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0학년도 신입생의 대학진학에 관한 계열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2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is that when freshmen enroll university, it can be judged student’s consciousness and interes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opinion regarding general information, family relations, economical situation and freshman’s entering univ...

      The purpose is that when freshmen enroll university, it can be judged student’s
      consciousness and interes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opinion regarding general
      information, family relations, economical situation and freshman’s entering university. Also the purpose is to educate and to teach for adapting very well. In addition, this info is useful for judging the freshmen’Ås opinion who is the consumer of education and for attracting freshmen to university.
      This info is focused on making various education, research and administrative
      countermeasure and obtaining Implications for university management. Based on that, it can be judged freshmen’s feature concretely and also can be founded educational policy, student guidance, Freshmen attracting strategy. In addition, it can be donated for student’s development and developing people who have a capacity and talent requesting from society.
      Firstly,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of application value means that according to how many university student apply, the average value which is exited on same group is marked, “A" means Harmonic Average =214.082, “B" means Group’Äs size is not equal.
      Secondly, Regarding the purpose for entering university, the result is for choosing
      better occupation (885 people, 61.1% more than majority), the motivation of entrance is job prospection after graduation (645 people, 45.0%).
      Thirdly, when applying, the affecting media is Homepage(625 people, 44.3% near
      majority). The student visiting Busan Wemen’s University is 679 people, 44.3%, so almost student visited university before entrance.
      Fourthly, The student who have already known curriculum and prospection is 933
      people, 61.1%, so it is higher rate, and η1e student satisfying their Major is 899 people, 58.7%. It shows also higher ra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연구의 목적 1
      • Ⅱ.조사대상 및 방법 2
      • 1.조사대상 2
      • 2.조사도구 및 내용 2
      • Ⅰ.서론 1
      • 1.연구의 목적 1
      • Ⅱ.조사대상 및 방법 2
      • 1.조사대상 2
      • 2.조사도구 및 내용 2
      • (1)일반적인 사항 3
      • (2)가족사항 및 경제사정 3
      • (3)대학진학 및 본교 관련 3
      • (4)대학생활 3
      • 3.조사실시 및 자료처리 3
      • Ⅲ.신입생의 대학진학 계열별 분석현황 4
      • 1.일반적인 사항 4
      • (1)연령별 분포도 현황 4
      • (2)종교현황 5
      • (3)본인의 주 성장 지역 5
      • (4)부산지역 구청별 거주지역 6
      • (5)재수의 경험여부 6
      • (6)출신고등학교의 계열별 형태 7
      • (7)입학 후 거주형태 7
      • 2.계열별 신입생들의 대학 진학형태 8
      • (1)대학진학시 원서접수와 지원형태 8
      • 1)대학진학시 원서 접수 현황 8
      • 2)대학진학시 합격 현황 9
      • 3)대학 진학시 합격시기 10
      • 4)대학의 진학목적 10
      • 5)본교에 대한 입학 만족도 11
      • 6)본교에 입학한 동기 11
      • (2)진학에 영향을 미친 매개체 12
      • 1)본교 지원에 영향을 미친 매체 12
      • 2)입학 전 대학 홈페이지와 학과 홈페이지 방문 여부 13
      • (3)부산여자대학 선택여부 14
      • 1)원서 접수 전 부산여대 방문 여부 14
      • 2)본 대학을 선택한 이유 14
      • 3)교수에게 기대감과 의논하고 싶은 문제 15
      • 4)학과를 선택하게 된 동기 16
      • 5)학과 선택시 영향을 준 사람 17
      • 6)학과 선택시기 17
      • (4)선택한 학과에 대한 정보 및 만족도 18
      • 1)학과 전공내용, 전망 등에 대한 정보 정도 18
      • 2)학과에 대한 만족도 19
      • 3)전과 의향 19
      • Ⅳ.결론 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