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전통누룩에서 분리한 효모 88-4로 제조한 술의 증류 특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을 검토하였다. 발효 마지막 날의 술덧 분석결과 알코올은 최종 발효 시에는 17.2%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succinic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특성을 검토하였다. 발효 마지막 날의 술덧 분석결과 알코올은 최종 발효 시에는 17.2%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가 최종 발효 시 가장 높은 7,164.7±85.2 ppm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입국에서 유래된 citric acid가 1,995±124.3 ppm로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조건에 따른 알코올 분석 결과 초류를 7% 버리고 본류를 50%까지 받아 증류 수율이 낮은 증류 조건 6이 알코올이 가장 낮은 29.6±0.0%였으며 본류만 30% 받은 증류 조건 4가 가장 높은 59.9±0.1%였다. n-propanol 분석 결과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163.4±18.3, 174.0±0.1 ppm이 측정되었고 isobutanol의 경우에도 n-propanol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234.5±28.2, 231.7±1.0 ppm이 측정되었다. Acetaldehyde는 1, 4번 조건 증류주에서 가장 높은 303.4±4.5, 325.4±13.1 ppm이 측정되었다. 증류 직후 공통적으로 14개의 휘발성분이 확인되었고 증류주 전체적으로 높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은 isoamyl alcohol이었다. 초류 커트와 상관없이 본류를 50% 받은 3, 5, 6, 7 번 증류 조건에서 달콤한 향을 나타나는 isobutyl alcohol, pleasant fruit과 floral 향을 내는 ethyl octanoate 높게 검출되었다. 증류 후 관능결과로는 1번 조건이 전체적인 기호도와 종합적 평가(5.8±0.9)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를 받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epare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separated from traditional Nuruk. From analysis of soju mash (sool-dut)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17.2% of alcohol was detecte...

      This study reviews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epare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separated from traditional Nuruk. From analysis of soju mash (sool-dut)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17.2% of alcohol was detected in the final fermentation with succinic acid present at the highest level (7,164.3±85.2 ppm). From the analysis of alcohol content in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s, distillation condition No. 6 showed the lowest amount of alcohol (29.6±0.0%), whereas distillation condition No. 4 showed the highest amount (59.9±0.1%). N-propanol has been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in distilled liquor under conditions No. 1 and 4, each being 163.4±18.3 and 174.0± 0.1 ppm, respectively. Isobutanol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n-propanol. Distilled liquor in conditions No. 1 and 4 has shown the highest acetaldehyde level, each being 303.4±4.5 and 325.4±13.1 ppm, respectively. After distillation, 14 volatile substances were found in common, with isoamyl alcohol present at the highest levels in all the distilled liquors. Distillation conditions No. 3, 5, 6, and 7 have shown high levels of isobutanol that emits a banana-like fragrance and ethyl octanoate that emits a pleasant fruity and floral fragr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희,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를 달리한 약주의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46-52, 2010

      2 최성인, "증류주의 품질 최적화를 위한 효모선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3887-3896, 2013

      3 정용진, "증류조건을 달리한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433-437, 2012

      4 이대형, "입국으로 제조한 증류주의 숙성에 따른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694-701, 2014

      5 이대형, "입국과 누룩으로 제조한 술의 감압과 상압증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5-32, 2014

      6 배상면, "쌀과 전분을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439-446, 2003

      7 권영희, "쌀 품종을 달리한 입국의 제조 및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70-76, 2013

      8 이대형, "배 첨가가 막걸리의 품질과 생리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606-611, 2009

      9 조호철, "동증류기를 이용한 과실증류주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743-752, 2013

      10 김혜련,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 42 (42): 75-81, 2010

      1 권영희, "찹쌀의 종류와 전처리를 달리한 약주의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46-52, 2010

      2 최성인, "증류주의 품질 최적화를 위한 효모선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3887-3896, 2013

      3 정용진, "증류조건을 달리한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 (19): 433-437, 2012

      4 이대형, "입국으로 제조한 증류주의 숙성에 따른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694-701, 2014

      5 이대형, "입국과 누룩으로 제조한 술의 감압과 상압증류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25-32, 2014

      6 배상면, "쌀과 전분을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439-446, 2003

      7 권영희, "쌀 품종을 달리한 입국의 제조 및 막걸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45 (45): 70-76, 2013

      8 이대형, "배 첨가가 막걸리의 품질과 생리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606-611, 2009

      9 조호철, "동증류기를 이용한 과실증류주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743-752, 2013

      10 김혜련,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 42 (42): 75-81, 2010

      11 송윤옥, "누룩 원료를 달리한 전통 증류주의 품질 특성"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12 이해창, "국 또는 개량 누룩으로 제조한 술덧을 감압 또는 상압으로 증류한 소주의 휘발성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880-886, 2010

      13 FACT, "Woorisool Treasure House. 1th ed.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14 In HY,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27 : 235-240, 1995

      15 TSINTSA,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1997

      16 An BH, "Research status of traditional liquors" 7 : 42-47, 1994

      17 Kim M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irits brewed with Phellinus linteus by different Nuruks" Korean Soc. Food Sci. Nutr 42 : 880-886, 2010

      18 Jang JH, "History of Korean tradition liquor" 4 : 271-274, 1989

      19 An BH, "Flavor promoted distilled spirit us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88-4"

      20 Lee D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42 : 75-81, 2010

      21 Bae SM, "Distilled soju production technology" Wogok Pub. Co 166-306, 2001

      22 So MH, "Changes in microorganism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12 : 226-232, 1999

      23 Min YK,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 distilled from Samil ju with various conditions" 24 : 440-446, 1992

      24 TSINTSA, "Alcoholic Liquors Quality Technic of Fie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