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에 결성되어 활동한 율동인은 한국 현대 시조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65년 동인지 첫 호를 발간한 율 동인은 1969년 까지 5권의 동인지를 발간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율 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80800
2017
Korean
시조 ; 율 ; 동인 ; 박재두 ; 서벌 ; 김교한 ; 김춘랑 ; 조오현 ; 김호길 ; 이월수 ; Sijo ; Yul ; Pak Jae Doo ; So Bol ; Jo O-hyun ; Kim Kyo-han ; Kim Ho-kil ; Kim Chun-rang ; Yi Wol-su ; literary club
KCI등재
학술저널
207-244(3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65년에 결성되어 활동한 율동인은 한국 현대 시조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65년 동인지 첫 호를 발간한 율 동인은 1969년 까지 5권의 동인지를 발간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율 동...
1965년에 결성되어 활동한 율동인은 한국 현대 시조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1965년 동인지 첫 호를 발간한 율 동인은 1969년 까지 5권의 동인지를 발간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율 동인 구성원이었던 김호길, 박재두, 서벌, 조오현등의 주요 시조 시인이 현대시조단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시조문학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크다. 본고에서는 『시조문학』 『경남신문』, 『율동인시조선집』등을 중심으로 율 동인의 활동상을 연구한다. 그동안 율 동인이 간행했던 5권의 동인지는 제 4권을 제외하고는 확인된 바가 없다. 그러나 1997년 『율동인시조선집』이라는 이름으로 복간호를 발간한 바 있는데 그 책 또한 출간과 동시에 전량 파기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율 동인의 탄생과 활동등을 조명할 자료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동인의 유족이 보유한 『율동인시조선집』을 확보하고 그 책에 수록된 동인 선언문과 머리글, 축시등을 확인하여 `율` 동인에 대한 총체적인 조명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고는 『율동인시조선집』을 분석한 논문으로서 `율` 동인과 동인지가 20세기 한국 현대 시문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점검하며 율 동인의 존재 의미를 탐구한다. 율동인은 현대 시조단의 대표적인 동인으로 꼽을 수 있다.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시조 동인과 시조 동인지를 조명함으로써 문학사에서 누락된 시조 동인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복원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little researched Sijo poetry club named Yul. Yul was created as a literary club in 1965 and officially dissembled in 1969 when their literary journal with the same title, Yul came to discontinue. The members publis...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little researched Sijo poetry club named Yul. Yul was created as a literary club in 1965 and officially dissembled in 1969 when their literary journal with the same title, Yul came to discontinue. The members published 5 volumes of poetry collections. Even after the club was dissembled, the members continued to create poems and contributed to the fiel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examining diverse documents and books that deal with the activities of Yul members and by analyzing their texts and the philosophy of Sijo poetry its members maintained,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tribute to locating their due place in Korean literary history. Such poets as So Bol, Pak Jae Doo, Kim Ho-gill, Kim kyo-han, Kim Chun-rang and Cho Oh Hyun, who played significant roles in developing Sijo poetry since 1960s deserve adequate scholarly attention. This paper examines diverse magazines such as Sijo Munhak and Si-mun hak.
Through the forewords and statements included in the collected poems of Yul members, which was published in 1997, this paper also argues that Yul members were genuinely interested in recuperating the long neglected literary tradition of Sijo in modern Korean literature. By both theorizing their literary views and publishing numerous Sijo poetry with merit, Yul members contributed to Sijo genre. They should be recognized as major figures in the field of sijo.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우걸, "「아름다운 시어와 비판정신」. 이호우 이영도 문학기념회 간" (창간) : 113-127, 1992
2 이지엽, "현대시조창작강의" 고요아침 401-, 2014
3 이지엽, "현대시조작가론II" 태학사 129-146, 2007
4 최라영, "현대시 동인의 시세계" 예옥 2006
5 "현대문학 1974년 2월호"
6 임수만, "한알 사리로 다지는 노래" 193-207, 2006
7 이동주, "중간은 비틀거리는가" 280-, 1973
8 김복근, "율동인의 시조사적 의의" 19 : 2009
9 율시조문학동인회, "율동인시조선집" 도서출판 나라 1997
1 이우걸, "「아름다운 시어와 비판정신」. 이호우 이영도 문학기념회 간" (창간) : 113-127, 1992
2 이지엽, "현대시조창작강의" 고요아침 401-, 2014
3 이지엽, "현대시조작가론II" 태학사 129-146, 2007
4 최라영, "현대시 동인의 시세계" 예옥 2006
5 "현대문학 1974년 2월호"
6 임수만, "한알 사리로 다지는 노래" 193-207, 2006
7 이동주, "중간은 비틀거리는가" 280-, 1973
8 김복근, "율동인의 시조사적 의의" 19 : 2009
9 율시조문학동인회, "율동인시조선집" 도서출판 나라 1997
10 조춘희, "운초 시조의 실험성과 시적 주체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1 박진임, "운초 박재두의 시조관과 시조 세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15) : 418-454, 2004
12 김동렬, "운초 박재두 시조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5
13 박진임, "얇은 동인지에 큰 꿈을 실어" (87) : 2015
14 박재두, "쑥뿌리사설" 태학사 2004
15 김선태, "쑥뿌리사설" 태학사 136-, 2004
16 "시조문학 13집∼29집" 시조문학사
17 임선묵, "시조동인지의 양상"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7
18 박을수, "시조동인지 연구" 19 (19): 1977
19 "시인 1969.12월호"
20 "시문학 1집∼15집" 현대시학사
21 "시문학 1집∼ 3집" 청운출판사
22 이지엽, "순수와 화해와 자존의 내면 풍경" 열린시조사 (5) : 157-158, 1997
23 박시교, "설득력: 박재두 시세계를 중심으로" 89-91, 1975
24 원은희, "서벌 시조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2
25 조춘희, "박재두 시조의 형식 실험 연구" 42 : 165-186, 2005
26 황치복, "박재두 시조에 나타난 형식의 미학" 한국시조학회, 독서문 화콘텐츠학회 2015
27 진주문인협회, "문예정신 4: 빛과 노래" 문예정신사 1981
28 이재선, "명교수의 문학해설 전집" 국민출판공사 401-403, 1982
29 이우걸, "균형의 시학: 박재두의 시조세계" 6 : 238-249, 2001
30 "경남신문"
31 이우걸, "경남시조 사반세기" 도서출판 경남 311-312, 2007
32 강희근, "경남문학의 흐름" 보고사 2001
33 경남시조시인협회, "경남 시조 사반세기" 도서출판 경남 2007
34 박헌호, "同人誌에서 新春文藝로―등단제도의 권력적 변환" 대동문화연구원 (53) : 5-40, 2006
35 경남문인협회, "(광복50주년 기념) 경남문학사" 경남문인협회 출판 1995
1910∼20년대의 상징주의 수용 양상과 실패 요소 분석 - 황석우 초기 상징시에 나타난 상징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제어문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3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