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도설로 보는 한국유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유학자 12명의 도설을 풀이하고 설명해놓은 저서이다.

      조선시대 유학자 12명의 도설을 풀이하고 설명해놓은 저서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책을 내면서 = 5
      권근의 『입학도설』과 그 영향 / 장숙필 = 15
      1. 들어가는 말 = 15
      2. 입학도설의 구성 = 17
      1. 전집의 구성 = 17
      2. 후집의 구성 = 19
      3. 『입학도설』에 나타난 성리학 이해 = 24
      1. 기본적 이해 = 24
      2. 천인심성에 대한 이해 = 32
      3. 『대학』과 『중용』 및 오경에 대한 이해 = 31
      4. 『역』에 대한 이해 = 47
      5. 「홍범」 및 「무일」에 대한 이해 = 52
      4. 권근의 성리학 이해의 특징과 그 영향 = 55
      조식의 「학기도」 / 이애희 = 58
      1. 머리말 = 58
      2. 「학기도」의 체계 = 59
      3. 「학기도」의 내용 = 61
      1. 도의 실상을 밝히는 그림 = 63
      2. 수양에 관한 그림 = 75
      4. 맺는 말 = 86
      이황의 「성학십도」 / 윤사순 = 89
      1. 이황의 대표적 저작 = 89
      2. 1도에서 5도까지 : 천도에 근본하여 인륜을 밝히고 덕업에 힘씀 = 91
      1. 제1도 「태극도」 = 91
      2. 제2도 「서명도」 = 95
      3. 제3도 「소학도」 = 101
      4. 제4도 「대학도」 = 104
      5. 제5도 「백록동규도」 = 109
      3. 6도에서 10도까지 : 심성에 근본하여 일용에 힘쓰고 경외의 태도를 높임 = 111
      1. 제6도 「심통정성도」 = 111
      2. 제7도 「인설도」 = 116
      3. 제8도 「심학도」 = 119
      4. 제9도 「경재잠도」 = 121
      5. 제10도 「숙흥야매잠도」 = 124
      4. 도표화한 성리학의 종합적 편술 = 127
      1. '성학'의 개념과 「성학십도」의 제작 목적 = 127
      2. 도표화와 편술 = 129
      5. 이 책의 주요 사상 = 132
      1. 언급된 사상 요소들 = 132
      2. 역점을 둔 사상 경향 = 133
      6. 『성학십도』의 사상적 독창성 = 135
      이이의 「심성정도」·「인심도심도설」 / 김경호 = 138
      1. 머리말 = 138
      2. 주희의 심성에 대한 관점 = 139
      1. 심성의 기본적 전제 : 성즉리와 심통성정 = 139
      2. 심에 대한 두 관점 : 기지정상과 합리기 = 142
      3. 「심성정도」·「인심도심도설」에 대한 분석 = 145
      1. 심성정도 = 145
      2. 인심도심도설 = 149
      4. 도설에 나타난 심성 이론 = 154
      1. 사단칠정의 문제 = 154
      2. 인심도심의 문제 = 157
      5. 맺는 말 = 163
      장현광의 역학과 세계 이해 / 김낙진 = 165
      1. 머리말 = 165
      2. 우주의 사업과 『역』 = 167
      3. 보편학으로서의 『역』 = 170
      1. 역리와 태극 = 170
      2. 상수 = 173
      4. 경위체용론 = 175
      1. 경위·체용 = 175
      2. 경위체용론과 선·후천역관 = 178
      5. 물류와 감응의 세계 = 182
      6. 리의 인식 = 187
      7. 맺음말 = 193
      도설을 통해 본 윤후의 심성수양론 / 유영희 = 196
      1. 들어가는 말 = 196
      2. 도설 개요 = 197
      3. 「인심도심도」를 통해 본 윤후의 심성론 = 200
      1. 제1도 「안심도심도(상)」 = 200
      2. 제2도 「인심도심도(중)」 = 204
      3. 제3도 「인심도심도(하)」 = 207
      4. 도설을 통해 본 윤후의 수양론 = 213
      1. 제8도 「공자달도달덕구경지도」 = 213
      2. 제9도 「대학지도」 = 216
      3. 제10도 「중용지도」 = 218
      4. 제11도 「태공단서경의지도」 = 220
      4. 맺는 말 = 223
      도해에 나타난 정제두의 심학적특성 / 김용헌 = 227
      1. 들어가는 글 = 227
      2. 양명학적 문제 의식 = 228
      3. 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 = 231
      4. 양지설 = 238
      5. 도해에 나타난 양명학적 특성 = 242
      1. 「양지도」 = 242
      2. 「대학경문이절도」 = 246
      3. 「중용양절도」 = 252
      6. 맺음말 = 256
      도설을 통해 본 한진원의 성삼층설 / 유영희 = 258
      1. 들어가는 말 = 258
      2. 한원진의 도설 개요 = 260
      1. 「대학도」 = 260
      2. 「중용도」 = 262
      3. 『역학답문』에 대한 그림 = 264
      3. 리기성장에 대한 그림을 통해 본 한원진의 인성론 = 273
      1. 리일분수와 기질의 선악 = 275
      2. 「리기성정도」에 나타난 심성론의 사회적 성격 = 284
      4. 맺는 말 = 286
      김석문의『역학이십사도해』 / 장숙필 = 289
      1. 들어가는 말 = 289
      2. 생애와 인물 = 291
      3. 『역학이십사도해』의 구성과 내용 = 295
      4. 『역학이십사도해』에 나타난 사상 = 307
      1. 태극 및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 = 307
      2. 지전설과 지구설 = 310
      3. 순환론적 역사관 = 313
      5. 사상적 특징 = 316
      황윤석의 동서양자연학의 절충과 시대적 한계 / 김낙진 = 319
      1. 머리말 = 319
      2. 『리수신편』의 구성 = 322
      3. 성리학적 자연 철학 = 325
      1. 기후 설명에 나타난 음양오행론 = 325
      2. 상수학과 수에 대한 관념 = 329
      3. 전통 철학의 역할과 가치 = 332
      4. 전통 자연학과 서학의 공존과 갈등 = 335
      1. 서학 수용의 성과와 한계 = 335
      2. 학문 방법론과 박학 지향성 = 341
      5. 맺음말 = 345
      이항로의「성정도」및「역도」, 기타 / 김형찬 = 348
      1. 머리말 = 348
      2. 우주론 : 역학도설 = 351
      1.「복희팔괘방위지도」 = 351
      2.「문왕팔괘바위지도」 = 353
      3.「선천후천도괘설」 = 355
      4.「선천후천괘위합도」 = 356
      3. 심성론 : 성정도설 = 357
      1.「성정중화도설」 = 357
      2.「사단칠정도설」 = 360
      4. 사회론 : 정전제와 예 = 364
      1.「정려도」 = 364
      2.「심의도」 = 365
      5. 결론 = 367
      보론 : 기타 도설 자료 개관 = 369
      1. 역학 = 369
      2. 자연 = 361
      3. 악 = 372
      4. 학교 = 372
      이진상의「심도」 및「주재도」, 기타 / 김형찬 = 373
      1. 머리말 = 373
      2. 리의 주재성 :「주재도설」 = 375
      3. 심의 정중동과 동중정 :「심역동정도설」 = 379
      4. 삼강령, 육사, 팔조목과 경 :「명덕총괄지도」·「지지선표적지도」·「강조공관도」 = 382
      5.『중용』의 구조 : 「중용사지육절도」 = 386
      6. 심과『심경』의 요체 : 「심경장도」, 「심경찬도」, 「순우전심도」외 = 388
      7. 맺음말 = 390
      번역하기

      책을 내면서 = 5 권근의 『입학도설』과 그 영향 / 장숙필 = 15 1. 들어가는 말 = 15 2. 입학도설의 구성 = 17 1. 전집의 구성 = 17 2. 후집의 구성 = 19 3. 『입학도설』에 나타난 성리학 이해 = 24 ...

      책을 내면서 = 5
      권근의 『입학도설』과 그 영향 / 장숙필 = 15
      1. 들어가는 말 = 15
      2. 입학도설의 구성 = 17
      1. 전집의 구성 = 17
      2. 후집의 구성 = 19
      3. 『입학도설』에 나타난 성리학 이해 = 24
      1. 기본적 이해 = 24
      2. 천인심성에 대한 이해 = 32
      3. 『대학』과 『중용』 및 오경에 대한 이해 = 31
      4. 『역』에 대한 이해 = 47
      5. 「홍범」 및 「무일」에 대한 이해 = 52
      4. 권근의 성리학 이해의 특징과 그 영향 = 55
      조식의 「학기도」 / 이애희 = 58
      1. 머리말 = 58
      2. 「학기도」의 체계 = 59
      3. 「학기도」의 내용 = 61
      1. 도의 실상을 밝히는 그림 = 63
      2. 수양에 관한 그림 = 75
      4. 맺는 말 = 86
      이황의 「성학십도」 / 윤사순 = 89
      1. 이황의 대표적 저작 = 89
      2. 1도에서 5도까지 : 천도에 근본하여 인륜을 밝히고 덕업에 힘씀 = 91
      1. 제1도 「태극도」 = 91
      2. 제2도 「서명도」 = 95
      3. 제3도 「소학도」 = 101
      4. 제4도 「대학도」 = 104
      5. 제5도 「백록동규도」 = 109
      3. 6도에서 10도까지 : 심성에 근본하여 일용에 힘쓰고 경외의 태도를 높임 = 111
      1. 제6도 「심통정성도」 = 111
      2. 제7도 「인설도」 = 116
      3. 제8도 「심학도」 = 119
      4. 제9도 「경재잠도」 = 121
      5. 제10도 「숙흥야매잠도」 = 124
      4. 도표화한 성리학의 종합적 편술 = 127
      1. '성학'의 개념과 「성학십도」의 제작 목적 = 127
      2. 도표화와 편술 = 129
      5. 이 책의 주요 사상 = 132
      1. 언급된 사상 요소들 = 132
      2. 역점을 둔 사상 경향 = 133
      6. 『성학십도』의 사상적 독창성 = 135
      이이의 「심성정도」·「인심도심도설」 / 김경호 = 138
      1. 머리말 = 138
      2. 주희의 심성에 대한 관점 = 139
      1. 심성의 기본적 전제 : 성즉리와 심통성정 = 139
      2. 심에 대한 두 관점 : 기지정상과 합리기 = 142
      3. 「심성정도」·「인심도심도설」에 대한 분석 = 145
      1. 심성정도 = 145
      2. 인심도심도설 = 149
      4. 도설에 나타난 심성 이론 = 154
      1. 사단칠정의 문제 = 154
      2. 인심도심의 문제 = 157
      5. 맺는 말 = 163
      장현광의 역학과 세계 이해 / 김낙진 = 165
      1. 머리말 = 165
      2. 우주의 사업과 『역』 = 167
      3. 보편학으로서의 『역』 = 170
      1. 역리와 태극 = 170
      2. 상수 = 173
      4. 경위체용론 = 175
      1. 경위·체용 = 175
      2. 경위체용론과 선·후천역관 = 178
      5. 물류와 감응의 세계 = 182
      6. 리의 인식 = 187
      7. 맺음말 = 193
      도설을 통해 본 윤후의 심성수양론 / 유영희 = 196
      1. 들어가는 말 = 196
      2. 도설 개요 = 197
      3. 「인심도심도」를 통해 본 윤후의 심성론 = 200
      1. 제1도 「안심도심도(상)」 = 200
      2. 제2도 「인심도심도(중)」 = 204
      3. 제3도 「인심도심도(하)」 = 207
      4. 도설을 통해 본 윤후의 수양론 = 213
      1. 제8도 「공자달도달덕구경지도」 = 213
      2. 제9도 「대학지도」 = 216
      3. 제10도 「중용지도」 = 218
      4. 제11도 「태공단서경의지도」 = 220
      4. 맺는 말 = 223
      도해에 나타난 정제두의 심학적특성 / 김용헌 = 227
      1. 들어가는 글 = 227
      2. 양명학적 문제 의식 = 228
      3. 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 = 231
      4. 양지설 = 238
      5. 도해에 나타난 양명학적 특성 = 242
      1. 「양지도」 = 242
      2. 「대학경문이절도」 = 246
      3. 「중용양절도」 = 252
      6. 맺음말 = 256
      도설을 통해 본 한진원의 성삼층설 / 유영희 = 258
      1. 들어가는 말 = 258
      2. 한원진의 도설 개요 = 260
      1. 「대학도」 = 260
      2. 「중용도」 = 262
      3. 『역학답문』에 대한 그림 = 264
      3. 리기성장에 대한 그림을 통해 본 한원진의 인성론 = 273
      1. 리일분수와 기질의 선악 = 275
      2. 「리기성정도」에 나타난 심성론의 사회적 성격 = 284
      4. 맺는 말 = 286
      김석문의『역학이십사도해』 / 장숙필 = 289
      1. 들어가는 말 = 289
      2. 생애와 인물 = 291
      3. 『역학이십사도해』의 구성과 내용 = 295
      4. 『역학이십사도해』에 나타난 사상 = 307
      1. 태극 및 음양오행에 대한 이해 = 307
      2. 지전설과 지구설 = 310
      3. 순환론적 역사관 = 313
      5. 사상적 특징 = 316
      황윤석의 동서양자연학의 절충과 시대적 한계 / 김낙진 = 319
      1. 머리말 = 319
      2. 『리수신편』의 구성 = 322
      3. 성리학적 자연 철학 = 325
      1. 기후 설명에 나타난 음양오행론 = 325
      2. 상수학과 수에 대한 관념 = 329
      3. 전통 철학의 역할과 가치 = 332
      4. 전통 자연학과 서학의 공존과 갈등 = 335
      1. 서학 수용의 성과와 한계 = 335
      2. 학문 방법론과 박학 지향성 = 341
      5. 맺음말 = 345
      이항로의「성정도」및「역도」, 기타 / 김형찬 = 348
      1. 머리말 = 348
      2. 우주론 : 역학도설 = 351
      1.「복희팔괘방위지도」 = 351
      2.「문왕팔괘바위지도」 = 353
      3.「선천후천도괘설」 = 355
      4.「선천후천괘위합도」 = 356
      3. 심성론 : 성정도설 = 357
      1.「성정중화도설」 = 357
      2.「사단칠정도설」 = 360
      4. 사회론 : 정전제와 예 = 364
      1.「정려도」 = 364
      2.「심의도」 = 365
      5. 결론 = 367
      보론 : 기타 도설 자료 개관 = 369
      1. 역학 = 369
      2. 자연 = 361
      3. 악 = 372
      4. 학교 = 372
      이진상의「심도」 및「주재도」, 기타 / 김형찬 = 373
      1. 머리말 = 373
      2. 리의 주재성 :「주재도설」 = 375
      3. 심의 정중동과 동중정 :「심역동정도설」 = 379
      4. 삼강령, 육사, 팔조목과 경 :「명덕총괄지도」·「지지선표적지도」·「강조공관도」 = 382
      5.『중용』의 구조 : 「중용사지육절도」 = 386
      6. 심과『심경』의 요체 : 「심경장도」, 「심경찬도」, 「순우전심도」외 = 388
      7. 맺음말 = 3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