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게임형식 기반의 인터랙티브 영화 스토리텔링 개발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8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active fiction and storytelling incorporate two significant elements of popular media and games: interactivity and a story. Traditionally interactive fiction and storytelling was text-based, though it has evolved to sometimes include other media ...

      Interactive fiction and storytelling incorporate two significant elements of popular media and games: interactivity and a story. Traditionally interactive fiction and storytelling was text-based, though it has evolved to sometimes include other media elements such as images, animation, and sound.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is an involved process that requires careful planning and consideration of content, media, and audience. A script or storyboard of some ilk is often the first document to be produced for an interactive program. However a story with interactive elements is much more complex than a traditional linear story, so when developing an interactive stor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scheme of organization for each part of the story and program. This scheme needs to work well enough that the people involved in producing the program can see how many elements are in each part of the overall program, and how they interrelate singularly.
      Like traditional story-telling, content is key. If a story is weak, the best imagery, sound and special effects in the world will not make it better. There needs to be a strong underlying narrative. Because interactive games deal with fantasy and science fiction as well as realistic and historical settings, a vivid imagination coupled with the ability to research a topic thoroughly is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앤드루 호튼,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한나래 2000

      2 앤드류 글래스너,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3 제시카 멀리건, "온라인게임기획, 이렇게 한다" 제우미디어 2003

      4 Friedl. Markus, "온라인 게임 기획 & 인터랙티비티" 정보문화사 2003

      5 Murray. Janet, "사이버 서사의 미래: 인터액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6 이정엽,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7 제이 데이비드 볼터, "글쓰기 공간 컴퓨터와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인쇄의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8 박주현, "게임이론의 이해" 해남 2001

      9 그로비스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 "게임이론" 21세기북스 2005

      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3861&cid=50305&categoryId=50305"

      1 앤드루 호튼,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한나래 2000

      2 앤드류 글래스너,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3 제시카 멀리건, "온라인게임기획, 이렇게 한다" 제우미디어 2003

      4 Friedl. Markus, "온라인 게임 기획 & 인터랙티비티" 정보문화사 2003

      5 Murray. Janet, "사이버 서사의 미래: 인터액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2001

      6 이정엽, "디지털 스토리텔링" 황금가지 2003

      7 제이 데이비드 볼터, "글쓰기 공간 컴퓨터와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인쇄의 재매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8 박주현, "게임이론의 이해" 해남 2001

      9 그로비스 매니지먼트 인스티튜트, "게임이론" 21세기북스 2005

      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3861&cid=50305&categoryId=50305"

      11 "http://blog.naver.com/secomida?Redirect=Log&logNo=20005913476"

      12 Bolter, J. David, "Writing Space: The Computer Hyper Space and The History of Writing" Erlbaum 2001

      13 오규환, "MMORPG의 스토리텔링과 퀘스트의 관계" 디지털 스토리텔링 학회 2003

      14 이동훈, "MMOG에서의 효과적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디자인 방법 연구" 상명대학교 2005

      15 Frasca,, Gonzalo, "LUDOLOGY MEETS NARRATOLOGY: Similitude and differences between (video)games and narrative" 3 : 1999

      16 Glassner, Andrew S., "Interactive Storytelling: Techniques for 21st Century Fiction" A K Peters, Ltd 2004

      17 Murray, Janet, "Hamlet on the Holodeck" MIT Press 1998

      18 Sheldon. Lee, "Character Development and Storytelling" Premier Press 2004

      19 권승태, "3막의 비밀, 스토리텔링의 보편적 법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