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교육청에서는 2018년에 한 차례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음. 그러나 2022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해당 연구에서 수립한 신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760340
2024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충청북도교육청에서는 2018년에 한 차례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음. 그러나 2022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해당 연구에서 수립한 신설 ...
? 충청북도교육청에서는 2018년에 한 차례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음. 그러나 2022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해당 연구에서 수립한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이 현재의 단가와 맞지 않아 교재교구 설비기준 및 시설단가의 현행화가 필요해진 상황임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2025년 신설 학교 지원 계획에 맞춰 2022 개정 교육과정 운영에 맞는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둠.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를 탐색함으로써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의 범위와 지원 내용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충청북도교육청의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의 범위와 구성요소가 무엇인지를 정리하고자 함
- 둘째, 타 시·도교육청의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배분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충청북도교육청의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함
- 셋째, 충청북도교육청의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배분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는 신설 학교 개교지원비 지원기준을 수립하고, 타당성 검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