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표충사제영』 시첩의 가치와 목판본의 편제 = The Value of Album of Poems Pyochungsa-jeyoung and Formation of Wood Bloc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yochungsa-jeyoung (表忠祠題詠) is the names of an album of poems and, at the same time, of the block books based on the album of poems, which were written in honor of Venerable Samyeongdang Songwoon (四溟堂 松雲). In 1738, Venerable Nam bung, the fifth-generation Dharma descendant of Samyeongdang Songwoon, asked the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to write poems for Samyeongdang Songwoon to admire his great achievement. He collected these poems and printed them from wood blocks. It is unique in Korea literary history that an album of poems was made for a specific person.
      Most of the poems are written borrowing or using the same rhymes as in some other poems. The original poems of which rhymes were borrowed by others are only five by Lee Sik (李植), Lee Jeong-gu (李廷龜), and Lee Su-Gwang (李睟光) in the category of pentasyllabic octets (五言律詩), and three by Cho Yoo-soo (趙裕壽), Lee Byung-yeon (李秉淵), and Lee Cheon-bo (李天輔) in the category of heptasyllabic octets (七言律詩). Among those poems written in the borrowed rhyme, heptasyllabic octets poems outnumber pentasyllabic octets poems, and among heptasyllabic octets poems, those that used Cho Yoo-soo’s ‘溟’ are dominant in number.
      Pyochungsa-jeyoung wood blocks were made based on the album of poems Pyochungsa-jeyoung several times. In 1738 Yeoncho(演初) printed them first and in 1778 Yimin(毅旻) printed again with additional poems. Other than these, they were printed a few more times with different editing. Now, the extant Pyochungsa- jeyoung of various versions show different table of contents from each other. Among those versions, Milju-Pyochungsa-jeyoung(密州表忠祠題詠) in 1738 is the first with primary form while the most voluminous edition is Pyochungsajeyoungrok(表忠祠題咏錄) in 1778.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 order of publication of other versions.
      번역하기

      Pyochungsa-jeyoung (表忠祠題詠) is the names of an album of poems and, at the same time, of the block books based on the album of poems, which were written in honor of Venerable Samyeongdang Songwoon (四溟堂 松雲). In 1738, Venerable Nam bun...

      Pyochungsa-jeyoung (表忠祠題詠) is the names of an album of poems and, at the same time, of the block books based on the album of poems, which were written in honor of Venerable Samyeongdang Songwoon (四溟堂 松雲). In 1738, Venerable Nam bung, the fifth-generation Dharma descendant of Samyeongdang Songwoon, asked the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to write poems for Samyeongdang Songwoon to admire his great achievement. He collected these poems and printed them from wood blocks. It is unique in Korea literary history that an album of poems was made for a specific person.
      Most of the poems are written borrowing or using the same rhymes as in some other poems. The original poems of which rhymes were borrowed by others are only five by Lee Sik (李植), Lee Jeong-gu (李廷龜), and Lee Su-Gwang (李睟光) in the category of pentasyllabic octets (五言律詩), and three by Cho Yoo-soo (趙裕壽), Lee Byung-yeon (李秉淵), and Lee Cheon-bo (李天輔) in the category of heptasyllabic octets (七言律詩). Among those poems written in the borrowed rhyme, heptasyllabic octets poems outnumber pentasyllabic octets poems, and among heptasyllabic octets poems, those that used Cho Yoo-soo’s ‘溟’ are dominant in number.
      Pyochungsa-jeyoung wood blocks were made based on the album of poems Pyochungsa-jeyoung several times. In 1738 Yeoncho(演初) printed them first and in 1778 Yimin(毅旻) printed again with additional poems. Other than these, they were printed a few more times with different editing. Now, the extant Pyochungsa- jeyoung of various versions show different table of contents from each other. Among those versions, Milju-Pyochungsa-jeyoung(密州表忠祠題詠) in 1738 is the first with primary form while the most voluminous edition is Pyochungsajeyoungrok(表忠祠題咏錄) in 1778. It is difficult to decide the order of publication of other vers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은 송운(松雲)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이 사명당 유정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1738년에 당대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청하여 받은 시문을 모은 시첩과 그것을 토대로 간행한 목판본을 말한다. 이렇게 특정인을 위한 시집이 간행된 것은 우리 한문문학사에 있어서 유일하다.
      수록된 시들 가운데는 차운한 시가 월등하게 많다. 원운(元韻)으로 사용된 시는 오언율시의 경우 5편으로 이식(李植)과 이정구(李廷龜)・이수광(李睟光)이 동일하게 ‘師’운으로 지은 율시들이고, 칠언율시의 경우 조유수(趙裕壽)의 ‘溟’운, 이병연(李秉淵)의 ‘茫’운, 이천보(李天輔)의 ‘年’운으로 지은 시들이 해당된다. 오언율시를 지은 이들은 송운 대사 당시의 인물들이고, 칠언율시를 지은 이들은 남붕 대사 당시의 인물들이다. 차운한 시 가운데는 대체로 오언시보다 칠언시 즉 당대 인물의 시에 차운한 경우가 많고, 칠언시 가운데는 조유수의 溟운에 차운한 시들이 가장 많다.
      『표충사제영』 시첩을 바탕으로 한 목판본이 여러 차례 발행되었는데 그러면서 조금씩 편차가 발생하였다. 발행양상을 보면, 1738년에 남붕의 스승인 연초(演初)가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1778년에 사명당의 9세손 의민(毅旻)이 추가로 보입하면서 발행한 경우가 대표적이고 이외에도 여러 차례 편집을 달리하면서 발행되었다. 여러 간행본들 가운데 1738년 간기를 지닌 『밀주표충사제영』이 초기 형태를 지니고 있어 가장 앞서고 이후의 것들은 정확한 순서를 판별하기 어렵다. 가장 많은 분량을 갖고 있는 것은 1778년 간기를 지닌 『표충사제영록』이다.
      번역하기

      『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은 송운(松雲)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이 사명당 유정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1738년에 당대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청하여 받은 시문을 모은 시첩과 그것을 ...

      『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은 송운(松雲)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이 사명당 유정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1738년에 당대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청하여 받은 시문을 모은 시첩과 그것을 토대로 간행한 목판본을 말한다. 이렇게 특정인을 위한 시집이 간행된 것은 우리 한문문학사에 있어서 유일하다.
      수록된 시들 가운데는 차운한 시가 월등하게 많다. 원운(元韻)으로 사용된 시는 오언율시의 경우 5편으로 이식(李植)과 이정구(李廷龜)・이수광(李睟光)이 동일하게 ‘師’운으로 지은 율시들이고, 칠언율시의 경우 조유수(趙裕壽)의 ‘溟’운, 이병연(李秉淵)의 ‘茫’운, 이천보(李天輔)의 ‘年’운으로 지은 시들이 해당된다. 오언율시를 지은 이들은 송운 대사 당시의 인물들이고, 칠언율시를 지은 이들은 남붕 대사 당시의 인물들이다. 차운한 시 가운데는 대체로 오언시보다 칠언시 즉 당대 인물의 시에 차운한 경우가 많고, 칠언시 가운데는 조유수의 溟운에 차운한 시들이 가장 많다.
      『표충사제영』 시첩을 바탕으로 한 목판본이 여러 차례 발행되었는데 그러면서 조금씩 편차가 발생하였다. 발행양상을 보면, 1738년에 남붕의 스승인 연초(演初)가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하여 1778년에 사명당의 9세손 의민(毅旻)이 추가로 보입하면서 발행한 경우가 대표적이고 이외에도 여러 차례 편집을 달리하면서 발행되었다. 여러 간행본들 가운데 1738년 간기를 지닌 『밀주표충사제영』이 초기 형태를 지니고 있어 가장 앞서고 이후의 것들은 정확한 순서를 판별하기 어렵다. 가장 많은 분량을 갖고 있는 것은 1778년 간기를 지닌 『표충사제영록』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하)" 아담북스 2010

      2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機張 지역의 전황과 위치" 부경역사연구소 (19) : 131-162, 2006

      3 조영록, "송운대사분충서난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4 정출헌, "사명당에 대한 사대부들의 기억과 그 시대적 맥락" 한국고전문학회 (45) : 241-277, 2014

      5 이상현, "분충서난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강문식, "밀주표충사제영(密州表忠祠題詠) 해제"

      7 김종민, "밀양 표충사"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2014

      8 채상식, "밀양 表忠寺 소장자료 조사 (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293-311, 1988

      9 로버트 B.마르크스, "다시 쓰는 근대세계사 이야기" 코나투스 164-, 2007

      10 "表忠祠題詠"

      1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하)" 아담북스 2010

      2 김강식, "임진왜란 시기 機張 지역의 전황과 위치" 부경역사연구소 (19) : 131-162, 2006

      3 조영록, "송운대사분충서난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4 정출헌, "사명당에 대한 사대부들의 기억과 그 시대적 맥락" 한국고전문학회 (45) : 241-277, 2014

      5 이상현, "분충서난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6 강문식, "밀주표충사제영(密州表忠祠題詠) 해제"

      7 김종민, "밀양 표충사"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 2014

      8 채상식, "밀양 表忠寺 소장자료 조사 (1)"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293-311, 1988

      9 로버트 B.마르크스, "다시 쓰는 근대세계사 이야기" 코나투스 164-, 2007

      10 "表忠祠題詠"

      11 "表忠祠題咏錄"

      12 "忠祠題咏錄"

      13 이철헌, "密陽 表忠祠의 沿革에 대한 再照明" 불교문화연구원 (52) : 125-146, 2009

      14 이철헌, "四溟堂 惟政의 後代法脈" 불교문화연구원 (49) : 219-239, 2008

      15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사지자료집 6) 표충사시첩"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