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광수의 미술비평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9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광수가 남긴 세 편의 미술비평문을 분석하여, 이광수의 예술의식을 들여다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광수는 근대 문학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의 글은 다양한 시각과 각도로 연구되었다. 그럼에도 유독 그의 ‘미술비평문’은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데, 이는 문인들이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광수는 최초의 현장비평문을 작성해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비평의 문을 열었으며, 전람회라는 문물을 조선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이광수의 미술비평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그의 미술비평문에서 그가 가진 예술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미술감상안을 문명인이 되는 일대요건으로 꼽았던 이광수는 새로운 문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예술의 필요성을 역설했기에, 그의 미술비평문을 독해하는 일은 그가 이룩하고자 했던 근대의 세계와 문명인의 요건을 확인하는 일이 된다. 미술비평문에는 그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예술의 구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광수의 주목받지 못했던 미술비평문을 예술과 관련된 글들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 의식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그의 예술세계의 외연을 넓힐 수 있을 것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광수가 남긴 세 편의 미술비평문을 분석하여, 이광수의 예술의식을 들여다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광수는 근대 문학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의 글은 다양한 시...

      이 글은 이광수가 남긴 세 편의 미술비평문을 분석하여, 이광수의 예술의식을 들여다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광수는 근대 문학사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의 글은 다양한 시각과 각도로 연구되었다. 그럼에도 유독 그의 ‘미술비평문’은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데, 이는 문인들이 작성한 미술비평문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광수는 최초의 현장비평문을 작성해 근대적인 의미의 미술비평의 문을 열었으며, 전람회라는 문물을 조선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이광수의 미술비평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그의 미술비평문에서 그가 가진 예술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미술감상안을 문명인이 되는 일대요건으로 꼽았던 이광수는 새로운 문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예술의 필요성을 역설했기에, 그의 미술비평문을 독해하는 일은 그가 이룩하고자 했던 근대의 세계와 문명인의 요건을 확인하는 일이 된다. 미술비평문에는 그가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예술의 구체적인 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광수의 주목받지 못했던 미술비평문을 예술과 관련된 글들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 의식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그의 예술세계의 외연을 넓힐 수 있을 것에 의미가 있을 것이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 art reviews left by Lee Kwang-soo and looks into Lee Kwang-soo"s artistic consciousness. Lee Kwang-s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his writing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ngles. Nevertheless, his "art criticism" has not been particularly subject to research, which can be caused by distrust in art criticism written by writers. Lee Kwang-soo wrote the first on-site criticism, opening the door to modern art criticism, and introducing the culture of exhibition to Joseon.
      Above all,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e Kwang-soo"s art criticism is that you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in his art criticism. Lee Kwang-soo, who claimed that art appreciation was a requirement to become a civilized person, emphasized the need for art to move toward a new civilization. Studying his art criticism, thus,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modern world and the requirements of civilized people he wanted to achiev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 art reviews left by Lee Kwang-soo and looks into Lee Kwang-soo"s artistic consciousness. Lee Kwang-s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his writing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

      This study explores the three art reviews left by Lee Kwang-soo and looks into Lee Kwang-soo"s artistic consciousness. Lee Kwang-s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his writings have been stud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angles. Nevertheless, his "art criticism" has not been particularly subject to research, which can be caused by distrust in art criticism written by writers. Lee Kwang-soo wrote the first on-site criticism, opening the door to modern art criticism, and introducing the culture of exhibition to Joseon.
      Above all, the reason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Lee Kwang-soo"s art criticism is that you can see his artistic consciousness in his art criticism. Lee Kwang-soo, who claimed that art appreciation was a requirement to become a civilized person, emphasized the need for art to move toward a new civilization. Studying his art criticism, thus,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modern world and the requirements of civilized people he wanted to achie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東京’이라는 근대와 ‘文明人’의 요건
      • 3. ‘先覺者’의 발견과 ‘文明’에의 진입
      • 4. 藝術 : ‘眞’과 ‘美’의 일치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東京’이라는 근대와 ‘文明人’의 요건
      • 3. ‘先覺者’의 발견과 ‘文明’에의 진입
      • 4. 藝術 : ‘眞’과 ‘美’의 일치
      • 5.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구열, "한국근대미술산고" 을유문화사 1972

      2 최 열, "한국근대미술비평사" 열화당 2016

      3 오광수, "한국 현대미술비평사" 미진사 1998

      4 임두빈, "일제강점기 한국미술의 특징과 제 경향" 동양학연구원 (45) : 273-293, 2009

      5 박정심, "이광수의 근대 주체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철학사연구회 (45) : 127-152, 2015

      6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솔 2001

      7 이은선, "이광수 초기 문장의 ‘미(美)’ 개념 연구" 국제어문학회 (70) : 107-129, 2016

      8 이광수, "이광수 전집" 누리미디어 2011

      9 신동욱, "이광수 소설에 설정된 지도자상의 형상화 고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83 : 1-46, 1994

      10 서승희, "도쿄라는 거울 - 이광수의 『동경잡신(東京雜信』(1016)에 나타난 도쿄 표상과 자기 인식" 이화어문학회 (38) : 159-176, 2016

      1 이구열, "한국근대미술산고" 을유문화사 1972

      2 최 열, "한국근대미술비평사" 열화당 2016

      3 오광수, "한국 현대미술비평사" 미진사 1998

      4 임두빈, "일제강점기 한국미술의 특징과 제 경향" 동양학연구원 (45) : 273-293, 2009

      5 박정심, "이광수의 근대 주체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철학사연구회 (45) : 127-152, 2015

      6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솔 2001

      7 이은선, "이광수 초기 문장의 ‘미(美)’ 개념 연구" 국제어문학회 (70) : 107-129, 2016

      8 이광수, "이광수 전집" 누리미디어 2011

      9 신동욱, "이광수 소설에 설정된 지도자상의 형상화 고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83 : 1-46, 1994

      10 서승희, "도쿄라는 거울 - 이광수의 『동경잡신(東京雜信』(1016)에 나타난 도쿄 표상과 자기 인식" 이화어문학회 (38) : 159-176, 2016

      11 김홍희, "나혜석 미술 작품에 나타난 양식의 변화" 현대미술사학회 (12) : 115-138, 2000

      12 이광수, "구경ㅅ군의 感想"

      13 金容哲, "韓國近代 美術評論연구 : 1900年頃부터 1945年 解放前까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1978

      14 이광수, "藝術의 今日, 明日"

      15 이광수, "藝術과 人生" 1922

      16 이광수, "民族改造論" 1922

      17 이광수, "東京雜新-12. 文部省美術展覽會記"

      18 이광수, "新生活論"

      19 이광수, "小說家의 準備" 1936

      20 이광수, "天才야, 天才야" 1917

      21 이광수, "大邱에서"

      22 이광수, "任氏夫妻展素人印象記"

      23 이지희, "1920-30년대 파리 유학 작가 연구" 인물미술사학회 8 : 179-218, 2012

      24 윤범모, "1910년대의 서양회화 수용과 작가의식" 한국미술사학회 203 : 111-156,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9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