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의 유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서울시 경의선 숲길 일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Eating Space with Pop-up Concept -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ui Line Forest Road in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35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소비자는 이성보다는 감성을, 상품의 기능이나 효율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가 소비 행위의 전 과정에서 감성적 경험을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 ...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소비자는 이성보다는 감성을, 상품의 기능이나 효율보다는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가 소비 행위의 전 과정에서 감성적 경험을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 공간에서 행해지는 모든 경험이 소비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감성적 공간 전략에서 2010년대에 등장한 팝업(pop-up)개념은 팝업스토어(pop-up store)로 도입되었고 가치소비와 취향소비의 행태가 두드러지면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등장했다. 이에 따라 최근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식공간이 생겨났고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팝업식공간을 사례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팝업 식공간의 유형과 그에따른 특징을 도출하여 향후 식공간에서 다채로운 팝업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팝업 식공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팝업 식공간 사례를 팝업 개념 요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팝업의 개념과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확립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팝업 식공간 요소를 정리하였다. 이후 선행논문을 통해 팝업 식공간 요소 6가지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팝업 공간이 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경의선 숲길 일대의 팝업 식공간 사례 8곳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팝업 식공간 사례에서 나타난 식공간 유형을 본 연구에서는 주기에 따라 3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브랜드 팝업 공간으로 공간 임대나 건물 임차를 통해 한 달에서 두 달 정도의 단기간 팝업 식공간을 운영하는 단독팝업형, 기존 영업 매장 공간을 집약적으로 사용하며 통일된 분위기의 팝업 콘텐츠를 기획 및 운영하여 식공간에 변화를 주는 변환팝업형, 기존 영업 매장에서 불특정 주기에 따라 다양한 장르의 팝업 콘텐츠를 기획, 운영하는 편집팝업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현재 명확한 정체성 없이 등장하고 있는 팝업 식공간이 다양한 팝업 콘텐츠와 다중(多重)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팝업 식공간의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적 특징을 도출했다. 사례분석 결과,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가진 정체성과 다양한 장르의 변화를 체험하려는 시도가 교차하면서 식공간 영역에서 팝업 개념의 활용도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경의선 숲길 일대를 중심으로 팝업 개념을 적용한 식공간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의 한계가 보인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는 팝업 식공간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향후 식공간의 다양한 팝업 콘텐츠 기획이 시도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s in modern society want emotional experience rather than rationality and focus on brand image and value rather than product function and efficiency. Consequently, all experiences conducted in the consumption space are...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s in modern society want emotional experience rather than rationality and focus on brand image and value rather than product function and efficiency. Consequently, all experiences conducted in the consumption space are subject to consumption. The pop-up concept, which appeared in the 2010s with this sentimental space strategy, was introduced in pop-up stores, and the behavior of value consumption and preference consumption was conspicuous; eating space, which applied the pop-up concept, also appeared. A new form of pop-up eating space was recently created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pop-up eating spaces frequently found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in Seoul.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type of pop-up eating space and its characteristic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various pop-up contents in the future. (Method) In order to categorize pop-up eating space types, this study analyzed pop-up eating space examples through pop-up conceptual elements.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op-up concepts and elements and organized pop-up spatial ele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ward, six pop-up eating space elements were derived from a previous paper, and eight pop-up eating space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where pop-up spaces are frequently observed; subsequent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types of eating spaces that appeared in pop-up eating space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orms according to the period in this study. It can be categorized as a single pop-up type that operates a pop-up eating space for a short period of 1-2 months through space rental or building rental, a conversion pop-up type that plans and operates pop-up contents with a unified atmosphere, and an edit pop-up type that plans and operates pop-up contents of various genres according to unspecified cycle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op-up eating space currently appearing without a clear identity is changing into a variety of pop-up contents and multiple spaces, and the types of pop-up eating spaces are classified to derive typographical feature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is judged that the utilization of pop-up concepts in the eating space area will increase as attempts to experience the identity of the eating space with various genre changes intersect. However, region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selected cases are limited because there are frequent pop-up restaurants around the Gyeongui Line Forest Road.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op-up eating spaces will be recognized, and various pop-up content planning of eating spaces will be attempted in the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