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해바라기침선충(Paratylenchus projectus) 피해 경감을 위한 윤작작물 탐색 = Searching for Rotationable Vegetables for Paratylenchus projectus in Lettuce Greenho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7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 Paratylenchus projectus에 의한 심각한 상추 피해를국내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P. projectus 밀도를 낮출 수 있는 고소득 윤작작물을 탐색하고자 십자화과(Brassicaceae)에서 6종; 갓(leaf mustard, Brassica juncea), 경수채(kyona, B. rapa subsp. nipposinica), 브로콜리(broccoli, B. oleracea var. italica), 청경채(bok choy, B. rapa subsp. chinensis), 케일(kale, B. oleracea var. viridis), 콜라비(kohlrabi, B. oleracea var. gongylodes), 국화과(Asteraceae)의 2종; 엔다이브(endive, Cichorium endivia), 치커리(chicory, C. intybus), 매꽃과(Convolvulaceae) 의 1종인 공심채(morning glory, Ipomoea aquatica) 등 총 9종을 윤작시험에 사용하였다. 각 엽채류를 직경 10 cm 토화분에 심고 침선충 접종(3,000 P. projectus/100 cm3 soil) 및비접종으로 나누고 각 처리별 10반복으로 하여 온실에서 재배하고, 100일 후 식물의 생육, 초장, 무게, 엽수, 뿌리무게, soil plant analysis development, 선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P. projectus를접종한 모든 작물은 무처리에 비하여 생육이 감소하였다. 지상부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브로콜리와 갓이 56–66%로가장 감수율이 컸고 치커리와 공심채의 수량 감수가 30–35% 로 비교적 감수율이 적었다. 또한 선충의 증식률(Pf/Pi 비율)도콜라비의 2.54에 비하여 엔다이브는 1.1, 치커리는 1.35, 공심채는 0.6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 의하면, 상추 재배지의 윤작작물로는, 비록 충분하지는 않지만 효과적인 윤작작물을 찾기 전까지는, 다른 엽채류에 비하여 수량 감수가 비교적 적고, 선충의 증식률이 가장 낮은 공심채가 상추재배지의 윤작작물 대안일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2019년 Paratylenchus projectus에 의한 심각한 상추 피해를국내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P. projectus 밀도를 낮출 수 있는 고소득 윤작작물을 탐색하고자 십자화과(Brassicaceae)에서 6...

      2019년 Paratylenchus projectus에 의한 심각한 상추 피해를국내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상추 시설재배지에서 P. projectus 밀도를 낮출 수 있는 고소득 윤작작물을 탐색하고자 십자화과(Brassicaceae)에서 6종; 갓(leaf mustard, Brassica juncea), 경수채(kyona, B. rapa subsp. nipposinica), 브로콜리(broccoli, B. oleracea var. italica), 청경채(bok choy, B. rapa subsp. chinensis), 케일(kale, B. oleracea var. viridis), 콜라비(kohlrabi, B. oleracea var. gongylodes), 국화과(Asteraceae)의 2종; 엔다이브(endive, Cichorium endivia), 치커리(chicory, C. intybus), 매꽃과(Convolvulaceae) 의 1종인 공심채(morning glory, Ipomoea aquatica) 등 총 9종을 윤작시험에 사용하였다. 각 엽채류를 직경 10 cm 토화분에 심고 침선충 접종(3,000 P. projectus/100 cm3 soil) 및비접종으로 나누고 각 처리별 10반복으로 하여 온실에서 재배하고, 100일 후 식물의 생육, 초장, 무게, 엽수, 뿌리무게, soil plant analysis development, 선충 밀도를 조사하였다. P. projectus를접종한 모든 작물은 무처리에 비하여 생육이 감소하였다. 지상부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브로콜리와 갓이 56–66%로가장 감수율이 컸고 치커리와 공심채의 수량 감수가 30–35% 로 비교적 감수율이 적었다. 또한 선충의 증식률(Pf/Pi 비율)도콜라비의 2.54에 비하여 엔다이브는 1.1, 치커리는 1.35, 공심채는 0.6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 의하면, 상추 재배지의 윤작작물로는, 비록 충분하지는 않지만 효과적인 윤작작물을 찾기 전까지는, 다른 엽채류에 비하여 수량 감수가 비교적 적고, 선충의 증식률이 가장 낮은 공심채가 상추재배지의 윤작작물 대안일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vere lettuce damage caused by Paratylenchus projectus was first reported in 2019 in Korea. To find high-value rotation crops for the control of P. projectus, nine vegetables,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B. rapa subsp. nipposinica (kyona), B. oleracea var. italica (broccoli), B. rapa subsp. chinensis (bok choy), B. oleracea var. viridis (kale), B. oleracea var. gongylodes (kohlrabi), Cichorium endivia (endive), C. intybus (chicory), Ipomoea aquatica (morning glory) were planted in d-10-cm clay pots in greenhouse. The growth of vegetables was compared between inoculated with 3,000 P. projectus per 100 cm3 of soil and non-inoculated. Treatments were replicated 10 times. After 100 days, the reduction of fresh top weight was 30.4% in C. intybus, 35.1% in I. aquatica, 36.9% in B. oleracea var. acephala, 40.5% in C. endivia, 42.1% in B. rapa, 47.5% in B. rapa subsp. nipposinica, 50.4% in B. oleracea var. gonglodes, 56.3% in B. oleracea var. italica, and 66.0% in B. juncea. Nematode multiplication rates (Pf/Pi) were lower in I. aquatica (0.64) and C. endivia (1.1), but higher in B. oleracea var. gongylodes (2.54). Considering these results, I. aquatica is suitable for the rotation crop with lettuce until better rotation crops developed.
      번역하기

      The severe lettuce damage caused by Paratylenchus projectus was first reported in 2019 in Korea. To find high-value rotation crops for the control of P. projectus, nine vegetables,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B. rapa subsp. nipposinica (kyona), B....

      The severe lettuce damage caused by Paratylenchus projectus was first reported in 2019 in Korea. To find high-value rotation crops for the control of P. projectus, nine vegetables, Brassica juncea (leaf mustard), B. rapa subsp. nipposinica (kyona), B. oleracea var. italica (broccoli), B. rapa subsp. chinensis (bok choy), B. oleracea var. viridis (kale), B. oleracea var. gongylodes (kohlrabi), Cichorium endivia (endive), C. intybus (chicory), Ipomoea aquatica (morning glory) were planted in d-10-cm clay pots in greenhouse. The growth of vegetables was compared between inoculated with 3,000 P. projectus per 100 cm3 of soil and non-inoculated. Treatments were replicated 10 times. After 100 days, the reduction of fresh top weight was 30.4% in C. intybus, 35.1% in I. aquatica, 36.9% in B. oleracea var. acephala, 40.5% in C. endivia, 42.1% in B. rapa, 47.5% in B. rapa subsp. nipposinica, 50.4% in B. oleracea var. gonglodes, 56.3% in B. oleracea var. italica, and 66.0% in B. juncea. Nematode multiplication rates (Pf/Pi) were lower in I. aquatica (0.64) and C. endivia (1.1), but higher in B. oleracea var. gongylodes (2.54). Considering these results, I. aquatica is suitable for the rotation crop with lettuce until better rotation crops develop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기윤, "해바라기침선충(Paratylenchus projectus )에 의한 상추 피해 발생 보고" 한국식물병리학회 25 (25): 237-242, 2019

      2 변일수, "이모작에 따른 참외 재배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밀도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7-23, 2014

      3 Braun, A. L., "The pin nematode, Paratylenchus neoamblycephalus, on Myrobalan plum and other hosts" 7 : 336-343, 1975

      4 Eck, J. A, "The host-parasite relationship and control of Paratylenchus projectus on Iris germanica" Oklahoma State University 1972

      5 Nemaplex, "THE «NEMATODE-PLANT EXPERT INFORMATION SYSTEM». A virtual encyclopedia on soil and plant nematodes"

      6 Tanimola, A. A., "Statu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on plantain (Musa parasidiaca (L.)) in Choba, Rivers State, Nigeria" 9 : 189-195, 2013

      7 SAS Institute Inc,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9.4" SAS Institute Inc. 2019

      8 Fourie, H.,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population densities of Meloidogyne incognita race 2 and nematode population development in terms of variable soybean resistance" 42 : 55-61, 2010

      9 Castillo, P., "Pratylenchus (Nematoda: Pratylenchidae): Diagnosis, Biology, Pathogenicity and Management" Brill 529-, 2007

      10 Pinochet, J., "New records of nematodes from Korea, including Paratylenchus pandus n.sp. (Paratylenchidae nematoda)" 9 : 243-247, 1977

      1 권기윤, "해바라기침선충(Paratylenchus projectus )에 의한 상추 피해 발생 보고" 한국식물병리학회 25 (25): 237-242, 2019

      2 변일수, "이모작에 따른 참외 재배 비닐하우스 토양의 선충밀도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7-23, 2014

      3 Braun, A. L., "The pin nematode, Paratylenchus neoamblycephalus, on Myrobalan plum and other hosts" 7 : 336-343, 1975

      4 Eck, J. A, "The host-parasite relationship and control of Paratylenchus projectus on Iris germanica" Oklahoma State University 1972

      5 Nemaplex, "THE «NEMATODE-PLANT EXPERT INFORMATION SYSTEM». A virtual encyclopedia on soil and plant nematodes"

      6 Tanimola, A. A., "Status of plant-parasitic nematodes on plantain (Musa parasidiaca (L.)) in Choba, Rivers State, Nigeria" 9 : 189-195, 2013

      7 SAS Institute Inc,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9.4" SAS Institute Inc. 2019

      8 Fourie, H.,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population densities of Meloidogyne incognita race 2 and nematode population development in terms of variable soybean resistance" 42 : 55-61, 2010

      9 Castillo, P., "Pratylenchus (Nematoda: Pratylenchidae): Diagnosis, Biology, Pathogenicity and Management" Brill 529-, 2007

      10 Pinochet, J., "New records of nematodes from Korea, including Paratylenchus pandus n.sp. (Paratylenchidae nematoda)" 9 : 243-247, 1977

      11 Rhoades, H. L., "Molting of preadult nematodes of the genus Paratylenchus stimulated by root diffusates" 130 : 1476-1477, 1959

      1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3 Choi, Y. E, "Insecta Koreana Supplement 27. Nematoda (Tylenchida, Aphelenchid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91-, 2001

      14 Kim, D. -G.,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yields of oriental melon in fields infested with Meloidogyne arenaria" 7 : 42-48, 2001

      15 McSorley, R., "Effect of crop rotation and tillage on nematode densities in tropical corn" 25 (25): 814-819, 1993

      16 Long, J. H., "Effect of crop rotation and cultivar resistance on seed yield and the soybean cyst nematode in fullseason and double‐cropped soybean" 41 : 1137-1143, 2001

      17 Wood, F. H., "Biology and host range of Paratylenchus projectus Jenkins, 1956 (Nematoda: Criconematidae) from a sub-alpine tussock grassland" 16 : 381-384, 1973

      18 Rhoades, H. L., "Biological studies on some members of the genus Paratylenchus" 28 : 51-59, 1961

      19 강헌일, "Baermann Funnel법의 선충 분리 여과지 선발" 한국응용곤충학회 55 (55): 377-381, 2016

      20 Mackeen, M. M., "Antinematodal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 extracts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51 : 165-170, 1997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alysis and Research Standard of Agricultural Science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135-, 2012

      22 McSorley, R.,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some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nematodes from roots" 14 : 72-84,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8 0.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