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 Identity Development of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Confrontation with Their Own Bo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3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live in the time wher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ourselves with our bodies. Our bodies and experiences are only to be objectifie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arrow criteria for bodies to meet and where bodies are standardized in a ...

      We live in the time wher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ourselves with our bodies.
      Our bodies and experiences are only to be objectifie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arrow criteria for bodies to meet and where bodies ar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here were three major topics discussed in this study on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how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interact with their own bodies, which are the root of their identity, against the negative perception outside, why the adolescents’ confrontation with impaired body should be supported, and how to boost up those interact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 could be critical to one’s identity, however people tried to keep their identity with coping mechanism. The impairment experiences were recognized and assessed through not only social factors but also individual factors. Students at school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face their impairment, and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about their body. They could develop their own ways of coping and build realistic prospect upon their lives while they communicated with other students with impairment. This necessary process was to be widely suppor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는 자신의 몸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신체에 대한 협애한 표준이 상정되고 그에 따라 신체의 획일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자신의 신체와 그 신체의 경험은 대상화...

      우리는 자신의 몸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신체에 대한 협애한 표준이 상정되고 그에 따라 신체의 획일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자신의 신체와 그 신체의 경험은 대상화될 뿐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신체손상이 있는 청소년들이 외부의 부정적 시선 속에서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자기 신체와 어떻게 교류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손상이 있는 자신의 신체와 마주하는 과정에 대한 지원이 왜 필요한지, 그 과정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손상은 정체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간은 나름의 대처방법을 동원하여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손상과 그에 대한 경험은 사회적 요소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서전적 요소에 의해서 지각되고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신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청소년기에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손상과 마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손상과 관련된 경험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 자신의 신체와 보다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나아가서 삶에 대한 현실적인 전망을 세울 수 있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옥, "학교를 칭찬하라" 궁리 2009

      2 박수경,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영향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265-286, 2006

      3 이영미, "지체장애인의 성적 존중감과 신체적 존중감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결혼유지상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4) : 69-85, 2011

      4 박재국,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28, 2015

      5 이지수, "장애학의 쟁점. 영국 사회모델의 의미와 한계" 학지사 2013

      6 이영미, "장애여성의 성적존중감과 신체존중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7) : 49-75, 2007

      7 조석현,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사나이" 이마고 2006

      8 임지원, "스피노자의 뇌, 기쁨 슬픔, 느낌의 뇌과학" 사이언스 북스 2007

      9 채기화, "무력한 조력자" 궁리 2013

      10 임인숙, "몸의 사회학" 나남 2011

      1 이미옥, "학교를 칭찬하라" 궁리 2009

      2 박수경,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영향요인"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265-286, 2006

      3 이영미, "지체장애인의 성적 존중감과 신체적 존중감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결혼유지상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4) : 69-85, 2011

      4 박재국, "중증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삶의 만족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28, 2015

      5 이지수, "장애학의 쟁점. 영국 사회모델의 의미와 한계" 학지사 2013

      6 이영미, "장애여성의 성적존중감과 신체존중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체장애와 뇌병변장애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7) : 49-75, 2007

      7 조석현,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사나이" 이마고 2006

      8 임지원, "스피노자의 뇌, 기쁨 슬픔, 느낌의 뇌과학" 사이언스 북스 2007

      9 채기화, "무력한 조력자" 궁리 2013

      10 임인숙, "몸의 사회학" 나남 2011

      11 김명남, "몸에 갇힌 사람들" 창비 2011

      12 김효진, "모든 몸은 평등하다. 장애여성들의 몸으로 말하기" 삶창 12-57, 2012

      13 김린, "데카르트의 오류. 감정, 이성, 그리고 인간의 뇌" 중앙문화사 1999

      14 이재훈, "놀이와 현실"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5 김승욱, "나는 침대에서 내 다리를 주웠다" 알마 2012

      16 조성기, "기억, 꿈, 이데올로기" 김영사 2007

      17 정재곤, "관계, 사랑과 애착의 자연사(自然史)" 궁리 2009

      18 조효재,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한울 1997

      19 강진영, "거부당한 몸" 그린비 2013

      20 Watson, Nick, "Well, I Know This is Going to Sound Very Strange to You, But I Don`t See Myself as a Disabled Person: Identity and Disability" 17 (17): 509-527, 2002

      21 Dornes, M., "The Competent Baby. The Preverbal Development of Human Being" Fischer 1998

      22 Dederich, M., "The Body and Pain - Is It Not a Topic for Special Education?" 3 : 82-90, 2009

      23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24 Cloerkes, G., "Sociology of Handicapped" Winter 2001

      25 Klein, T., "Self-Concept and Coping-Process of Patient after Legamputation" Dortmund University 2003

      26 Daut, V., "Research on Life with Duchenne’s Muscular Dystrophy and Another Questions" 52 (52): 36-55, 2007

      27 Fries, A.,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Physically Handicapped-On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Concerned" Athena 2005

      28 Lapper, A., "My Life in My Hands" Blauvalet 2008

      29 Tillmann, B., "Making One’s Own Disability as Class Topic" 7 : 276-280, 2000

      30 Fornefeld, B., "Made by Body–Stimulus in Special Education" 3 : 107-114, 2009

      31 Glofke-Schulz, E.-M., "Living with Disabilities-Learn Each Other" 54 (54): 231-243, 2009

      32 Markowetz, R., "Identity Development and Puberty–Crisis and Identity Related Experience of Adolescent with Disabilities" 39 (39): 136-174, 2000

      33 Friske, A., "How It is to be Intellecually Handicapped as a Women" Ernst Reinhardt 1995

      34 Ortland, B., "Handicapped or Inhibited in Lifestyle?" 55 (55): 166-184, 2010

      35 Ortland, B., "Focusing on One’s Disability" Klinkhardt 43-53, 2006

      36 Fassbinder, K-J., "Focusing on One’s Disability" Klinkhardt 68-81, 2006

      37 Ortland, B., "Focusing on One’s Disability" Klinkhardt 31-42, 2006

      38 Ortland, B., "Do not Make Me into a Disabled!" 11 : 419-426, 2006

      39 Klee, E., "Disabled. Expropriated Body and Consciousness" Fischer 1987

      40 Lindmeier, B., "Dictionary for Special Education" Klinkhardt 214-218, 2007

      41 Leyendecker, Ch., "Development of Self-Concept and Coping-Process in the Life of Impaired Body" Klinkhardt 12-30, 2006

      42 Bruner, C. F., "Body and Disabilities in Discourse" 1 : 33-53, 2005

      43 Fornefeld, B., "Body & Machine –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People in Need" Verlag selbstbestimmtes leben 115-137, 2004

      44 Meyer-Drawe, K., "Beautiful Body. Prisoner or Prison?" 12 : 12-15, 2001

      45 Leyendecker, Ch., "About Behavior Disorder of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Physical Disabilities" 3 : 291-303,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