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광수, "흙, 이광수 전집 6" 삼중당 1962
2 세치야마 가쿠, "한국사회와 일본사회의변용" 아연출판부 2006
3 소현숙, "한국 '근대가족'의 식민주의적 기원과 남은 유산들 - 가족법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84) : 307-336, 2021
4 야마우치 히사시, "터부의 수수께끼" 사람과사람 1997
5 김은하, "중산층 가정소설과 불안의 상상력 :강신재의 장편 연재소설을 대상으로" 대중서사학회 (22) : 115-145, 2009
6 프로이트, "종교의 기원" 열린책들 1997
7 안미영, "전후 지식인의 연애 윤리-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회 4 : 2010
8 로즈마리 통, "자연, 여성, 환경" 한신문화사 2000
9 신정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문학적 변형과 위장 - 김동리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65) : 235-267, 2015
10 조르주 바따이유, "에로티즘" 민음사 1996
1 이광수, "흙, 이광수 전집 6" 삼중당 1962
2 세치야마 가쿠, "한국사회와 일본사회의변용" 아연출판부 2006
3 소현숙, "한국 '근대가족'의 식민주의적 기원과 남은 유산들 - 가족법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84) : 307-336, 2021
4 야마우치 히사시, "터부의 수수께끼" 사람과사람 1997
5 김은하, "중산층 가정소설과 불안의 상상력 :강신재의 장편 연재소설을 대상으로" 대중서사학회 (22) : 115-145, 2009
6 프로이트, "종교의 기원" 열린책들 1997
7 안미영, "전후 지식인의 연애 윤리-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회 4 : 2010
8 로즈마리 통, "자연, 여성, 환경" 한신문화사 2000
9 신정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문학적 변형과 위장 - 김동리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65) : 235-267, 2015
10 조르주 바따이유, "에로티즘" 민음사 1996
11 엘렌 식수, "새로 태어난 여성" 나남 2008
12 강신재, "사랑의 묘약(上/下), 강신재대표작전집 7/8" 삼익출판사 1974
13 김은하,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26) : 299-330, 2011
14 소현숙, "부계혈통주의와 ‘건전한’ 국민 사이의 균열: 1950~70년대 동성동본금혼제를 둘러싼 법과 현실" 법과사회이론학회 (51) : 201-227, 2016
15 남은혜, "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 『내일의 태양』 원작소설과 영화의 비교 연구" 춘원연구학회 (14) : 7-44, 2019
16 김동윤, "박화성의 1950년대 신문소설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87-112, 2011
17 이혜경, "박경리의 『노을 진 들녘』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44) : 313-352, 2015
18 조윤아,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폭력 희생자들의 원죄의식" 인문학연구원 (41) : 137-168, 2011
19 이광수, "바로잡은 『무정』" 문학동네 2003
20 프로이트, "문명속의 불만" 열린책들 1997
21 조현설, "동아시아 창세신화연구(1)-남매혼 신화와 근친상간금지의 윤리학" 한국구비문학회 11 : 2000
22 박완서, "도시의 흉년(하), 박완서소설전집 3" 세계사 1993
23 이경훈, "대합실의 추억" 문학동네 2007
24 박경리, "노을진 들녘" 마로니에북스 2013
25 우에노 치즈코,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출판사 2000
26 허련화, "김동리 소설의 근친상간 모티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4) : 159-185, 2011
27 정재서, "금지된 욕망과 물의 서사" 한국중국소설학회 14 : 2001
28 박화성, "고개를 넘으면, 한국문학전집 11" 민중서관 1959
29 이광수, "개척자, 이광수 전집 1" 삼중당 1962
30 안경희, "가족법 개정사와 여성운동 :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젠더법학연구소 6 (6): 2014
31 김영희, "‘유혹하는 여성의 몸’과 남성 주체의 우울 — 비극적 구전서사 <달래나 보지>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51) : 75-117, 2013
32 강지희,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