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지역 도심하천 복원이 거주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arified how restoration of streams affected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downtown stream restoration was carried out in Busan city and then made it clear how the restoration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also used a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 for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Amos.
      As the results,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proved to be Amenity factor, Cultural factor, Economic factor, Activity factor, and Usability factor. Among these factors, Amenity factor is prove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with its contribution level of 29.42%. Downtown stream restoration a little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terms of Amenity factor, Activity and Usability factor However, after verification of causal relation and factors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potential variable which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vely or meaningfully are proved to be Amenity factor while its measurement variable affecting the potential variable of Amenity factor indicated diversity of life and coziness of atmosphere environ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tential variable, Amenity factor is more closely related to Usability factor than Activity factor, downtown stream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activation of use of streamside in downtown as it builds cozy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downtown stream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business which forms coz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itizen and provides habitat of various lives.
      번역하기

      This study clarified how restoration of streams affected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downtown stream restoration was carried out in Busan city and then made it clear how the restoration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als...

      This study clarified how restoration of streams affected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downtown stream restoration was carried out in Busan city and then made it clear how the restoration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also used a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 for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Amos.
      As the results,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proved to be Amenity factor, Cultural factor, Economic factor, Activity factor, and Usability factor. Among these factors, Amenity factor is prove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with its contribution level of 29.42%. Downtown stream restoration a little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terms of Amenity factor, Activity and Usability factor However, after verification of causal relation and factors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potential variable which affecte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positively or meaningfully are proved to be Amenity factor while its measurement variable affecting the potential variable of Amenity factor indicated diversity of life and coziness of atmosphere environ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tential variable, Amenity factor is more closely related to Usability factor than Activity factor, downtown stream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activation of use of streamside in downtown as it builds cozy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fore, downtown stream restoration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business which forms coz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citizen and provides habitat of various l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주민자치센터와 NGO가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프로그램 대천천 네트워크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2동 주민자치센터-" 55 (55): 86-95, 2006

      2 이경희, "주거학개설" 문운당 1999

      3 김영하, "주거단지계획과 도시경관" 기문당 2005

      4 박종영,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 따른 어류상 변화 및 군집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381-391, 2009

      5 이용호,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 이후 식생관리에 의한 초본 식물상과 천이 - 서울시 양재천 사례 연구 -" 한국잡초학회 31 (31): 49-70, 2011

      6 조홍제, "울산시 도심하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따른 동물상 서식실태 조사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17, 2013

      7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8 서동일, "우리나라 자연형 하천복원 사업의 문제점" 17 (17): 60-62, 2009

      9 장주형, "온천천 유지용수 공급에 따른 생태수문환경 변화분석" 한국환경과학회 16 (16): 973-983, 2007

      10 권태정, "수로 폭 확대를 통한 방재기능 강화 및 하천생태계 복원: 유럽의 하천복원 최신 동향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4 : 127-148, 2010

      1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주민자치센터와 NGO가 함께하는 지역공동체 프로그램 대천천 네트워크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2동 주민자치센터-" 55 (55): 86-95, 2006

      2 이경희, "주거학개설" 문운당 1999

      3 김영하, "주거단지계획과 도시경관" 기문당 2005

      4 박종영,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복원에 따른 어류상 변화 및 군집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381-391, 2009

      5 이용호,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 이후 식생관리에 의한 초본 식물상과 천이 - 서울시 양재천 사례 연구 -" 한국잡초학회 31 (31): 49-70, 2011

      6 조홍제, "울산시 도심하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따른 동물상 서식실태 조사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17, 2013

      7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2

      8 서동일, "우리나라 자연형 하천복원 사업의 문제점" 17 (17): 60-62, 2009

      9 장주형, "온천천 유지용수 공급에 따른 생태수문환경 변화분석" 한국환경과학회 16 (16): 973-983, 2007

      10 권태정, "수로 폭 확대를 통한 방재기능 강화 및 하천생태계 복원: 유럽의 하천복원 최신 동향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4 : 127-148, 2010

      11 곽재원, "소규모 도시 하천 유역의 수질 특성 연구" 한국습지학회 10 (10): 129-141, 2008

      12 정우식, "부산지역 도심하천 복원에 따른 기온변화 효과 분석" 한국환경과학회 21 (21): 939-951, 2012

      13 박의정, "봉황천의 자연형 하천공법 시공전후 모니터링" 1070-1075, 2007

      14 최계운, "도심하천 복원에 따른 하천유지유량 산정 연구" 448-452, 2004

      15 김지혜, "도심 생태하천 복원사례 비교분석 –양재천, 학의천, 홍제천 사례를 중심으로-" 126-129, 2011

      16 김창수, "관료와 시민사회 협력의 성공조건:부산광역시 온천천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145-167, 2005

      17 최일홍,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24 (24): 723-734, 2010

      18 金 那英, "都市河川のオープンスペースに見られる地域住民の親水行動に関する研究" 69 (69): 747-750, 2006

      19 浅見 泰司, "住環境―評価方法と理論" 東京大学出版会 2001

      20 천영철, "[도심하천이 보배다] ① ‘우리 동네, 보물1호’ 대천천"

      21 노형진, "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 효산 2007

      22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4

      23 Rapoport, A., "House, Form and Culture" Prentice-Hall, Inc 1969

      24 Altman, I., "Culture and environment"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02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7 0.9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