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군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內 안전보고 사례분석을 통한 지역(기지)별 위해요인 식별 및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Risk Factors by Region through Case analysis of Safety report in the ROKAF Integrated Air Conrtrol Management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recently added SMS safety self-report in the Air Force’s “integrated air control management” system, identify hazards, present improvements by region (base), and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data-based safety management. To identify risk factors, it was first classified by base based on data classified into 16 groups in the autonomous reporting system, and second classified in detail based on the type and description. Risk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most reported control cooperation (306) items,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by dividing risk factors into information sharing, regulations, procedures, education, training, and equipment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isk factors and specific improvements vary by base (12), which is important data that can present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in the flight control field by base (region).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ata-based risk factor analysis study for each specific base (region),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data for data-oriented safety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recently added SMS safety self-report in the Air Force’s “integrated air control management” system, identify hazards, present improvements by region (base), and lay the foundation f...

      This study aims to analyze safety reports received through the recently added SMS safety self-report in the Air Force’s “integrated air control management” system, identify hazards, present improvements by region (base), and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data-based safety management. To identify risk factors, it was first classified by base based on data classified into 16 groups in the autonomous reporting system, and second classified in detail based on the type and description. Risk factors were analyzed for the most reported control cooperation (306) items,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by dividing risk factors into information sharing, regulations, procedures, education, training, and equipment ite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risk factors and specific improvements vary by base (12), which is important data that can present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in the flight control field by base (region).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ata-based risk factor analysis study for each specific base (region),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data for data-oriented safety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내 최근 추가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안전자율보고를 통해 접수된 안전보고 사례를 분석하여, 위해요인을 식별하고, 해당 지역(기지)별 개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데이터 기반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위해요인 식별을 위해 자율보고체계 내 16개로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기지별 분류를 하였고, 기종 및 기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2차 분류하였다. 가장 많은 보고가 이루어진 관제협조(306건) 항목에 대하여 RCIAA(Reporting, Category, Identification, Analysis, and Action, 이하 RCIAA)과정(연구자 작성)을 거쳐 위해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위해요인을 크게 정보 공유, 규정, 절차, 교육·훈련 및 장비 항목으로 나누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위해요인 및 특정 개선사항이 기지별(12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기지(지역)별 운항관제분야 안전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民·軍을 통틀어 특정 기지(지역)별 데이터 기반의 위해요인 분석 연구가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는 결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내 최근 추가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안전자율보고를 통해 접수된 안전보고 사례를 분석하여, 위해요인을 식별하고, 해당 ...

      본 연구는 공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항공관제통합관리”체계 내 최근 추가된 항공안전관리시스템(SMS) 안전자율보고를 통해 접수된 안전보고 사례를 분석하여, 위해요인을 식별하고, 해당 지역(기지)별 개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데이터 기반의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위해요인 식별을 위해 자율보고체계 내 16개로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1차적으로 기지별 분류를 하였고, 기종 및 기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2차 분류하였다. 가장 많은 보고가 이루어진 관제협조(306건) 항목에 대하여 RCIAA(Reporting, Category, Identification, Analysis, and Action, 이하 RCIAA)과정(연구자 작성)을 거쳐 위해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위해요인을 크게 정보 공유, 규정, 절차, 교육·훈련 및 장비 항목으로 나누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위해요인 및 특정 개선사항이 기지별(12개)로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기지(지역)별 운항관제분야 안전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民·軍을 통틀어 특정 기지(지역)별 데이터 기반의 위해요인 분석 연구가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는 결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현진 ; 김준환 ; 임재진 ; 전성진 ; 최영재, "항공안전데이터를 사용한 위해요인 위험도 정량적 평가기법" 한국항공운항학회 30 (30): 145-158, 2022

      2 최주원, "인증비행시험 안전관리 및 위험도 평가기법 연구"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5 (5): 30-35, 2011

      3 "ROKAF Regulation 6-7, “Safety,” Air Force Headquarters, November"

      4 "ROKAF Regulation 3-7, “Air Transport Management,”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5 "ROKAF Manual 6-7-3, “Flight Safety Management,” 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6 "ROKAF Manual 6-7-1, “Safety Management,” Air Force Headquarters, November"

      7 "ROKAF Manual 3-7-1, “Air Transport Process,” 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8 "ROKAF Manual 3-107-1, “Air Transport Safety Management (SMS),” Air Force Operation Command, April"

      9 "NASA ASRS"

      10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Manual, Safety Management System, Annex 19 Three Edition"

      1 백현진 ; 김준환 ; 임재진 ; 전성진 ; 최영재, "항공안전데이터를 사용한 위해요인 위험도 정량적 평가기법" 한국항공운항학회 30 (30): 145-158, 2022

      2 최주원, "인증비행시험 안전관리 및 위험도 평가기법 연구"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5 (5): 30-35, 2011

      3 "ROKAF Regulation 6-7, “Safety,” Air Force Headquarters, November"

      4 "ROKAF Regulation 3-7, “Air Transport Management,”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5 "ROKAF Manual 6-7-3, “Flight Safety Management,” 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6 "ROKAF Manual 6-7-1, “Safety Management,” Air Force Headquarters, November"

      7 "ROKAF Manual 3-7-1, “Air Transport Process,” Air Force Headquarters, December"

      8 "ROKAF Manual 3-107-1, “Air Transport Safety Management (SMS),” Air Force Operation Command, April"

      9 "NASA ASRS"

      10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Manual, Safety Management System, Annex 19 Three Edition"

      11 Kim, J. Y., "An Analysis on the Facilitating factors in voluntary reporting system for the aviation safety"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09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dministrative Rules, Avi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Approval and Monitoring Guidelines"

      13 US Air Force, "ASAP(Airman Safety Action Program)"

      14 TS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A White Paper of Aviation Safety Reporting" 4-8, 2021

      15 Son, B. H., "A Study on the Integrated Air control system between 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OK Army Joint Chiefs of Staff 83-84, 2011

      16 Shin, O. 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ir Traffic 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154-15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