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표 이 연구는 사진이 그 태생에서부터 지니고 있는 물질성과 근대 이후 한국에서 수행된 사진을 매개로 한 (개인적 사회적) 기억 생산이라는 물질적 실천의 상호관련성을 과학, 예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655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표 이 연구는 사진이 그 태생에서부터 지니고 있는 물질성과 근대 이후 한국에서 수행된 사진을 매개로 한 (개인적 사회적) 기억 생산이라는 물질적 실천의 상호관련성을 과학, 예술,...
연구 목표
이 연구는 사진이 그 태생에서부터 지니고 있는 물질성과 근대 이후 한국에서 수행된 사진을 매개로 한 (개인적 사회적) 기억 생산이라는 물질적 실천의 상호관련성을 과학, 예술, 인문학, 인류학 등의 관점에서 다각도로 탐색함으로써, 사진의 매체적 잠재성을 그 물질성으로까지 확장하고 동아시아 전통과 한국 근현대성 사이에서의 사진적 실천의 작용 양상에 접근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1-1. 물질-(사진)매체-기억 개념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 검토와 개념 정리.
1-2. 사진 발명 전후 연금술적 실천 및 과학 실험에 대한 자료 교차 분석.
1-3. 동서양 연금술 이론과 실천에 대한 자료 분석.
1-4. 사진의 풍크툼 효과를 물질과 기억의 연금술적 상호관련성 속에서 재정의.
2-1. 산수화론에 나타나는 물질과 기억에 대한 이해 및 근현대 한국의 사진적 실천에 나타나는 물질과 기억에 대한 이해를 대표 사례를 통해 교차 분석.
2-2. 동아시아 전통에서의 물질기억 실천과 한국 근현대기의 물질기억 실천 사이의 관계 재구성.
연구 방법
매체고고학, 인류학적 지리학적 물질문화연구, 초학제적연구 방법론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