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재활과 컴퓨터 테크널러지 = The Handicapped person's Rehabilitation and the Computer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98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이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를 뛰어 넘어 재활할 수 있게 해주는 방안을 발견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에 관한 문헌 자료, 외국에 있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 관련 연구·개발·제작 기관을 방문하여 그 현황을 살펴본 경험과 수집된 관련 자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 및 관련자들과의 면담 및 회의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 둥을 분석하고 종합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컴퓨터 기술이 장애인의 재활을 돕는 보철구, 의사 교환 도구, 동기 유발 도구, 사정 도구, 학습 도구, 치료 도구, 관리 도구 등과 같은 재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② 장애인이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되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도출되었으며,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제작 지침이 마련되었다. ③ 장애인에게 적합하게 개작되었다고 여겨지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입출력 장치, 기타 주변 장치가 제시되었다. ④ 장애인을 위한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가운데 최근에 그 제작이 시도되고 있는 멀티미디어형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특징이 제시되, 인지 장애인이나 의사 교환 장애인을 훈련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⑤컴퓨터 테크널러지를 재활 및 재활 관련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에 촛점이 맞춰져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이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를 뛰어 넘어 재활할 수 있게 해주는 방안을 발견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에 관한 문헌 자료, 외국에 있는 장애인을 위...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이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장애를 뛰어 넘어 재활할 수 있게 해주는 방안을 발견하기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에 관한 문헌 자료, 외국에 있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기술 관련 연구·개발·제작 기관을 방문하여 그 현황을 살펴본 경험과 수집된 관련 자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장애인 및 관련자들과의 면담 및 회의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 둥을 분석하고 종합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컴퓨터 기술이 장애인의 재활을 돕는 보철구, 의사 교환 도구, 동기 유발 도구, 사정 도구, 학습 도구, 치료 도구, 관리 도구 등과 같은 재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② 장애인이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되었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도출되었으며,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제작 지침이 마련되었다. ③ 장애인에게 적합하게 개작되었다고 여겨지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입출력 장치, 기타 주변 장치가 제시되었다. ④ 장애인을 위한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가운데 최근에 그 제작이 시도되고 있는 멀티미디어형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특징이 제시되, 인지 장애인이나 의사 교환 장애인을 훈련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⑤컴퓨터 테크널러지를 재활 및 재활 관련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에 촛점이 맞춰져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ttempt to adress the barriers to the access and use of computer thechnology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computer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ys to make computers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tools were suggested. Computer may be used as prosthetic devices, learning tools, commication aids, and therapy tools.
      Problems encountered by people with various disabilities in using standard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were identifed. Design alternatives which will result in increased usability of standard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b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ere proposed. And design guidelines that focus on principles that extend the standard design process to thos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eveloped.
      Assistive/adaptive computer H/Ws and S/Ws, input/ouput devices,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designed specifical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input/controls, output/display, and others. Input/controls: Access Dos, Access Pack, Single Swich Scanning Display, Morse Code Interface, Trackballs, Head Mounted Pointers, Screen Display Keyboards, Voice Recognition Systems,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Output/display: Show Sounds, Screen Readers, Screen Magnifiers, Refreshible Braille Display, and Braille Printers. Others: Braille or Graphics Translation Programs, and Portable Notebooks.
      Computer assisted therapy using multimedia technology was introduced. Attention and memory therapy tools using photo-like images and touch-screen technology to enhance stimulus presentation and response were reviewed. Speech therapy tools using multimedia technology to provide bo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synchronized with the graphic display of speech patterns were reviewed.
      And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for the immediate future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ttempt to adress the barriers to the access and use of computer thechnology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computer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ys to make computers more e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ttempt to adress the barriers to the access and use of computer thechnology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computers to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ys to make computers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tools were suggested. Computer may be used as prosthetic devices, learning tools, commication aids, and therapy tools.
      Problems encountered by people with various disabilities in using standard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were identifed. Design alternatives which will result in increased usability of standard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b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ere proposed. And design guidelines that focus on principles that extend the standard design process to thos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eveloped.
      Assistive/adaptive computer H/Ws and S/Ws, input/ouput devices,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designed specificall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input/controls, output/display, and others. Input/controls: Access Dos, Access Pack, Single Swich Scanning Display, Morse Code Interface, Trackballs, Head Mounted Pointers, Screen Display Keyboards, Voice Recognition Systems,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Output/display: Show Sounds, Screen Readers, Screen Magnifiers, Refreshible Braille Display, and Braille Printers. Others: Braille or Graphics Translation Programs, and Portable Notebooks.
      Computer assisted therapy using multimedia technology was introduced. Attention and memory therapy tools using photo-like images and touch-screen technology to enhance stimulus presentation and response were reviewed. Speech therapy tools using multimedia technology to provide bo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synchronized with the graphic display of speech patterns were reviewed.
      And the most impor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for the immediate future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재활 도구로서의 컴퓨터 기술
      • 1. 보철구로서의 컴퓨터
      • 2. 의사 교환 도구로서의 컴퓨터
      • 3. 동기 유발 도구로서의 컴퓨터
      • Ⅰ. 서론
      • Ⅱ. 재활 도구로서의 컴퓨터 기술
      • 1. 보철구로서의 컴퓨터
      • 2. 의사 교환 도구로서의 컴퓨터
      • 3. 동기 유발 도구로서의 컴퓨터
      • 4. 사정 도구로서의 컴퓨터
      • 5. 학습 도구로서의 컴퓨터
      • 6. 치료 도구로서의 컴퓨터
      • 7. 관리 도구로서의 컴퓨터
      • Ⅲ. 장애인의 컴퓨터 접근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 및 그 해결 방안
      • 1. 장애 유형별 컴퓨터 접근의 문제점 및 대처 방안
      • 2. 출력 및 디스플레이
      • 3. 입력 및 제어
      • Ⅳ. 장애인에게 적합하게 개작된 컴퓨터 H/W와 S/W 및 주변 장치
      • 1. 입력 및 제어
      • 2. 출력 및 디스플레이
      • 3. 기 타
      • Ⅴ. 장애인을 위한 멀티미디어형 소프트웨어
      • 1) 인지 장애인을 위한 멀티미디어형 소프트웨어
      • 2) 언어 장애인을 위한 멀티미디어형 소프트웨어
      • Ⅵ. 요약 및 과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