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라이프스타일(Lifestyle) 관점에서 본 허균(許筠)의 『한정록(閒情錄)』 = 『Han-jeong-rok(閒情錄)』by Heo Gyun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Life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7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implication regarding ꡔHan-jeong-rokꡕ as the proposal on modern lifestyle. This study classified the behavioral patterns pursued in ꡔHan-jeong-rokꡕ in addition to the ‘psychological method of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implication regarding ꡔHan-jeong-rokꡕ as the proposal on modern lifestyle. This study classified the behavioral patterns pursued in ꡔHan-jeong-rokꡕ in addition to the ‘psychological method of practice’ and the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such behavioral patterns pursued in conducting the study.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mainstream modern lifestyle indicated that in the well-being craze, practical and selfish tendency were prominent and the side effect of distorted culture of consumerism were also evident. Lohas faced the limitations of lifestyle led by marketing. The slow movement can be differentiated in that it takes even immaterial aspects into consideration including the value of life and etc. However it faces the limitation of being led by community. In the healing craze, modern day people thirst for something that can heal them. All of these people have strong tendency of relying on the external factors for their personal health and well being, and it possesses a weak point in that it can easily be linked to commercial viability.
      Compared to the same, the implication that Heo Gyun can gain from ꡔHan-jeong-rokꡕ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ꡔHan-jeong-rokꡕ emphasizes the point that the agent of life is one’s self. The modern lifestyle is practical and relies on the external factors, where as Heo Gyun emphasizes that it should start with a serious introspection of life itself. Second, it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aspects in leading a leisurely life. Starting with elegant scenic beauty to reading and sophisticated hobbies among others, it indicates that internal satisfaction can be gained and that self-contentment free from cares, is possible. Third, it proposes standardized ‘psychological method of practice’ and the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for the leisurely life. Materialistic and psychological balance is also emphasized in ‘practical method of practi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not a clear comparison with ꡔHan-jeong-rokꡕbetween contemporary lifestyle and it had stayed in a review study for implication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study regarding the concept related to landscape and cases included in the ꡔHan-jeong-rokꡕ.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ꡔ한정록ꡕ이 현대 라이프 스타일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ꡔ한정록ꡕ에서 추구한삶의 행동방식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ꡔ한정록ꡕ이 현대 라이프 스타일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ꡔ한정록ꡕ에서 추구한삶의 행동방식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과 ‘실천적 수행방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의 주류 라이프스타일을 검토한 결과, 웰빙 열풍에서는 즉물적이고 이기적인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소비문화가 왜곡되는 부작용도있었다. 로하스는 마케팅(marketing)이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느리게 살기운동은 삶의 가치 등 비물질적 측면까지 고려하는차별성이 있으나, 커뮤니티(community)가 주도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힐링 열풍에 있어서 현대인은 자신을 치유해 줄 무엇인가를갈구한다. 이들은 모두 개인의 건강과 안녕을 외부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며 상업성과 결부되기 쉽다는 취약점도 있다.
      이에 비해 허균이 ꡔ한정록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ꡔ한정록ꡕ은 삶의 주체가 자신이라는점을 강조하고 있다. 현대 라이프스타일은 즉물적이며 외부 의존적인데 반해 허균은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부터 출발할 것을 강조한다.
      둘째, 한가로운 삶을 사는데 있어서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아치(雅致)를 비롯해 독서와 고상한 취미 등을 통해 내적 충만감을얻을 수 있으며 자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한가로운 삶을 위한 정신적 수행방법과 함께 실천적 수행방법도 규범화하여 제시하고있다. 실천적 수행방법에 있어서도 물질과 정신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ꡔ한정록ꡕ과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명확한 비교 고찰에 이르지 못하고 시사점 도출을 위한 리뷰(review) 연구에 머무른 점이다. 추후 ꡔ한정록ꡕ에 담긴 조경관련 여러 개념과 사례에 대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명수, "한국 ‘웰빙’ 문화에 나타난 뉴에이지 운동의전일주의에 관한 일 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5-39, 2007

      2 민병욱,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1 (41): 82-92, 2013

      3 김풍기, "전란의 상처와 치유로서의 글쓰기 -허균의 <학산초담(鶴山樵談)>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3) : 9-33, 2014

      4 박광희, "웰빙 라이프스타일, 웰빙태도, 삶의 만족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9 (49): 39-49, 2011

      5 최화열, "슬로우 투어리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도보길과 제주올레걷기축제를 사례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173-183, 2015

      6 한영규, "소품문 글쓰기와 ‘林園經濟’ -李鈺의 『白雲筆』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8 (18): 907-931, 2008

      7 명계수, "로하스 사회에서 유기농 과자 패키지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8 (8): 141-152, 2010

      8 김미리,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스타마케팅의 관심도 및 헤어행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2 (12): 167-179, 2011

      9 정순희,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소비문화학회 5 (5): 5-128, 2002

      10 진성수, "동양철학의 생명관과 힐링콘텐츠" 동양철학연구회 (75) : 7-37, 2013

      1 전명수, "한국 ‘웰빙’ 문화에 나타난 뉴에이지 운동의전일주의에 관한 일 고찰"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5-39, 2007

      2 민병욱,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41 (41): 82-92, 2013

      3 김풍기, "전란의 상처와 치유로서의 글쓰기 -허균의 <학산초담(鶴山樵談)>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3) : 9-33, 2014

      4 박광희, "웰빙 라이프스타일, 웰빙태도, 삶의 만족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9 (49): 39-49, 2011

      5 최화열, "슬로우 투어리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도보길과 제주올레걷기축제를 사례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173-183, 2015

      6 한영규, "소품문 글쓰기와 ‘林園經濟’ -李鈺의 『白雲筆』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18 (18): 907-931, 2008

      7 명계수, "로하스 사회에서 유기농 과자 패키지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8 (8): 141-152, 2010

      8 김미리, "라이프스타일의 유형별 스타마케팅의 관심도 및 헤어행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2 (12): 167-179, 2011

      9 정순희, "라이프스타일 연구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소비문화학회 5 (5): 5-128, 2002

      10 진성수, "동양철학의 생명관과 힐링콘텐츠" 동양철학연구회 (75) : 7-37, 2013

      11 김무한, "건강환경 조성을 위한 주의회복이론 관점의 치유환경 고찰 - 청계천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5 (45): 94-104, 2017

      12 김용표, "蘇東坡의 養生 수련을 통해 본 ‘웰빙’ 정신 - 『東坡志林』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62) : 3-34, 2010

      13 김성진,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동양한문학회 30 (30): 203-233, 2010

      14 김은슬, "『閒情錄』 現傳本에 나타난 문헌의 인용방식과 그 체계" 한국서지학회1 (33) : 55-88, 2009

      15 김혜자, "『甁花史』를 통해 본 花藝的 意味"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3) : 69-91, 2010

      16 윤재환, "『惺叟詩話』 속 風格 用語를 통해 본 許筠의 ‘淸’系列 風格 硏究 ­ 淸勁’⋅‘淸切’⋅‘淸楚’⋅‘淸越’을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63) : 9-41, 2016

      17 "‘Chosun Ilbo Life Show’ Homepage"

      18 You, H. J., "Yoo-hi-sam-mae(遊戲三昧 )―The Art and Taste of Scholars" Hakgojae 2003

      19 Choi, C. J., "Urban Feng-shui" Whang-gum-na-chimban 2008

      20 "The Cleveland Museum of Art"

      21 Park, Y. H., "Study on"Han-jeong-rok(閑情錄)"" 5 : 237-255, 1991

      22 Lee, Y. L., "Study on Heo Gyun’s Dream Stories" 29 : 49-72, 1994

      23 "Seong-so-bu-bu-go(惺所覆瓿藁)" DB of Korean Classics

      24 "Seon-jo-sil-rok(宣祖實錄)" DB of Korean Classics

      25 Ahn, D. S., "Planning on the Healing Garden of a Psychiatric Hospital" 10 (10): 9-19, 2006

      26 Go, Y. H., "Painting, Indulge in Literature" Art Books 2001

      27 "Natural Marketing Institute homepage"

      28 Kim, P. K. translation, "My Humble Room" Thaehaksa 2004

      29 Jeong, S., "Lee Toe Kye’s"Whal-in-sim-bang(活人心方)"" Bumwoosa 1998

      30 Kang, H. 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partment in the Dimension of Therapeutic Garden" 4 (4): 57-64, 2004

      31 Kim, Y. T, "Hwabyung(火病). Economic Review"

      32 Jeong, M., "Heo Gyun’s"Dong-guk-myung-san-dong-cheon-ki(東國名山洞天註解記"and Meaning of Taoism Cultural History" 14 : 37-70, 2000

      33 Kim, Y. J., "Heo Gyun’s Thought of Agricultural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Han-jeong-rok(閑情錄)"" 9 (9): 105-115, 1986

      34 Park, Y. H., "Heo Gyun’s Taoism Thought through the Examination of Biographies" 4 : 133-166, 1990

      35 Shin, B. J., "Heo Gyun’s Life and Thought" 19 : 118-133, 2002

      36 Seoul Calligraphy Art Museum, "Heart of Choseon in PoetryㆍCalligraphyㆍPainting"

      37 Yang, H. S., "Healing to Happiness" 9 : 90-120, 2013

      38 "Han-jeong-rok(閑情錄)" DB of Korean Classics

      39 Han, Y. G., "Envy of ‘Han-jeok(閒適)’ and"Han-jeong-rok(閑情錄)"" 19 : 165-176, 2002

      40 "Dictionary of Personal Name of All Ages of China"

      41 "Cittaslow International Headquarter"

      42 Heo, K. J., "Chronological Record of Heo Gyun" Bogosa 2013

      43 "Chosun Ilbo.(2107. 8. 17). B1 side"

      44 "Chosun Ilbo.(2107. 10. 25). B2 side"

      45 Choi, S. K., "Choseon Scholar’s Mind Study, Jeong-Jwa(靜坐)" Bo-go-sa 2014

      46 Kim, Y. S., "Agricultural Theory of"Han-jeong-rok(閑情錄)"" 52 : 19-39, 1986

      47 Kim, Y. G., "Aesthetics of Slow in Life Slow City, Implementation of Femininity through the Urban Area Type Olle Roads" (Fall) : 24-31, 2010

      48 Lee, E. Y., "A Study on the Guideline for Healing Landscape Planning in the Apaartment Complex"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Land Housing Institute 2015

      49 Son, M. H., "A Study on Heo-gyun’s Political Ideas" 15 : 35-50, 2002

      50 Kim, S. H., "A Study on Heo Gyun’s Han-jeong-rok(『A Study on Concepts of ‘Utopia’ in Korean Literature』)" Ilsinsa 152-170, 1973

      51 Kim, Y. B., "A Study on Heo Gyun(1)" 89 : 137-155, 1983

      52 Kim, S. Y., "A Basic Survey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12 (12): 11-20, 2008

      53 엄 경 섭, "<閒情錄>을 통해 본 허균의 독서경향" 동남어문학회 1 (1): 155-179, 2015

      54 정숙인, "<惺?詩話>에 나타난 許筠의 風格批評" 우리문학회 (19) : 261-284, 2006

      5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Future Preparatory Committee, "10 Years Later Korea,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ook Publishing JISK GONGGAM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