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리 메쇼닉의 리듬론은 현대시의 리듬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주목한 것은 메쇼닉의 리듬론이 소쉬르의 언어학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80801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5-266(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앙리 메쇼닉의 리듬론은 현대시의 리듬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주목한 것은 메쇼닉의 리듬론이 소쉬르의 언어학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
앙리 메쇼닉의 리듬론은 현대시의 리듬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주목한 것은 메쇼닉의 리듬론이 소쉬르의 언어학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소쉬르가 제시한 언어의 특성과 리듬의 특성이 어떻게 연동하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소쉬르를 통해 얻은 언어의 본질과 우리가 이해하고자 하는 리듬의 특징 사이에는 유사성이 발견된다. 리듬은 모든 디스쿠르에 존재한다. 이러한 리듬의 특성 중에서 우리가 논의의 중점에 둔 대상은 시 텍스트의 리듬이다. 시의 리듬은 제반 리듬의 양상 중에서 가장 복잡한 경우이다. 언어의 본질에서 파악된 `가치` `체계` `역동성` `자의성` 등등의 개념이 시의 리듬이 지니는 특성으로 전이될 수 있다. 시의 리듬은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의미와 연관되는 가변적 체계이다. 우리가 리듬과 언어의 근원·특성·기능을 `통사―체계―차이―가치`의 연합 과정으로 집약할 수 있었던 근거는 소쉬르의 언어학에 있었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우리는 리듬이 언어의 본원적 특성임을 확인한다. 리듬은 담화 속에 출현하는 제 표시들의 조직화이다. 리듬은 의미와 담화가 창출하는 힘의 조직화이다. 다시 언급한다. 리듬은 형식적인 도식이 아니다. 리듬은 영원성을 추구하지 않는다. 리듬은 우주적 질서로 귀결되는 선험적인 운율학적 개념이 아니다. 리듬은 고정되지 않는다. 리듬은 도식이 아니라 변형이다. 리듬은 하나의 원칙이 아니라 다항을 구성하는 복수성이다. 리듬은 의미작용 전체를 관할하고 조직하는 힘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nri Meschonnic`s rhythm of the theory is a powerful tool to understand the rhythm of contemporary poetry. The fact that we note in this thesis is that the Meschonnic`s rhythm started from Saussure`s lingu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a...
Henri Meschonnic`s rhythm of the theory is a powerful tool to understand the rhythm of contemporary poetry. The fact that we note in this thesis is that the Meschonnic`s rhythm started from Saussure`s lingu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and rhythm of the speech are interlocked.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nature of the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Rhythm exists in every discour. The focus we place on the discussion is the rhythm of the poetry text. The rhythm of the poetry are most complex. The concept `value`, `system` `dynamism` `arbitrary` of a language, is transferred to the rhythm characteristics of the poem. The rhythm of poetry is not a fixed structure. The rhythm of poetry is a variable system that connects with meaning. The origin, nature and function of rhythm and language can be aggregated into the combined process of `syntax― system―difference―value`. This is the linguistic science of Saussure. We confirm that the rhythm i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language. Rhythm is the organizing of all the elements that appear in the discour. Rhythm is the organizing force of power generated by meaning and speech. Refer to again. Rhythm is not a formal schema. Rhythm is not a cadence concept that leads to cosmic order. Rhythm does not seek immortality. Rhythm is not a cosmic order. Rhythm is not fixed. Rhythm is not a schematic. Rhythm is a variant. Rhythm is not a principle. Rhythm is the redundancy of the multiple. Rhythm is the force that governs and organizes the whole sense of mean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2 Émile Benvenist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Ⅰ" 민음사 1992
3 최용호, "일반언어학 노트: 기호에서 가치로" 한국기호학회 19 (19): 281-318, 2006
4 Ferdinand De Saussure, "일반언어학 노트" 인간사랑 2007
5 Ferdinand De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9
6 조재룡,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시학⋅번역⋅주체" 길 2007
7 Lucie Bourassa, "앙리 메쇼닉―리듬의 시학을 위하여" 인간사랑 2007
8 Henri Meschonnic, "시학을 위하여 1" 새물결 2004
9 최용호, "소쉬르의 숭고한 대상 - 차이의 우주로서의 랑그" 한국기호학회 33 : 391-413, 2012
10 Ferdinand De Saussure,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제3차 일반언어학 강의 1910∼1911" 민음사 2017
1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2 Émile Benveniste, "일반언어학의 제문제Ⅰ" 민음사 1992
3 최용호, "일반언어학 노트: 기호에서 가치로" 한국기호학회 19 (19): 281-318, 2006
4 Ferdinand De Saussure, "일반언어학 노트" 인간사랑 2007
5 Ferdinand De Saussure,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9
6 조재룡, "앙리 메쇼닉과 현대비평―시학⋅번역⋅주체" 길 2007
7 Lucie Bourassa, "앙리 메쇼닉―리듬의 시학을 위하여" 인간사랑 2007
8 Henri Meschonnic, "시학을 위하여 1" 새물결 2004
9 최용호, "소쉬르의 숭고한 대상 - 차이의 우주로서의 랑그" 한국기호학회 33 : 391-413, 2012
10 Ferdinand De Saussure,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제3차 일반언어학 강의 1910∼1911" 민음사 2017
11 조재룡, "소쉬르와 클레에 있어서 기호와 디스쿠르" 한국기호학회 21 (21): 387-419, 2007
12 조재룡, "리듬과 통사" (가을) : 2015
13 김성도, "기호, 리듬, 우주―기호학적 상상력을 위하여" 인간사랑 2007
14 김성도, "가상대담-현대의 언어사상 잉태시킨 소쉬르" (235) : 1998
1910∼20년대의 상징주의 수용 양상과 실패 요소 분석 - 황석우 초기 상징시에 나타난 상징을 중심으로 -
`율` 시조문학동인 연구 - 1965년부터 1970년대까지의 활동상과 대표작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제어문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32 | 0.2 |
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영어의미론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정운가치와 규범
부산외국어대학교 한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