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한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과 성취행동의 구조관계: 지원체계 지각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hletic Identity and Achievement Behavior for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using Expectancy-Value Model: Moderate Effect of Perceived Level of Support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identity, expectation-value, and achievement behavior by applying an expectation-value model to improve the achievement behavior of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osen as the population of the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who are registered formally at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in 2015, and a total of 338 data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mos 23.0, and Mplus 7.0 program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elite athletes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t was classified into low level group, middle level group and high level group,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group,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group, the better the performance level. Second, variables explained in the expectation-value model have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low, middle, and high level group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of perceived elite athletes support system, the high level group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path of 'exercise identity → value'. The middle level group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path of 'value → achievement action'. 'Expected → Achievement Behavior' path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low level group. All other pathways controlled by the expected-value model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effect siz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identity, expectation-value, and achievement behavior by applying an expectation-value model to improve the achievement behavior of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identity, expectation-value, and achievement behavior by applying an expectation-value model to improve the achievement behavior of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hosen as the population of the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who are registered formally at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in 2015, and a total of 338 data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mos 23.0, and Mplus 7.0 program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elite athletes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it was classified into low level group, middle level group and high level group,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group,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group, the better the performance level. Second, variables explained in the expectation-value model have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low, middle, and high level groups.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of perceived elite athletes support system, the high level group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path of 'exercise identity → value'. The middle level group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path of 'value → achievement action'. 'Expected → Achievement Behavior' path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in the low level group. All other pathways controlled by the expected-value model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effect siz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을 도출함과 동시에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하여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총 338명의 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Amos 23.0,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low 수준 집단, middle 수준 집단,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류된 집단의 특성은 high 수준 집단일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ow 수준, middle 수준, high 수준 집단에 따라 기대-가치 모델에서 설명하는 변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유한 경로는 운동정체성 → 가치의 경로에서 high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가치 → 성취행동의 경로에서 middle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기대 → 성취행동의 경로는 low 수준 집단에서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 외에 기대-가치 모델에서 통제한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동일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가 현실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그리고 실제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정책적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는 기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을 도출함과 동시에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하여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을 도출함과 동시에 기대-가치 모델을 적용하여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운동정체성, 기대-가치, 성취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는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총 338명의 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Amos 23.0,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의 잠재계층을 분류한 결과, low 수준 집단, middle 수준 집단, high 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분류된 집단의 특성은 high 수준 집단일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ow 수준, middle 수준, high 수준 집단에 따라 기대-가치 모델에서 설명하는 변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 지각의 잠재계층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유한 경로는 운동정체성 → 가치의 경로에서 high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가치 → 성취행동의 경로에서 middle 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기대 → 성취행동의 경로는 low 수준 집단에서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그 외에 기대-가치 모델에서 통제한 경로는 모두 통계적으로 동일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이 연구는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여 종합적인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 엘리트체육 지원체계가 현실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그리고 실제적인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정책적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장애인 엘리트선수의 성취행동을 강화하는 기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효민, "학생선수의 운동선수 정체성이 선수 자기효능감 및 대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155-167, 2012

      2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기대-가치와 자기 효능감, 과제 난이도가 중학생의 지속행동에 미치는 중재효과" 한국체육학회 50 (50): 251-262, 2011

      3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 51 (51): 447-454, 2012

      4 조창옥, "전문 장애인 선수의 지원 서비스 요구 조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95-111, 2010

      5 용필성, "장애인체육정책에 대한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 방안"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6 오연풍, "장애인체육 진흥을 위한 투자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2 (12): 15-24, 2004

      7 김지태, "장애인 전문체육 지원체계에 대한 욕구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한국체육학회 51 (51): 417-426, 2012

      8 용필성, "장애인 전문체육 지원 우선순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9) : 647-658, 2012

      9 조창옥,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43-55, 2013

      10 김태형, "장애인 재활운동으로써의 스포츠에서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 및 장애인체육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3-22, 2010

      1 강효민, "학생선수의 운동선수 정체성이 선수 자기효능감 및 대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155-167, 2012

      2 박중길, "체육수업에서 기대-가치와 자기 효능감, 과제 난이도가 중학생의 지속행동에 미치는 중재효과" 한국체육학회 50 (50): 251-262, 2011

      3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제약 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 51 (51): 447-454, 2012

      4 조창옥, "전문 장애인 선수의 지원 서비스 요구 조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95-111, 2010

      5 용필성, "장애인체육정책에 대한 전략과 추진체계 개선 방안"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6 오연풍, "장애인체육 진흥을 위한 투자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2 (12): 15-24, 2004

      7 김지태, "장애인 전문체육 지원체계에 대한 욕구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한국체육학회 51 (51): 417-426, 2012

      8 용필성, "장애인 전문체육 지원 우선순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49) : 647-658, 2012

      9 조창옥,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43-55, 2013

      10 김태형, "장애인 재활운동으로써의 스포츠에서 자기관리, 인지된 경기력 및 장애인체육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3-22, 2010

      11 서은철, "장애인 운동선수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지속수행의 인과관계에서 배경변인의 조절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33-55, 2010

      12 최승권, "장애인 엘리트체육의 실태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29-44, 2005

      13 김지태, "장애인 엘리트선수들이 지각하는 지원체계 문제점의 내용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65-81, 2015

      14 김기홍, "장애인 선수를 위한 스포츠 트레이닝의 원리" 1 (1): 33-40, 2003

      15 박중길, "운동 정체성 측정도구(AIMS)의 요인 구조와 동일성 검증" 한국체육학회 51 (51): 293-306, 2012

      16 박병도, "우리나라 장애인 엘리트체육 정책의 문제점과 행정 조직의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3 (13): 57-67, 2005

      17 김성훈, "심리기술훈련에 따른 국가대표 보치아 선수의 심리기술 변화 단일 사례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276-287, 2009

      18 박상수, "변화단계별 지체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 제약요인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1-15, 2013

      19 조재훈, "문화체육관광부 체제의 장애인 생활체육 현실과 정책 우선순위"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27-140, 2015

      20 박중길, "기대-가치모델을 이용한 운동 정체성과 성취행동의 관계 이해: 스포츠 종목과 경력 간 다집단 분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181-196, 2012

      2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2 Gao, Z., "Understanding students' motivation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 From the expectancy-value model and self-efficacy theory perspectives" 60 : 236-254, 2008

      23 Cox, A. E., "The influence of task value, expectancies for success, and identity on athletes'achievement behaviors" 16 : 103-117, 2004

      24 Wigfield, A.,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 A theoretical analysis" 12 : 1-46, 1992

      25 Kudlacek, M., "The analysis of individual skills of ice sledge hockey playes at the Torino 2006 paralympic tournament" 2 (2): 39-48, 2009

      26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 411-423, 1988

      27 Miller, K. E., "Sport-related identities and the "Toxic Jock."" 32 (32): 69-91, 2011

      2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29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1

      30 Perrier, M. J., "Narratives of athletic identity after acquiring a permanent physical disability" 31 (31): 106-124, 2014

      31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2

      32 Eccles, J. S., "Motivational belief, values, and goals" 53 : 109-132, 2002

      33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34 Good, A. J., "Identity foreclosure, athletic identity, and college sport participation" 8 : 1-12, 1993

      35 Kreuter, F., "Good item or bad-can latent class analysis sell? : The utility of latent class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survey questions" 171 (171): 723-738, 2008

      36 Martin, J. J., "Factor structure of the athletic identity measurement scale with adolescent swimmers with disabilities" 1 : 87-99, 1994

      37 Wigfield, A.,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25 : 68-81, 2000

      38 Houle, J. L., "Developmental trends in athletic identity : A two-part retrospective study" 33 (33): 146-159, 2010

      39 Hale, B. D., "Determining the dimensionality of athletic identity : A Herculean cross-cultural undertaking" 30 : 83-100, 1999

      40 Falcao, W. R., "Coaches’ perceptions of team cohesion in paralympic sports" 32 (32): 206-222, 2015

      41 Fredrick, J. A., "Children's competence and value beliefs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38 : 519-533, 2002

      42 Page, S. J., "Attitudes toward seeking sport psychology consultation among wheelchair basketball athletes" 18 : 183-192, 2001

      43 Brewer, B. W., "Athletic identity: Hercules'muscles or Achilles heel?" 24 : 237-254, 1993

      44 Verkooijen, K. T., "Athletic identity and well-being among young talented athletes who live at a Dutch elite sport center" 24 : 106-113, 2012

      45 Tasiemski, T., "Athletic identity and sports participation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21 : 364-378, 2004

      46 Ferrara, M. S.,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quiry registry" 13 (13): 50-60, 1996

      47 Guan, J., "Achievement goals, social goals, and students' reported persistence and effort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25 : 58-74, 2006

      48 Perreault, S.,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ith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y" 24 : 305-316, 2007

      49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 256-273,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