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10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영적 성숙도가 신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산하 전국 7개 신학대학교 가운데 6개 신학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신학생 371명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으로는 신앙생활 설문지, 영적성숙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스트레스대처 척도, 진로결정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남녀 사이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만 남성이 여성보다 자아존중감에서 영적 성숙도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반면에 여성은 남성보다 스트레스대처의 방법에 있어서 영적성숙도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셋째, 나이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41세 이상의 신학생들이 다른 나이의 학생들보다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에 더 큰 영향이 있었다. 단,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넷째, 결혼상태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결혼한 신학생이 미혼의 신학생보다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 더욱 영향을 끼쳤다. 단,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추구에서는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교회출석 시기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중학교 시기에 교회를 출석한 신학생들이 모태신앙의 신학생들보다 영적성숙도,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능력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가족들의 신앙유무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온 가족이 신앙이 있는 신학생이 그렇지 않은 신학생들보다 자아존중감에서 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신학교 입학 이유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에는 모든 부분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담임목사의 권유가 부모의 권유보다 신학생들에게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여덟째, 영적교육 유무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아홉째, 진로 방향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능력에는 특수사역자가 그렇지 않은 신학생들보다 영적성숙, 영적건강,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에서도 의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은 서로 깊은 관계가 있으며,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열한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의 관계에서도 상관관계를 가지며,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열두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진로결정에서는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에 의미를 가지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학생들은 소명을 받아 신학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다. 이들이 가진 소명의식은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정체성이 분명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을 위해서는 영적성숙에 대한 훈련을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신학생들이 속해 있는 기관은 신학생들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신학생들에 관한 연구가 쉽지 않은 이유는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생들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료수집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학생들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연구에 대한 자료는 각 학교마다 서로 연계하여서 상호보완적으로 신학생들에 대한 자료 축적과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학생들에 대한 정보 축적은 신학대학생 이외에 다른 비교 대상군을 넓혀 비교 연구할 필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교단적으로는 신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교단에 맞는 신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척도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신학생들의 현재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여서 한국교회와 신학대학교와 개교회 사역의 현장을 건강하게 세워나갈 영적성숙도가 높은 신학생들을 배출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신학생,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진로결정
      번역하기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영적 성숙도가 신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한예수교장로...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영적 성숙도가 신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산하 전국 7개 신학대학교 가운데 6개 신학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신학생 371명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지 내용으로는 신앙생활 설문지, 영적성숙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스트레스대처 척도, 진로결정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남녀 사이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만 남성이 여성보다 자아존중감에서 영적 성숙도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반면에 여성은 남성보다 스트레스대처의 방법에 있어서 영적성숙도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셋째, 나이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41세 이상의 신학생들이 다른 나이의 학생들보다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에 더 큰 영향이 있었다. 단,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넷째, 결혼상태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결혼한 신학생이 미혼의 신학생보다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 더욱 영향을 끼쳤다. 단,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추구에서는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교회출석 시기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중학교 시기에 교회를 출석한 신학생들이 모태신앙의 신학생들보다 영적성숙도,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능력에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가족들의 신앙유무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온 가족이 신앙이 있는 신학생이 그렇지 않은 신학생들보다 자아존중감에서 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신학교 입학 이유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에는 모든 부분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담임목사의 권유가 부모의 권유보다 신학생들에게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여덟째, 영적교육 유무에 따라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에는 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아홉째, 진로 방향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 능력에는 특수사역자가 그렇지 않은 신학생들보다 영적성숙, 영적건강,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에서도 의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은 서로 깊은 관계가 있으며,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열한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의 관계에서도 상관관계를 가지며,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열두 번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진로결정에서는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에 의미를 가지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대처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학생들은 소명을 받아 신학대학교에 입학한 학생들이다. 이들이 가진 소명의식은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정체성이 분명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을 위해서는 영적성숙에 대한 훈련을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신학생들이 속해 있는 기관은 신학생들에 관한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신학생들에 관한 연구가 쉽지 않은 이유는 신학대학교에서 신학생들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료수집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학생들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연구에 대한 자료는 각 학교마다 서로 연계하여서 상호보완적으로 신학생들에 대한 자료 축적과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학생들에 대한 정보 축적은 신학대학생 이외에 다른 비교 대상군을 넓혀 비교 연구할 필요성을 가진다. 그리고 교단적으로는 신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교단에 맞는 신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척도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신학생들의 현재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여서 한국교회와 신학대학교와 개교회 사역의 현장을 건강하게 세워나갈 영적성숙도가 높은 신학생들을 배출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보인다.

      [주제어]: 신학생,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진로결정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사 및 연구문제 4
      • 1. 연구사 4
      • 2. 연구문제 7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사 및 연구문제 4
      • 1. 연구사 4
      • 2. 연구문제 7
      • C. 용어정의 8
      • 1. 영적성숙 8
      • 2. 영적건강 9
      • 3. 자아존중감 9
      • 4. 스트레스 10
      • 5. 진로결정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A. 목회자와 신학생의 정의 12
      • 1. 목회자의 정의 12
      • a. 목회자의 의미 12
      • b. 목회의 이해 12
      • c. 목회자의 이미지 13
      • 2. 신학생의 정의 14
      • a. 신학생의 의미 14
      • b. 신학대학교의 의미 15
      • c. 신학생의 범위 16
      • 3. 신학생의 특성 16
      • a. 성인기의 정의와 구분 16
      • b. 신체적 특성 18
      • c. 심리 사회적 특성 18
      • d. 지적 특성 20
      • e. 정서적 특성 21
      • f. 종교적 특성 21
      • 4. 신학생의 소명과 사명 23
      • B. 영적성숙도 24
      • 1. 영성의 정의 24
      • 2. 성숙의 의미 26
      • 3. 영적성숙의 의미 26
      • 4. 영적건강의 의미 27
      • C. 자아존중감 28
      • 1. 자아존중감의 정의 28
      • 2.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29
      • 3. 자아존중감의 발달 31
      • 4. 신학생의 자아존중감 32
      • D. 스트레스 33
      • 1. 스트레스의 일반적 정의 34
      • 2. 스트레스원인과 반응 36
      • a. 스트레스의 원인 36
      • b. 스트레스의 반응 37
      • 3. 스트레스 증상 38
      • a. 신체적 증상 38
      • b. 심리적 증상 39
      • c. 대인관계적 증상 40
      • d. 영적증상 40
      • 4. 스트레스대처 양식 41
      • 5. 스트레스대처 양식의 성경적 이해 42
      • E. 진로결정 44
      • 1. 진로결정의 정의 44
      • a. 진로란? 44
      • b. 진로결정수준 45
      • 2. 진로결정에서의 자기효능감 45
      • 3. 이론적배경 46
      • a. 진로발달이론 46
      • 1) 특성이론 47
      • 2) 진로발달이론 47
      • 3) 로(Roe)의 욕구이론 48
      • b. 하렌(Harren)의 진로결정모형 48
      • c. 타이드만(Tiedeman)과 오하라(O’Hara)의 진로결정모형 49
      • 4. 신학생의 진로에 대한 특수성 50
      • Ⅲ. 연구방법 51
      • A. 연구대상 51
      • B. 측정도구 53
      • 1. 영적성숙도 척도 53
      • a. 영적건강 척도 53
      • b. 영적성숙 척도 54
      • 2. 자아존중감 척도 54
      • 3. 스트레스대처 척도 55
      • 4. 진로결정 척도 56
      • C. 연구설계 및 절차 56
      • D. 자료 수집과 분석 57
      • Ⅳ. 연구결과 58
      • A. 배경변인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58
      • 1. 성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58
      • 2. 학년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59
      • 3. 나이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61
      • 4. 결혼상태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63
      • 5. 교회출석 시기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 수준차이 65
      • 6. 가족들의 신앙유무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67
      • 7. 신학대학교 입학이유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68
      • 8. 영적교육 유무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70
      • 9. 진로방향에 따른 영적성숙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의 수준차이 71
      • B.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 간의 상관관계 73
      • 1.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74
      • 2.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스트레스대처 간의 상관관계 74
      • 3.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와 진로결정능력 간의 상관관계 76
      • C.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진로결정능력에 따른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의 설명력 76
      • 1.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6
      • 2.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스트레스대처에 미치는 영향 77
      • 3. 신학생들의 영적성숙도가 진로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 78
      • Ⅴ. 논의 79
      • Ⅵ. 결론 93
      • A. 요약 93
      • B. 제언 96
      • 참고문헌 98
      • 설문지 106
      • 부록 1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법, 헌법개정위원회,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한국장로교출판사, , 2019

      2. 목회학, 황의영, 성광문화사, , 1984

      3. 목회학, 김병원, 개혁주의 신행협회, , 1993

      4. 행복한 심리학., 정동섭, 가정과 상담 제62권, , 2003

      5. Paths in Spirituality, Macquarrie , J, , 1972

      6. 성서원어대사전, 고영민, 기독교문사, , 1973

      7. 교회의 성인교육, 박봉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 1999

      8. 기독교 성인교육, 김재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2004

      9. 기독교 영성교육, 장신근, 김도일, 동연출판사, , 2009

      10. 기독교+평생교육, 박경호, 기독교문서선교회, , 2003

      1. 헌법, 헌법개정위원회,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한국장로교출판사, , 2019

      2. 목회학, 황의영, 성광문화사, , 1984

      3. 목회학, 김병원, 개혁주의 신행협회, , 1993

      4. 행복한 심리학., 정동섭, 가정과 상담 제62권, , 2003

      5. Paths in Spirituality, Macquarrie , J, , 1972

      6. 성서원어대사전, 고영민, 기독교문사, , 1973

      7. 교회의 성인교육, 박봉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 1999

      8. 기독교 성인교육, 김재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2004

      9. 기독교 영성교육, 장신근, 김도일, 동연출판사, , 2009

      10. 기독교+평생교육, 박경호, 기독교문서선교회, , 2003

      11. 성서의 목회자상, 박아론,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제2호, , 1982

      12. 영성훈련의 실제, 김광률,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 2002

      13. 진로지도의 실제, 이정기, 서울: 성원사, , 1988

      14. 목사와 스트레스., 이용원, 신학과 목회 제6권, , 1992

      15. 성서의 목회자상., 유상현,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제 16호, , 1996

      16. 기독교교육 사역론, 김국환, 대한기독교 교육협회, , 1993

      17. 부교역자 리바이벌, 김남준, 생명의말씀사, , 2014

      18. 기독교 성인 사역론, 이석철,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 2005

      19. 한국교회 위기진단., 이만식, 106회 총회주제해설: 복음으로, 교회를 새롭게 세상을 이롭게, , 2021

      20. 기독교 교육개론(상), 고용수, 한국장로회출판사, , 1999

      21. Spirituality in The Academy., Schneiders , S. M., , 1989

      22. 교회성장의 영적자원, 명성훈, 서울사적, , 1993

      23.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김애순, 시그마프레스, , 2006

      24. 진로지도와 진로상담, 이정근, 중앙적성, , 1984

      25. 목회자와 스트레스Ⅰ., 이관직, 신학지남 제67권 3호, , 2000

      26. 맑은 영성 맑은 가르침, 김도일, 서울: 쿰란, , 2003

      27.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김선주, 김정호,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10

      28. 준비된 결혼이 아름답다, 홍일권, 생명의 말씀사, , 1997

      29. 중년여성의 행복과 영성., 황미영, 대학원 석사논문, 부산가톨릭대학교, , 2017

      30. 진로상담 및 이론과 실제, 김충기, 부영사, , 1986

      31. 목회자의 상에 관한 연구., 이성무, 학제신학대학원 석사논문, 한남대학교, , 2006

      32. 교류분석 상담이론의 이해., 김형태, 학생지도 연구 제4집, , 1989

      33. 목회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박남규, 목회대학원 석사논문, 침례신학대학교, , 1992

      34. 목사의 역할에 비추어 본 목사상., 이선희, 학제신학대학원 석사논문, 한남대학교, , 2008

      35. 어떻게 사람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정동섭, 서울: 요단 출판사, , 2006

      36. 인공지능 시대에서의 영적 민감성., 김난예,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06권, , 2017

      37. 영적 돌봄의 인간학적-신학적 의미., 박준양, Health & mission 제17권, , 2009

      38. K. A. Spirituality , Meaning , and Transcendence, Bryson, 2, , 2004

      39. 성인교육론:신앙공동체 인간화 모형, 김재은, 서울: 성광문화사, , 1990

      40. 평생교육의 체제와 사회교육의 실태., 남정걸, 김종서, 정지웅, 이용환, 한국정신문화원, , 1982

      41. Human Development. 박성연 역. 인 간발달Ⅰ, Olds, S. W., Papalia, D. E., Feldman, R. D., 서울: 교육과학사, , 1991

      42. 스트레스 치유를 위한 상담학적 접근., 정정숙, 상담과 선교 제5권 1호, , 1997

      43. Counseling and Self-Esteem. 이관직 역. 자존감, Calson, D., 누란노, , 2002

      44. Healing Grace. 윤종석 역. 치유하시는 은혜, Seamands, D., 두란노, , 2003

      45. Knowing God. 정옥배 역. 하나님을 아는 지식, Packer, J. I., IVP, , 2008

      46. Stages of Faith 사미자 역. 신앙의 발달 단계, Fowler, J.,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출판 부, , 1987

      47. D. L. Christian Formation Through Mutual Accountability, Watson, , 1991

      48. 정신지체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 윤희봉, 특수교육대학원 박사논문, 단국대학교, , 2003

      49. 스트레스의 원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탐색., 이영균, 한국정책 과학학회보 제8권 1호, , 2004

      50. Spiritual Well-Being :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Ellison , C. W., 11 ( 4 ), , 1983

      51. 부모 자녀간의 심리 사회성숙도 관계 연구., 김홍규, 박정희, 교육문화연구 제6권, , 2000

      52. 신학생들의 자존감과 삶의 목적에 관한 연구., 김난예, 복음과 실천 제32권 1호, , 2003

      53. F. The Inward Arc-Healing in Psychotherapy and Spirituality ., Vaughan, , 1986

      54. 교회교육 교사훈련시리즈 10: 신앙의 발달과정, 최임선, 종로서적, , 1985

      55. 그리스도인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김진, 생명의 말씀사, , 2006

      56. 낮은 자존감 회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연구., 조정준, 실천신학대학원 석사논문, 대신대 학교, , 2007

      57. 목회자의 자기 이미지 인식 경험에 관한 연구., 김경호, 기독교전문대학원 석사논문, 백석 대학교, , 2015

      58. 전인적 목회돌봄을 위한 인간이해와 목회상담., 한재희, 한국기독교 상담학지 제2권, , 2001

      59. 낮은 자존감이 신앙에 미치는 영향과 치유방안., 임철현, 실천신학대학원 석사논문, 목원대 학교, , 2000

      60. Practical Theology Dictionary. 박근원 역. 실천신학사전, Tumbell, R. G., 대한 기독교출판사, , 1981

      61. The Power of Self-Esteem. 강승규 역. 나를 존중하는 삶, Branden, N., 서울: 학지사, , 2003

      62. 기독신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의 관계연구., 배은주, 복음과 상담 제3권, , 2004

      63. 교회성장운동지원본부 백서(동반 균형 지속가능),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한국장로교 출판사, , 2019

      64.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비교연구., 지경구,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건국대학 교, , 2008

      65. 목회자의 스트레스 분석 및 대처양식에 관한 연구., 강태준, 공공정책대학원 석사논문, 서 강대학교, , 2007

      66. J. W. Women ’ s Spirituality : Resources for Christian Development, Conn, , 1986

      67. 중년기 성인의 노화 불안감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임선영, 국제신학 제16권, , 2014

      68. 기독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최승희, 선교대학원 석사논문, 총신대 학교, , 2001

      69. 목회자 후보생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에 대한 연구., 서반석, 신학대학원 석사논문, 총신대 학교, , 2013

      70. 신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종희, 사회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명 지대학교, , 1998

      71. 교회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목회적 돌봄., 문국자, 신학대학원 석사논문, 장로 회신학대학교, , 2004

      72. 한국성인의 심리사회적 성숙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노이경, 교육대학원 박사논문, 가톨 릭대학교, , 2020

      73. 신앙 성장을 위한 신학의 내용: 생애주기를 중심으로., 박종석, 한국기독교 신학논총 제 106권, , 2017

      74. The School and Moral Development. 최임선 역. 신앙의 발달 과정, Erikson, E., 서 울: 종로서적, , 1985

      75. Understanding Christian Spirituality. 정원범 역. 영성 목회 21세기, Michael, D., 서 울: 한들출판사, , 2006

      76. 기독청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박신미, 선교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총신대학교, , 2005

      77. Reality Therapy : A New Approach to Psychiatry. 홍경자 역. 현실요 법, Glasser. W., 중앙적성출판사, , 1984

      78.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옥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7권 3호, , 2003

      79.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양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김정희, 교육대학원 박사논 문, 서울대학교, , 1987

      80. SQ-Spiritual Intelligence The Ultimate Intelligence. 조혜정 역. SQ 영성지능, Marshall, I., Zohar, D., 룩스, , 2001

      81. The Seasons of A Man’s Life. 김애순 역.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 절, Levinson, D. J.,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2003

      82. Stress, Appraisal and Coping. 김정희 역.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Lazarus, R. S., Folkman, S., 대광문화사, , 2001

      83. 기독청년을 대상으로 한 제자훈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황금빛,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총신대학교, , 2016

      84. Understanding Christian Spirituality. 안성근 역. 오늘의 기독교 영 성 이해, Downey, Michae, 은성, , 2001

      85.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신혜진, 교육상담대학 원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 2002

      86.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두만,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 2010

      87. 성경적 영성 : 산드라 슈나이더스(Sandra M. Schneiders)의 연구를 중심으로., 김준, 한 국기독교 신학논총 106호, , 2017

      88. 중년기 위기 극복을 위한 코헛의 자기 심리학의 목회상담에 관한 연구., 이혜숙, 기독교 상담대학원 석사논문, 호남신학대학교, , 2004

      89.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존감이 대인관계와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손병규, 선교대학 원 석사논문, 총신대학교, , 2007

      90. 기독교 결혼예비교육이 결혼초기부부의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영숙,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논문, 총신대학교, , 2009

      91. -1980년대 신학생들의 자아정체성 고찰 - 신학교 교지에 실린 글을 중심으 로, 정경은, 장신논단 제52권 3호, 2020, , 1970

      92. 목회 소명의식이 신학생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광선, 피어 선신학전문대학원 박사논문, 평택대학교, , 2018

      93. 신대원생들의 내담자경험이 자기개념, 대인관계, 영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김현옥, 기독 교전문대학원 박사논문, 백석대학교, , 2007

      94.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고향자, 교육 학과 교육대학원 박사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1993

      95. M. On The Dynamics of Self-Esteem : Empirical Validation of Basic Self-Esteem and Earning Self-Esteem, Johnson, , 1977

      96. From Stress to Well-Being. 김만풍 역. 스트레스와 안정, 현대기독교 상담 시리즈 9권, Ellison, C., 서울: 두란노, , 1997

      97. 구성주의적 성서학습이 기독교인의 신앙발달과 영적 성숙에 미치는 효과분석., 박문옥, 교 육대학원 박사논문, 고려대학교, , 2001

      98.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김명자, 대학원 박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1989

      99. 신학생의 스트레스와 기독교상담 -전인적 성장상담을 통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김영근, 복음과 상담 제8권, , 2007

      100. 기독교 성인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종교성향을 매개로., 고수연, 상담대학원 석사논문, 호남신학대학교, , 2020

      101. 신학생의 자존감, 학과 만족도, 목회실습 만족도가 목회자 정체성에 미치 는 영향., 안병덕, 황병배, 대학과 선교 제34권, , 2017

      102. 스트레스 대처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 Part 1:심리학 영역의 이론 전개를 중심 으로., 박성준, 스포츠과학연구 제1권, , 2002

      103.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 그리고 지각된 통제감이 사관생도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강성록, 고재원, 김용주, 한국군사학논집 제68권 2호, , 2012

      104.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 계., 김보경, 대학원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 2012

      105. 신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학과만족도, 실습만족도가 자존감,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병덕, 예술인문 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9호, , 2019

      106. G. S.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 Philadelphia :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Spirituality, Wakefield ,, , 1983

      107. Taught by God-Teaching and Spiritual Formation. 이규민 역. 기독교교육과 영성-‘참된영성’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Yust, K. M., Anderson, E. B., 서울: 기독교서회, , 2016

      108. Basic Types of Pastoral Counseling: New Resources for Ministering to The Troubled. 박근원 역. 현대목회상담: 카운슬링의 기본이해, Clinebell, H. J., 서울: 대한기독 교 출판사, , 1985

      109. 노화 불안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을 통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 중년기를 대상으로., 서혜영,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아주대학교, , 2019

      110. 현실요법을 적용한 YQMT 집단 프로그램이 신학생들의 내적 통제성, 자아 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윤민재, 신학대학원 석사논문, 수원가톨릭대학교, ,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