형과,종교 내적 목적을 강
      조하면서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유형,종교 내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비물리
      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유형과,종교 외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비물리적 자산의 활
      용에 치중하는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목적과 전략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회문화적 배경을 제시하였다.종교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종교생태운동 역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종교의 적응 노력으로
      볼 수 있다.이때 환경이란 물리적,생물학적 현상 뿐 아니라 문화적,사회적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이다.이렇게 볼 때 종교생태운동은 물리적인 생태계의 위기에 대한
      적응적 노력의 산물일 뿐 아니라,생태계 위기를 둘러싼 사회적,문화적 압력에 대한
      적응이기도 하다.따라서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와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한
      국사회에서 생태계 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종교생태운동의 사회 문화적 환
      경이 형성되는 맥락을 시기별로 살펴보아야 한다.
      이 장에서는 경제성장 위주의 국가 정책이 종교 외적 목적의 종교생태운동,종교
      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한 생태정의운동의 배경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또
      한,1990년대에 시민단체 생태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종교계에서도 생태운동에 나설
      것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력이 가중되었고,그러한 배경 속에서 종교 내적 목적의 종
      교생태운동이 생겨났다는 점을 제시하였다.특히 문명전환운동은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을 활용하는 종교생태운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또한,2000년대
      생태영성운동은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을 활용하는 종교생태운동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종단별로 추진되어 왔던 생태운동의 전개 과정과 성격을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종교생태운동이 활성화된 시기는 1990년대 이후부터이다.인간 생존
      의 기반을 위협하는 생태계 파괴에 대한 종교계의 대응은 정부의 새만금간척사업,
      동강댐건설,고속철도건설 추진 등과 같은 국책사업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표출되었
      다.특히 종교생태운동은 생태 문제의 발생 지역에서 활동하는 종단들이 종파나 교
      파간의 경계를 초월해서 지역민들과 함께 연대하여 문제 해결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가 늘어났다.그렇지만 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세 종교는 운동의 전략과 실천의
      측면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우선 개신교의 생태운동은 교단의 공식적인 움직임
      이 세계 개신교계의 동향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어가는 반면,교계의 생태운
      동 단체들은 국내의 지역 문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경향이 있다.그리고 생태운동
      을 위해 조직력과 재원을 활용하면서 생태 교육을 강조하고 세계관의 변화를 추동하
      는 등 근대적,계몽주의적 성격의 생태운동을 펼쳐나가는 경향이 있다.생태운동에
      대한 개신교의 이러한 경향은 생태문제를 정의-평화라는 정치사회적 문제의 연장선
      에서 취급하려는 태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천주교의 생태운동은 교황청 생태담론과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비교적 통일적으
      로 진행되어왔으며,위계적 조직구조에 따른 특성을 생태운동에서도 나타낸 것으로분석되었다.그리고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정의,평화와 생태를 결합시키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그러나 천주교의 생태운동은 개신교와는 달리 생태영성을 강조하고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천주교는 자기의 정체성에 부합하
      는 생태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기존의 천주교 전례를 생태적으로 전유하려는 움직
      임이 나타나고 있다.
      불교계 생태운동은 세계교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생태운동이 전개되는 기독
      교의 경우와는 다르게 세계 불교계와의 협력관계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다.또한
      불교계 생태운동에 대한 고찰에서 불교계는 생태운동을 통해 불교에 대한 외부의 인
      식을 새롭게 하는 동시에,생태운동을 통한 불교 내부의 정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한편,불교생태운동에서 생태공동체의 결성과 불교의례의 생태주의적 전유
      가 다른 종단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에서는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다양성과 독특성이 형성되는 기본 구조를 목적
      과 전략의 차이에 따라 유형론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
      동이 종교 외적 목적을 강하게 드러내는지,종교 내적 목적을 강하게 드러내는지에
      따라,또한 종교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지,비물리적 자산 활용에 주력하는
      지에 따라 소속 종단의 경계를 넘어서 구분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그리고 종교생
      태운동의 목적과 전략을 축으로 교차시켜서 네 가지 유형을 설정하고,한국 종교생
      태운동을 유형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형 분석을 통해서,종교생태운동의 주체가 종교계 엔지오(Non-Governmental
      Organization)인지 종단 중앙조직인지에 따라서 운동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운동의 전략에 따라서도,종교의 물리적 자산이 주로 활용되는 경우보
      다 비물리적 자산이 주로 활용되는 경우에 종교적 성격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리고 특정한 사회 문화적 환경은 특정한 유형의 종교생태운동
      이 등장하기에 용이한 배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종교별 생태운동
      의 특성은 목적과 전략에 따른 유형의 차이와 연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종교
      별로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동을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른 차이,종단별 차
      이,유형별 차이 등에 유의하여 분석함으로써 환경의 변화에 대한 종교의 다양한 적
      응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현대 한국 종교의 역동성과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었
      다.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종교생태운동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종교생태운동은 변화하는 생태 환경 및 그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대
      한 종교의 적응 노력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이때 종교생태운동의 목적은 생태계를 보전하고 인류의 생존과 지속에 기여하려는 종교 외적 목적과 자기 종단을 보전하고
      활성화하려는 종교 내적 목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이처럼 종교는 생태계 보전을 위
      해 혹은 종단 자체의 생존을 위해 생태주의의 요소를 전유하고 있으며,이때 종교의
      물질적 자산을 활용하기도 하고 비물질적 자산을 활용하기도 한다.종교생태운동의
      주체는 종종 개별 종교인,종단 외곽조직(엔지오),종단 중앙조직의 순서로 위계적
      질서를 나타낸다.시간의 경과에 따라 중앙조직의 움직임은 비교적 나중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종교의 주요 자산을 활용해서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란과 동요를 최소
      화하려는 방식으로 대응하며,마침내 생태운동을 종단 전체의 움직임 속에 공식적으
      로 포괄시키는 역할을 한다.이와 같은 종교생태운동의 전개는 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 속에서 종단의 지속 및 활성화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생태계 보전과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흐름인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동이 생태계 위기에 직면한 인류의 생존을 위 해 생태 환경에 적응적인 사회를 수립하려는 운동으로서의 성격과 종교 자체의 지속 을 위한 종교계의 적...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동이 생태계 위기에 직면한 인류의 생존을 위
      해 생태 환경에 적응적인 사회를 수립하려는 운동으로서의 성격과 종교 자체의 지속
      을 위한 종교계의 적응적 변화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다고 보고,이를 규명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연구의 범위는 종교환경회의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생태운동과 담
      론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개신교,천주교,불교 종단으로 제한하였으며,분석의 이론
      적 틀을 수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사례들에 적용하여 유형화하
      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종교생태운동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수립하였다.종교생태운동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인간,문화,생태계의 상관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종교생태운동의 목적과 전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따라서 우선
      종교의 생태학적 위치를 고찰하였고,그에 따라 종교생태운동의 목적을 두 가지 측
      면에서 제시하였다.종교생태운동은 첫째로 근대 문명이 불러일으킨 생태계 위기에
      직면해서 인류의 생존을 위해 생태 환경에 적응적인 사회를 수립하려는 인간의 여러
      가지 시도들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또한,종교생태운동은 생태계 위기와 생태주
      의의 확산이라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종교들 자체의 지속을 위한 종교들의 적응적
      노력으로 조명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근대적 공간관을 극복하려는 생태주의의 기본 지향을 고찰한 뒤,종교
      생태운동의 주요 전략이 활용되는 종교의 자산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즉,종교생태운동은 종교 조직력,종교 공동체,종교 공간 등 종
      교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경우와,종교의 세계관,의례 등 비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특히 근대적 공간관을 극복하려는 생태주의
      의 기본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의 활용이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종교생태운동의 두 가지 목적과 두 가지 전략을 교차시켜 결합해보면,
      종교생태운동의 네 가지 유형이 이론적으로 만들어진다.곧,종교생태운동은 종교 외
      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물리적 자산 활용이 두드러지는 유형과,종교 내적 목적을 강
      조하면서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유형,종교 내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비물리
      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 유형과,종교 외적 목적을 강조하면서 비물리적 자산의 활
      용에 치중하는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목적과 전략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회문화적 배경을 제시하였다.종교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종교생태운동 역시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종교의 적응 노력으로
      볼 수 있다.이때 환경이란 물리적,생물학적 현상 뿐 아니라 문화적,사회적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이다.이렇게 볼 때 종교생태운동은 물리적인 생태계의 위기에 대한
      적응적 노력의 산물일 뿐 아니라,생태계 위기를 둘러싼 사회적,문화적 압력에 대한
      적응이기도 하다.따라서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전개와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한
      국사회에서 생태계 위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종교생태운동의 사회 문화적 환
      경이 형성되는 맥락을 시기별로 살펴보아야 한다.
      이 장에서는 경제성장 위주의 국가 정책이 종교 외적 목적의 종교생태운동,종교
      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한 생태정의운동의 배경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또
      한,1990년대에 시민단체 생태운동이 활성화됨으로써 종교계에서도 생태운동에 나설
      것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력이 가중되었고,그러한 배경 속에서 종교 내적 목적의 종
      교생태운동이 생겨났다는 점을 제시하였다.특히 문명전환운동은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을 활용하는 종교생태운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또한,2000년대
      생태영성운동은 종교의 비물리적 자산을 활용하는 종교생태운동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종단별로 추진되어 왔던 생태운동의 전개 과정과 성격을 분석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종교생태운동이 활성화된 시기는 1990년대 이후부터이다.인간 생존
      의 기반을 위협하는 생태계 파괴에 대한 종교계의 대응은 정부의 새만금간척사업,
      동강댐건설,고속철도건설 추진 등과 같은 국책사업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표출되었
      다.특히 종교생태운동은 생태 문제의 발생 지역에서 활동하는 종단들이 종파나 교
      파간의 경계를 초월해서 지역민들과 함께 연대하여 문제 해결을 위해 참여하는 경우
      가 늘어났다.그렇지만 생태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세 종교는 운동의 전략과 실천의
      측면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우선 개신교의 생태운동은 교단의 공식적인 움직임
      이 세계 개신교계의 동향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어가는 반면,교계의 생태운
      동 단체들은 국내의 지역 문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경향이 있다.그리고 생태운동
      을 위해 조직력과 재원을 활용하면서 생태 교육을 강조하고 세계관의 변화를 추동하
      는 등 근대적,계몽주의적 성격의 생태운동을 펼쳐나가는 경향이 있다.생태운동에
      대한 개신교의 이러한 경향은 생태문제를 정의-평화라는 정치사회적 문제의 연장선
      에서 취급하려는 태도로 나타나기도 한다.
      천주교의 생태운동은 교황청 생태담론과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비교적 통일적으
      로 진행되어왔으며,위계적 조직구조에 따른 특성을 생태운동에서도 나타낸 것으로분석되었다.그리고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정의,평화와 생태를 결합시키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그러나 천주교의 생태운동은 개신교와는 달리 생태영성을 강조하고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천주교는 자기의 정체성에 부합하
      는 생태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기존의 천주교 전례를 생태적으로 전유하려는 움직
      임이 나타나고 있다.
      불교계 생태운동은 세계교회와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생태운동이 전개되는 기독
      교의 경우와는 다르게 세계 불교계와의 협력관계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다.또한
      불교계 생태운동에 대한 고찰에서 불교계는 생태운동을 통해 불교에 대한 외부의 인
      식을 새롭게 하는 동시에,생태운동을 통한 불교 내부의 정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한편,불교생태운동에서 생태공동체의 결성과 불교의례의 생태주의적 전유
      가 다른 종단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장에서는 한국 종교생태운동의 다양성과 독특성이 형성되는 기본 구조를 목적
      과 전략의 차이에 따라 유형론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
      동이 종교 외적 목적을 강하게 드러내는지,종교 내적 목적을 강하게 드러내는지에
      따라,또한 종교의 물리적 자산을 주로 활용하는지,비물리적 자산 활용에 주력하는
      지에 따라 소속 종단의 경계를 넘어서 구분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그리고 종교생
      태운동의 목적과 전략을 축으로 교차시켜서 네 가지 유형을 설정하고,한국 종교생
      태운동을 유형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형 분석을 통해서,종교생태운동의 주체가 종교계 엔지오(Non-Governmental
      Organization)인지 종단 중앙조직인지에 따라서 운동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운동의 전략에 따라서도,종교의 물리적 자산이 주로 활용되는 경우보
      다 비물리적 자산이 주로 활용되는 경우에 종교적 성격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리고 특정한 사회 문화적 환경은 특정한 유형의 종교생태운동
      이 등장하기에 용이한 배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종교별 생태운동
      의 특성은 목적과 전략에 따른 유형의 차이와 연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종교
      별로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 사회의 종교생태운동을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른 차이,종단별 차
      이,유형별 차이 등에 유의하여 분석함으로써 환경의 변화에 대한 종교의 다양한 적
      응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고,현대 한국 종교의 역동성과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었
      다.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종교생태운동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종교생태운동은 변화하는 생태 환경 및 그로 인해 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대
      한 종교의 적응 노력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이때 종교생태운동의 목적은 생태계를 보전하고 인류의 생존과 지속에 기여하려는 종교 외적 목적과 자기 종단을 보전하고
      활성화하려는 종교 내적 목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이처럼 종교는 생태계 보전을 위
      해 혹은 종단 자체의 생존을 위해 생태주의의 요소를 전유하고 있으며,이때 종교의
      물질적 자산을 활용하기도 하고 비물질적 자산을 활용하기도 한다.종교생태운동의
      주체는 종종 개별 종교인,종단 외곽조직(엔지오),종단 중앙조직의 순서로 위계적
      질서를 나타낸다.시간의 경과에 따라 중앙조직의 움직임은 비교적 나중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종교의 주요 자산을 활용해서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란과 동요를 최소
      화하려는 방식으로 대응하며,마침내 생태운동을 종단 전체의 움직임 속에 공식적으
      로 포괄시키는 역할을 한다.이와 같은 종교생태운동의 전개는 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 속에서 종단의 지속 및 활성화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생태계 보전과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 흐름인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