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4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기간별로 발아된 벼는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48시간 고압처리를 실시한 6일차 발아벼가 5.15 mg/g으로 고압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6일차 발아벼의 1.11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15종의 페놀산 중 gallic acid 외 6종의 페놀산과 총 페놀산함량이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의 경우 발아 4일 차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압처리 24시간 처리구와 48시간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환원력과 이온킬레이팅 효과는 총 폴리페놀, 페놀산 함량과 유사하게 발아 기간 및 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발아와 가압을 병행처리 하였을 때 일반벼 및 발아벼에 비해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벼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압처리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eriods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he subject was germinated at 37°C for 6 days (HP0), and then the germinated rou...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eriods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he subject was germinated at 37°C for 6 days (HP0), and then the germinated rough rice were subjected to 30 MPa for 24 hr (HP24) and 48 hr (HP48), respectively. HP0, HP24 and HP48 samples were prepared and extracted with 80% ethanol.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5.15 mg/g) occurred in treating at HP48 after germination for 5 days.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including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ρ-coumaric acid, ferulic acid, salicylic acid, naringin, myricetin, trans-cinnamic acid, naringenin and kaempferol increased from 37.26~204.32 μg/g at HP0 to 77.29~283.05 μg/g at HP48. In antioxidant activity analyses, HP48 extracts showed higher values in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e<SUP>2+</SUP> iron chelating effect than those of the HP24 and HP0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treatment of high pressure treatment and germination process efficiently enhanced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영,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25-330, 2010

      2 김주숙, "콩의 발아 중 이소플라본과 올리고당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6 (36): 294-298, 2004

      3 박성진, "초고압 추출 처리에 의한 더덕 및 발효더덕의 항산화 증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98-1902, 2010

      4 황인국, "열처리 조건에 따른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즙의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8 (38): 342-347, 2006

      5 서명철,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0-797, 2011

      6 이은혜, "발아중 메밀의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21-129, 2008

      7 고지연, "발아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화학적 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28-1135, 2011

      8 김현영,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화학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65-1270, 2011

      9 김현영, "발아 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75-780, 2011

      10 김현영, "발아 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항산화활성과 in vitro 항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4-19, 2012

      1 김현영,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25-330, 2010

      2 김주숙, "콩의 발아 중 이소플라본과 올리고당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6 (36): 294-298, 2004

      3 박성진, "초고압 추출 처리에 의한 더덕 및 발효더덕의 항산화 증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898-1902, 2010

      4 황인국, "열처리 조건에 따른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즙의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8 (38): 342-347, 2006

      5 서명철,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0-797, 2011

      6 이은혜, "발아중 메밀의 영양성분의 변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121-129, 2008

      7 고지연, "발아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화학적 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128-1135, 2011

      8 김현영, "발아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화학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265-1270, 2011

      9 김현영, "발아 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75-780, 2011

      10 김현영, "발아 기간에 따른 벼(Oryza sativa L.)의 항산화활성과 in vitro 항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4-19, 2012

      11 강미영, "발아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93-299, 2004

      12 임채성, "말채나무 추출물의 α-amylase 저해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8 (48): 103-108, 2005

      13 강미영, "기능성 쌀가공식품 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한 발아미의 특성조사" 한국식품과학회 35 (35): 696-701, 2003

      14 정경희,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827-832, 2012

      15 Xi J., "Ultrahigh pressure extraction as a tool to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44 : 2783-2787, 2011

      16 Saunder RM., "The properties of rice bran as a food stuff" 35 : 632-636, 1990

      17 Gordon MF.,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In Food Antioxidants" Elsevier Applied Science 1-18, 1990

      18 Yang F., "Studies on germination conditions and antioxidant contents of wheat grain" 52 : 319-330, 2001

      19 Andreason MF., "Release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s in rye by commercial plant cell wall degrading enzyme preparations" 79 : 411-413, 1999

      20 Elmastas M.,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ay leaf extracts" 3 : 258-266, 2006

      21 Dewanto V.,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50 : 4959-4964, 2002

      22 Middleton E.,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48 : 115-119, 1994

      23 Hung PV., "Phenolic acid composition of sprouted wheats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126 : 1896-1901, 2011

      24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Lentinus edodes)mushroom" 99 : 381-387, 2006

      25 Tian S., "High-per 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1063 : 121-128, 2005

      26 Real V., "High pressure-temperature effects on enxymatic activity : Naringin bioconversion" 102 : 565-570, 2007

      27 Kim D.,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combined with enzymes increase the extractability and bioactivity of fermented rice bran" 16 : 191-197, 2012

      28 Singh 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ll" 85 : 611-616, 2004

      29 San Martin MF., "Food processing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42 : 627-645, 2002

      30 Corrales M., "Extraction of anthocyanins from grape by-products assisted by ultrasonics, high hydrostatic pressure or pulsed electric fields : A comparison" 9 : 85-91, 2008

      31 Northrop DB., "Effects of high pressure on enzymatic activity" 1595 : 71-79, 2002

      32 Jiyong Park,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ncentrations in Korean Red Ginseng" 한국식품과학회 16 (16): 848-853, 2007

      33 Kim LS.,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46 : 221-228, 2001

      34 Hsu CL.,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m flours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83 : 85-92, 2003

      35 Xi J.,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s from green tea leaves using a high hydrostatic pressure extraction" 382 : 139-143, 2009

      36 Ghung DS.,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8 : 318-325, 1998

      37 Heon Sang Jeong,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한국식품과학회 16 (16): 1006-1010, 2007

      38 Bartnick M.,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5 : 23-28, 1987

      39 Dongyeop Kim, "Changes in Extrac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ubers by Various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한국식품과학회 19 (19): 1365-1371, 2010

      40 Kwon SM.,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rice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40 (40): 31-35, 2007

      41 Mau JL.,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35 : 519-526, 2002

      42 Rice-Evans C.,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2 : 152-159, 1997

      43 Heon-Sang Jeong,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한국식품과학회 16 (16): 765-770, 2007

      44 Liu W., "Activation and conformational changes of mushroom polyphenoloxidase by high pressure microfluidization treatment" 10 : 142-14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