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문제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증진 방안에 대한 고찰  :  통합학급의 국어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Reading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9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번역하기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학생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1.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2.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Ⅲ.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하는 교수
      • Ⅰ.서론
      • Ⅱ.학생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1.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2.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 Ⅲ.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하는 교수
      • 1.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하는 교수
      • 2.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하는 읽기 교수전략
      • Ⅳ.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하는 읽기 수업 환경 조성
      • 1.학습문제를 지닌 아동의 어려움과 특성에 대한 이해
      • 2.학생의 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전략의 통일성있고 체계적인 활용
      • 3.학습공동체의 수립
      • 4.학부모, 다른 교사와의 협력
      • Ⅴ.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