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교육적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탐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72662
2018
Korean
학술저널
247-26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교육적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탐색...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 경험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교육적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사양성교육에서 교수-학습방법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수업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모의수업에 관한 경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과학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유아과학교육 관련 지식에 대한 기반을 형성하고 과학교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는 데 도움이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cooperative classroom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cooperative classroom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transformation of teaching; learning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it has helped to build a foundation for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teach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이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기관장의 감성지도성과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