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극”의 지속을 위한 모색과 화두로서의 “중간극” = The Survival Plan of the New-drama Group and the Middle-theater as a Agend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30년대 후반기 조선연극계의 화두로 부각되었던 ‘중간극’이 불러온 담론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중간극’은 일본에서발생한 절충적 연극을 가리키는 개념이었으나, ...

      본고는 1930년대 후반기 조선연극계의 화두로 부각되었던 ‘중간극’이 불러온 담론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중간극’은 일본에서발생한 절충적 연극을 가리키는 개념이었으나, 박영호가 논의한 ‘중간극’은 오히려 일본의 신협극단에서 표방한 ‘신극의 대중화’ 노선과 유사한 것이었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2기 활동에 접어든 극연의 행보와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극연은 ‘중간극’에 대해 애매한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신극’이라는 기호에 내재된 문화자본을 유지하는것이 극연의 기존 관객층이던 지식인들을 결집시키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극’이 지닌 가치는 흥행극과의 ‘구별짓기’를 통해 구성된 것이었으므로, 극연은 중앙무대의 공연이 흥행극에 불과하다고 비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극연의 문화자본 독점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는 가운데, 신극과 중간극의 실질적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게 되자, 신극의 외연은 중간극을 포함한 ‘신극계’로 확장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신극 진영은 중간극에 대한 입장 차이를 계기로 삼아 점차 분화되기도 했다. 이후 중간극이라는 용어는 점차 담론장에서 사라지게 되지만, 그 문제의식은 ‘신극의 매력’이라는 용어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는 1930년대 후반에 이르러 관객들의 계층이 혼합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 것과 관련되는데, 상업성을 기준으로 신극과 흥행극을 구분지어 왔던 기존의 분법적 논리는 결국 유효성을 상실하게 된다. 즉, 신극은 스스로의 가치를 실증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기에 산출되었던 이론비평들은 신극의 지속을 위한 진지한 모색이라는 점에서 주목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elucidate the discourses brought on by the ‘middle-theater’ that appeared as an agenda for the Chosun theatrical world in late 1930’s. The middle-theater referred to the eclectic theatrical works appeared in Japan. But Park`s...

      This study tries to elucidate the discourses brought on by the ‘middle-theater’ that appeared as an agenda for the Chosun theatrical world in late 1930’s. The middle-theater referred to the eclectic theatrical works appeared in Japan. But Park`s claim for middle-thater was similar to the popularized way of the Shin-hyup and the second period of the Keuk-yeon. Meanwhile, the Keuk-yeon had no option but to take a doubtful position about middle-theater. This is because the maintaining the cultural capital included in the sign ‘new-drama’ was a way to unify the existing audience of the Keuk-yeon - the intellects. Moreover, as the value of the new-drama had been formed through a distinction from commercial plays, Keuk-yeon could not help denounce the play of Chungangmudae as nothing but a commercial play. But there were complaints about the monopolistic cultural capital of the Keuk-yeon, and it was hard to identify an actual difference between new-drama and middle theater. Therefore, the extension of new-drama was expanded as new-drama world that included the middle-theater group. Moreover, the new-drama group had become gradually differentiated in adopting different position about middle-theater. Afterwards, the term of middle-theater disappeared from the field of discourse, but it’s critical consciousness was succeeded by the term ‘attraction’ of the new-drama. This had relevance to the audience pool that displayed a tendency of a class mixing. Finally, the existing dichotomy to divide new-drama and middle-theater according to commercialism was no longer useful in late 1930’s. In other words, the new-drama group was given the task of proving its value of existence. Therefore, focus must be centered around the fact that the theoretical criticism produced at this time was the result of earnest effort to find the survival plan of new-dram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승국, "한국현대희곡론" 연극과 인간 2001

      2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연구" 고대출판부 1982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4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5 양승국, "한국근대연극비평사 연구" 태학사 1996

      6 "조선일보"

      7 "조광"

      8 피에르 부르디외, "재생산" 동문선 2000

      9 이정숙, "일본의 신협극단이 극예술연구회에 미친 영향" 한국어문학회 (98) : 435-459, 2007

      10 이광욱, "유치진 연극론의 매체 인식과 1930년대 관객의 감정구조" 한국극예술학회 (38) : 47-90, 2012

      1 양승국, "한국현대희곡론" 연극과 인간 2001

      2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연구" 고대출판부 1982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4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5 양승국, "한국근대연극비평사 연구" 태학사 1996

      6 "조선일보"

      7 "조광"

      8 피에르 부르디외, "재생산" 동문선 2000

      9 이정숙, "일본의 신협극단이 극예술연구회에 미친 영향" 한국어문학회 (98) : 435-459, 2007

      10 이광욱, "유치진 연극론의 매체 인식과 1930년대 관객의 감정구조" 한국극예술학회 (38) : 47-90, 2012

      11 "영화 연극"

      12 효도 히로미, "연기된 근대" 연극과 인간 2005

      13 권두현, "연극경연대회의 탄생과 제도화 -동아일보사 주최 연극경연대회의 정치경제학-" 한국극예술학회 (31) : 11-56, 2010

      14 "삼천리"

      15 "사해공론"

      16 "비판"

      17 "매일신보"

      18 이민영, "동아일보사 주최 연극경연대회와 신극의 향방" 한국극예술학회 (42) : 125-147, 2013

      19 "동아일보"

      20 유치진, "동랑 유치진 전집 8" 서울예대출판부 1996

      21 이광욱, "기술복제 시대의 극장과 1930년대 ‘신극’ 담론의 전개" 한국극예술학회 (44) : 49-99, 2014

      22 스가이 유키오, "근대 일본연극 논쟁사" 연극과 인간 2003

      23 "극예술"

      24 김남석, "극단 낭만좌(浪漫座) 공연의 대중 지향성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44) : 11-48, 2014

      25 김남석, "극단 고협(高協)의 창단 과정과 초기 공연사 연구 - 1938년 ‘고려영화협회’ 만주 로케이션부터 1941년 ‘고협’ 창단 2주년 직전까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55-173, 2009

      26 박영정, "극단 ‘조선연극협회’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 : 1995

      27 피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새물결 2005

      28 오자와 요시오, "20세기의 일본연극" 연극과 인간 2005

      29 김남석, "1930년대 극단 ‘인생극장(人生劇場)’과 ‘중간극’의 의미" 한국연극학회 1 (1): 101-132, 2013

      30 김남석, "1930년대 大衆劇團 ‘中央舞臺’의 공연사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 (1): 261-285, 2007

      31 김남석, "1930년대 ‘중간극’ 이념의 생성과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 1937~1939년 시점을 중심으로 -" 한국극예술학회 (48) : 14-47, 2015

      32 양승국, "1920-30년대 연극비평 연구 : 이론비평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5 :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