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적혈구생성자극제와 헤모글로빈 변이성 = Hemoglobin Variability Associated with Erythropoiesis Stimulating Ag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1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빈혈은 혈액투석 환자에게 나타나는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입원율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1).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에서 빈혈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목표치 안에서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2). National Kidney Foundation Kidney Dialysis Outcomes Quality Initiative (NKF-K/DOQI) guidelines에서는 헤모글로빈의 목표치를 11-12 g/dL로 제시하고 13 g/dL 이상은 피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3), 이는 헤모글로빈 수치를 13 g/dL로 정상화시키면 오히려 좋지 않은 임상 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4). 혈액투석 환자에서 빈혈의 주원인은 신기능 상실로 인해 조혈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므로 주기적으로 외부에서 적혈구 생성 자극제을 투여 받아야만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투여하는 적혈구 생성 자극제는 체내에서 분비되는 것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작용하기 어렵고 수용체 친화성에도 차이가 있다5). 안정적으로 유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서도 헤모글로빈의 주기적 변동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고6), 이러한 헤모글로빈의 변이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사망률이 증가한다7,8)는 보고가 있어 헤모글로빈 변이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번역하기

      빈혈은 혈액투석 환자에게 나타나는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입원율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1).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에서 빈혈과 그로 인한 합병증...

      빈혈은 혈액투석 환자에게 나타나는 매우 흔한 합병증으로 입원율 및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1).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에서 빈혈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목표치 안에서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2). National Kidney Foundation Kidney Dialysis Outcomes Quality Initiative (NKF-K/DOQI) guidelines에서는 헤모글로빈의 목표치를 11-12 g/dL로 제시하고 13 g/dL 이상은 피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3), 이는 헤모글로빈 수치를 13 g/dL로 정상화시키면 오히려 좋지 않은 임상 결과를 보이기 때문이다4). 혈액투석 환자에서 빈혈의 주원인은 신기능 상실로 인해 조혈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므로 주기적으로 외부에서 적혈구 생성 자극제을 투여 받아야만 헤모글로빈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투여하는 적혈구 생성 자극제는 체내에서 분비되는 것과는 달리 지속적으로 작용하기 어렵고 수용체 친화성에도 차이가 있다5). 안정적으로 유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서도 헤모글로빈의 주기적 변동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고6), 이러한 헤모글로빈의 변이성을 보이는 환자에서 사망률이 증가한다7,8)는 보고가 있어 헤모글로빈 변이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경, "혈액투석 환자에서 적혈구생성자극제 사용과 헤모글로빈 변이성" 대한신장학회 30 (30): 41-47, 2011

      2 Kalantar-Zadeh K, "Warnock DG: Time-dependent associations between iron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16 : 3070-3080, 2005

      3 Besarab A, "The effects of normal as compared with low hematocrit values in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 who are receiving hemodialysis and epoetin" 339 : 584-590, 1998

      4 Weiner DE, "Reducing versus discontinuing erythropoietin at high hemoglobin levels" 18 : 3184-3191, 2007

      5 Macdougall IC,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intravenous and subcutaneous continuous erythropoietin receptor activator (C.E.R.A.)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1 : 1211-1215, 2006

      6 Macdougall IC, "Optimizing the use of erythropoietic agents--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onsiderations" 17 (17): 66-70, 2002

      7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an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2007 update of hemoglobin target" 50 : 471-530, 2007

      8 Lundsgaard-Hansen P, "Is there a generally valid, minimum acceptable hemoglobin level" 16 : 167-175, 1989

      9 Gaillard HM, "Hemoglobin/hematocrit and other erythrocyte parameters" 4 : 15-40, 1986

      10 Kalantar-Zadeh K, "Hemoglobin variability in anemia of chronic kidney disease" 20 : 479-487, 2009

      1 박수경, "혈액투석 환자에서 적혈구생성자극제 사용과 헤모글로빈 변이성" 대한신장학회 30 (30): 41-47, 2011

      2 Kalantar-Zadeh K, "Warnock DG: Time-dependent associations between iron an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16 : 3070-3080, 2005

      3 Besarab A, "The effects of normal as compared with low hematocrit values in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 who are receiving hemodialysis and epoetin" 339 : 584-590, 1998

      4 Weiner DE, "Reducing versus discontinuing erythropoietin at high hemoglobin levels" 18 : 3184-3191, 2007

      5 Macdougall IC,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intravenous and subcutaneous continuous erythropoietin receptor activator (C.E.R.A.)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1 : 1211-1215, 2006

      6 Macdougall IC, "Optimizing the use of erythropoietic agents--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onsiderations" 17 (17): 66-70, 2002

      7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an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2007 update of hemoglobin target" 50 : 471-530, 2007

      8 Lundsgaard-Hansen P, "Is there a generally valid, minimum acceptable hemoglobin level" 16 : 167-175, 1989

      9 Gaillard HM, "Hemoglobin/hematocrit and other erythrocyte parameters" 4 : 15-40, 1986

      10 Kalantar-Zadeh K, "Hemoglobin variability in anemia of chronic kidney disease" 20 : 479-487, 2009

      11 Yang W, "Hemoglobin variability and mortality in ESRD" 18 : 3164-3170, 2007

      12 Gilbertson DT, "Hemoglobin level variability: associations with mortality" 3 : 133-138, 2008

      13 Fishbane S, "Hemoglobin cycling in hemodialysis patients treated with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68 : 1337-1343, 2005

      14 Brunkhorst R, "German Aranesp Study Group: Darbepoetin alfa effectively maintains haemoglobin concentrations at extended dose intervals relative to intravenous or subcutaneous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dialysis patients" 19 : 1224-1230, 2004

      15 Hayashi K, "Effect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on the treatment of anemia with erythropoietin" 60 : 1910-1916, 2001

      16 Parfrey PS, "Double-blind comparison of full and partial anemia correction in incident hemodialysis patients without symptomatic heart disease" 16 : 2180-2189, 2005

      17 Halstenson CE, "Comparativ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epoetin alfa and epoetin beta" 50 : 702-712, 1991

      18 Singh AK, "CHOIR Investigators: Correction of anemia with epoetin alfa in chronic kidney disease" 355 : 2085-2098, 2006

      19 Macdougall IC, "CERA (Continuous Erythropoietin Receptor Activator): a new 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anemia" 4 : 436-440, 2005

      20 Besarab A, "Ba16285 Study Investigators: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intravenous continuous erythropoietin receptor activator: a 19-week, phase II, multicenter, randomized, open-label, dose-finding study with a 12-month extension phas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disease" 29 : 626-639, 2007

      21 Maraldi C, "Association between anemia and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patients: role of comorbidity" 18 : 485-49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