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Effects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3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level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housewiv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bility were found between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mothers in terms of education levels. (2) overall, the level of the infant playfulness of working mothers was high. In addition, mothers' high levels of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related with high levels of expressions of enjoyment and humor, which were subfactors of infant playfulness. (3)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developmental suppor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playfulness, the research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level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housewives', and sign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level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housewiv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bility were found between high school graduates and college graduates mothers in terms of education levels. (2) overall, the level of the infant playfulness of working mothers was high. In addition, mothers' high levels of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related with high levels of expressions of enjoyment and humor, which were subfactors of infant playfulness. (3)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developmental suppor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ant playfulness, the research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parenting efficacy on the infant playful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의 놀이성에 대한 어머니 관련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와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리고 상대적 설명력은 얼마나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와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피험자로 질문지 조사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 관련변인별 양육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전업주부의 양육효능감이 취업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의사소통 능력 요인에서 고등학교 졸업학력과 전문대졸 학력의 어머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 관련 변인에 따라서는 취업모의 영아에서 놀이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즐거움의 표현과 유머감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발달에 대한 지원에 관한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에 수준은 높게 나타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영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 것은 영아의 즐거움의 표현에 16.1%의 가장 높은 상대적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인지적 자발성 13.5%, 유머감각 11.2% 순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발성에는 3.4%, 사회적 자발성은 3.0%로 가장 낮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의 놀이성에 대한 어머니 관련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와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본 연구는 영아의 놀이성에 대한 어머니 관련 변인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와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리고 상대적 설명력은 얼마나 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민간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와 영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피험자로 질문지 조사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 관련변인별 양육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전업주부의 양육효능감이 취업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의사소통 능력 요인에서 고등학교 졸업학력과 전문대졸 학력의 어머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 관련 변인에 따라서는 취업모의 영아에서 놀이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 하위요인 중 즐거움의 표현과 유머감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발달에 대한 지원에 관한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영아의 놀이성에 수준은 높게 나타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영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친 것은 영아의 즐거움의 표현에 16.1%의 가장 높은 상대적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인지적 자발성 13.5%, 유머감각 11.2% 순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발성에는 3.4%, 사회적 자발성은 3.0%로 가장 낮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윤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3-309, 2008

      2 유영의,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39-258, 2006

      3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4 정미현, "영유아기 자녀를 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 개발-양육효능감 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7 (7): 45-58, 2010

      5 이형민,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및 영아의 정서적 반응성과 참여 간의 관련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6 하지영,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 특성 변인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151-168, 2010

      7 이경하,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7 (47): 87-102, 2009

      8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3 (43): 111-123, 2005

      9 정혜인, "어머니의 양육 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0 전병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 황윤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지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93-309, 2008

      2 유영의,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39-258, 2006

      3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4 정미현, "영유아기 자녀를 던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 개발-양육효능감 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7 (7): 45-58, 2010

      5 이형민,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 및 영아의 정서적 반응성과 참여 간의 관련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6 하지영,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 특성 변인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151-168, 2010

      7 이경하,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7 (47): 87-102, 2009

      8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3 (43): 111-123, 2005

      9 정혜인, "어머니의 양육 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0 전병순,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1 송연숙,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81-203, 2008

      12 이지연,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151-165, 2008

      13 金映希, "아동의 놀이성 군(群)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14 이성태, "아동발달이론" 학지사 2007

      15 황윤세,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9-66, 2007

      16 이명주, "교사-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재원경험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어린이집 적응"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Li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18 Johnson, J. E.,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 Ed.)" Longmant 1999

      19 Barnett, L. A.,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disposition to play" 4 : 1991

      20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95, 1977

      21 Hart, B.,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996

      22 Thompson, R. A., "Early experience and socialization, In Encyclopedia of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3 Bowlby, J., "Attachment and loss(2nd ed.)1 : Attachmnt" Basic Books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