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이용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관 변화 = Chang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through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9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through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ttended a lecture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in Pusan university. On the pre-te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were very traditional. Twenty-thre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at described the interpretive system were developed as a way to recognize various views on science. Forty-fiv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ad the materials at the beginning of 12 classes on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Twenty-nin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d not read the materials. For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read th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ir scientific perspective moved from inductivism and falsificationism toward relativism and a compounded tendency.
      However, falsificationism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hose who had not read the reading materi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through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ttended a lecture `Theor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through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attended a lecture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in Pusan university. On the pre-te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science were very traditional. Twenty-thre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at described the interpretive system were developed as a way to recognize various views on science. Forty-fiv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ad the materials at the beginning of 12 classes on `Theory of common science education'. Twenty-nin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d not read the materials. For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read the reading materials about science history, their scientific perspective moved from inductivism and falsificationism toward relativism and a compounded tendency.
      However, falsificationism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those who had not read the reading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사 읽기 자료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공통과학교육론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관련 전공 예비 과학교사 74명이다. 사전검사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과학관이 전통적인 관점에 편중되어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이 다양한과학관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석적 체계로 서술된 23개의 과학사읽기 자료를 개발하였다. 45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공통과학 교육론 수업시작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었고, 29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과학사읽기 자료를 읽지 않았다. 과학사 읽기 활동은 공통과학교육론 수업 시간중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하는 동안 이루어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12차시 동안 수업이 시작할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고, 자신의과학철학적 관점을 점검하도록 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으면서공통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받은 경우,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관은 귀납, 반증주의에서 상대주의 및 혼합성향으로다소 변화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지 않은 집단에 대해서는 소수만과학관의 변화를 가져 왔고, 반증주의 성향이 다소 증가하였다.
      번역하기

      과학사 읽기 자료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공통과학교육론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관련 전공 예비 과학교사 74명이다. 사전검사...

      과학사 읽기 자료를 통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공통과학교육론을 수강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관련 전공 예비 과학교사 74명이다. 사전검사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의과학관이 전통적인 관점에 편중되어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이 다양한과학관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해석적 체계로 서술된 23개의 과학사읽기 자료를 개발하였다. 45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공통과학 교육론 수업시작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었고, 29명의 예비 과학교사는 과학사읽기 자료를 읽지 않았다. 과학사 읽기 활동은 공통과학교육론 수업 시간중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하는 동안 이루어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12차시 동안 수업이 시작할 때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고, 자신의과학철학적 관점을 점검하도록 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으면서공통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철학 관련 수업을 받은 경우,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관은 귀납, 반증주의에서 상대주의 및 혼합성향으로다소 변화하였다. 과학사 읽기 자료를 읽지 않은 집단에 대해서는 소수만과학관의 변화를 가져 왔고, 반증주의 성향이 다소 증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 J. So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8

      2 C. Sutton, 18 : 1-, 1996

      3 E. S. Kim, Ewha Womans University 1997

      4 J. Solomon, 29 : 409-, 1992

      5 K. S. Par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6 K. J. Lee, 28 : 85-, 2000

      7 S. K. Lee, 15 : 275-, 1995

      8 S. H. L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9 J. J. Gsllagher, 75 : 121-, 1991

      10 E. Y. Ch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1

      1 W. J. Soh,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8

      2 C. Sutton, 18 : 1-, 1996

      3 E. S. Kim, Ewha Womans University 1997

      4 J. Solomon, 29 : 409-, 1992

      5 K. S. Park,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6 K. J. Lee, 28 : 85-, 2000

      7 S. K. Lee, 15 : 275-, 1995

      8 S. H. L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2

      9 J. J. Gsllagher, 75 : 121-, 1991

      10 E. Y. Ch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1

      11 J. Solomon, 29 : 409-, 1992

      12 M. R. Matthews, 1 : 11-, 1992

      13 W. Jung, 3 : 99-, 1994

      14 A. G. Ryan, 76 : 559-, 1992

      15 W. J. Soh, 15 : 349-, 1995

      16 N. G. Lederman, 29 : 331-, 1992

      17 홍상욱, "해석적인 서술방식으로 구성된 과학 읽기 자료가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234-245, 2004

      18 백성혜, "예비 중등과학 교사들의 물체의 운동 개념의 과학사적 관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49-1062, 2004

      19 이길재, "과학사에 근거한 학생들의 진화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5-39, 2006

      20 강석진,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996-1007, 2004

      21 백성혜, "고등학교 학생들의 물체 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관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17-329, 2006

      22 H. H. Cho, "Theory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Gyoyook Gyahak Sa 1994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24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xplanation of High School Curriculum" Daehan Printing & Publishing 2001

      25 R. Millar,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King’s College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