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산 무취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 분석 =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 on Odorless Korea Propol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로폴리스는 약 200가지 화합물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는 복합물질로 알려져 있다. 가장 중요한 물질은 플라보노이드들이며, 식물의 줄기 및 꽃의 여러 부분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의 기능성 물질로 담황색 과 노란색을 띠고 있는 페놀계 화합물이다. 생체내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항산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항암 등의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폴리스의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특유의 강한 냄새 때문에 제품화에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프로폴리스에 비교하여 강한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프로폴리스는 총페놀함량이 약 14%로 나타났으며,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는 약 10%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기존의 프로폴리스에서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미비하게 나타났으나,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 10 mg/㎖ 농도에서는 약 7%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유의 강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한 프로폴리스 소재는 건강 기능성 식품 기술과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적용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기능성 음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프로폴리스는 약 200가지 화합물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는 복합물질로 알려져 있다. 가장 중요한 물질은 플라보노이드들이며, 식물의 줄기 및 꽃의 여러 부분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의 기...

      프로폴리스는 약 200가지 화합물과 미네랄 등이 함유되어 있는 복합물질로 알려져 있다. 가장 중요한 물질은 플라보노이드들이며, 식물의 줄기 및 꽃의 여러 부분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의 기능성 물질로 담황색 과 노란색을 띠고 있는 페놀계 화합물이다. 생체내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항산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항암 등의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폴리스의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특유의 강한 냄새 때문에 제품화에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프로폴리스에 비교하여 강한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의 프로폴리스는 총페놀함량이 약 14%로 나타났으며,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는 약 10%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기존의 프로폴리스에서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이 미비하게 나타났으나, 냄새를 제거한 프로폴리스 10 mg/㎖ 농도에서는 약 7%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유의 강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한 프로폴리스 소재는 건강 기능성 식품 기술과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적용하고 여러 가지 형태의 기능성 음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가람,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7 (27): 834-839, 2017

      2 우순옥, "국내에서 수집한 프로폴리스의 DPPH 자유전자 소거 효과" 한국양봉학회 28 (28): 355-359, 2013

      3 우순옥,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페놀함량 비교" 한국양봉학회 30 (30): 293-298, 2015

      4 "https://en.wikipedia.org/wiki/Propolis"

      5 P. Migas, "The significance of arbutin and its derivatives in therapy and cosmetics" 13 : 35-40, 2015

      6 A. H. Banskota, "Recent progress in pharmacological research of propolis" 15 : 561-571, 2001

      7 "Propolis:Medline plus supplements"

      8 V. S. Bankova, "Propolis: recent advances in chemistry and plant origin" 31 (31): 15-, 2000

      9 J. M. Sforcin, "Propolis: is there a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133 : 253-260, 2011

      10 O. Pawel, "Propolis induces chondroitin/dermatan sulphate and hyaluronic acid accumulation in the skin of burned wound" 2013

      1 양가람,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7 (27): 834-839, 2017

      2 우순옥, "국내에서 수집한 프로폴리스의 DPPH 자유전자 소거 효과" 한국양봉학회 28 (28): 355-359, 2013

      3 우순옥,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페놀함량 비교" 한국양봉학회 30 (30): 293-298, 2015

      4 "https://en.wikipedia.org/wiki/Propolis"

      5 P. Migas, "The significance of arbutin and its derivatives in therapy and cosmetics" 13 : 35-40, 2015

      6 A. H. Banskota, "Recent progress in pharmacological research of propolis" 15 : 561-571, 2001

      7 "Propolis:Medline plus supplements"

      8 V. S. Bankova, "Propolis: recent advances in chemistry and plant origin" 31 (31): 15-, 2000

      9 J. M. Sforcin, "Propolis: is there a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133 : 253-260, 2011

      10 O. Pawel, "Propolis induces chondroitin/dermatan sulphate and hyaluronic acid accumulation in the skin of burned wound" 2013

      11 J. Cabanes,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46 (46): 982-985, 1994

      12 K. E. Heim, "Flavonoids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13 : 572-584, 2002

      13 I. Jasprica,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croatian propolis samples using DPPH and ABTS stable free radical assays" 12 : 1006-1021, 2007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2015

      15 B. B. Silva, "Chemical composition and botanical origin of red propolis, a new type of brazilian propolis" 5 : 313-316, 2008

      16 S. M. Alencar,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a new type of Brazilian propolis: red propolis" 113 : 278-283, 2007

      17 "Bulletin type health functional food"

      18 J. Fearnely, "Bee propolis" Souvenir Press Ltd 2001

      19 N. J. Lowe, "Azelaic acid 20%cream in the treatment of facial hyperpigmentation in darker-skinned patients" 20 (20): 945-959, 1998

      20 Y. M. Choi,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Korea" 39 : 756-761, 2006

      21 S. Kumazawa, "Antioxidant activity of propolis of various geographic origins" 84 : 329-339, 2004

      22 장혜리,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s against Skin Pathogen" 한국양봉학회 30 (30): 61-66, 2015

      23 C. M. Gomez, "Advances in th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products derived from bees" 41 : 1220-123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31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