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심리운동 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2007-2017) = A Review of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sychomotorik Program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2007-201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sychomotorik program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earch method, 23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movement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Specifically, by year, academic journals, disability type, age, number of people, type of experiment design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intervention, duration of intervention,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number of intervention per week. The characteristics of subordinate variables were divided into social skills, athletic ability, behavioral problems, communication, and verbal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2015, and the most researches on developmental disorder were performed, and the age of study was 5 years old mostly conducted. The number of people was the most in three people. Second, the method of intervention was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with 9 researches, the mediation period was 12 weeks,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was 12, the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was 50 minute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was 2 times . Third, in the case of subordinate variables, composite variable was the most frequent 10 researches, and various tools were us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most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for the design of experimental design. The statistical validation method was Wilcoxon code sequence verification, Mann-Whitney U verification and t-test. Lastly, meta - analysis was suggested as a follow - up study. for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exerci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sychomotorik program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earch method, 23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movement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sychomotorik program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earch method, 23 intervention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movement were examin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Specifically, by year, academic journals, disability type, age, number of people, type of experiment design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intervention, duration of intervention,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number of intervention per week. The characteristics of subordinate variables were divided into social skills, athletic ability, behavioral problems, communication, and verbal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2015, and the most researches on developmental disorder were performed, and the age of study was 5 years old mostly conducted. The number of people was the most in three people. Second, the method of intervention was 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with 9 researches, the mediation period was 12 weeks,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was 12, the intervention time per session was 50 minute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was 2 times . Third, in the case of subordinate variables, composite variable was the most frequent 10 researches, and various tools were us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most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for the design of experimental design. The statistical validation method was Wilcoxon code sequence verification, Mann-Whitney U verification and t-test. Lastly, meta - analysis was suggested as a follow - up study. for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exerci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심리운동에 관련된 국내의 논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심리운동 관련한 중재 연구 23편을 고찰하여 각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 독립변인 특성, 그리고 종속변인 특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도별, 학술지별, 장애유형별, 연령별, 인원수, 실험설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 관련 특성으로는 중재 실시 방법, 중재기간, 중재회기수, 회기당 중재 시간, 주당 중재 횟수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종속변인 관련 특성으로는 사회성 기술, 운동능력, 행동문제, 의사소통, 복합변인 언어성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검사도구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의 경우 년도별로 2015년에 5편으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지적장애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 연령은 5세가 가장 많았다. 인원수는 3명 대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실시 방법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9편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기간은 12주, 중재회기수는 12회, 회기당 중재 시간은 50분, 그리고 주당 중재 횟수는 2회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인의 경우 복합변인이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측정검사도구는 변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연구실험 설계는 실험-통제 집단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통계검증방법은 실험-통제 집단 설계의 Wilcoxon 부호 서열검증, Mann-Whitney U 검증과 t-test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 효과성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심리운동에 관련된 국내의 논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심리운동 관련한 중재 연구 23편을 고찰하여 ...

      본 연구는 심리운동에 관련된 국내의 논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심리운동 관련한 중재 연구 23편을 고찰하여 각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 독립변인 특성, 그리고 종속변인 특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도별, 학술지별, 장애유형별, 연령별, 인원수, 실험설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 관련 특성으로는 중재 실시 방법, 중재기간, 중재회기수, 회기당 중재 시간, 주당 중재 횟수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종속변인 관련 특성으로는 사회성 기술, 운동능력, 행동문제, 의사소통, 복합변인 언어성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검사도구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의 경우 년도별로 2015년에 5편으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지적장애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 연령은 5세가 가장 많았다. 인원수는 3명 대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실시 방법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9편으로 가장 많았고, 중재기간은 12주, 중재회기수는 12회, 회기당 중재 시간은 50분, 그리고 주당 중재 횟수는 2회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인의 경우 복합변인이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측정검사도구는 변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연구실험 설계는 실험-통제 집단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통계검증방법은 실험-통제 집단 설계의 Wilcoxon 부호 서열검증, Mann-Whitney U 검증과 t-test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운동 효과성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11-201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2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6-2010):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63-74, 2011

      3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1-200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5 (45): 505-514, 2006

      4 이숙정,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중도중복장애 아동 교육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99-215, 2005

      5 김윤태, "제발트(Seewald)의 이해적 관점(Ansatz)을 통한 심리운동(Psychomotorik) 이론 및 중재방법연구 - 심리운동학적 관점에서 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사례 분석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75-92, 2005

      6 김윤태,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방법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97-214, 2006

      7 정희선,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1990년~2007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49-173, 2009

      8 원종례, "장애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7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3-115, 2008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91-220, 2012

      1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11-201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3-22, 2016

      2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6-2010):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63-74, 2011

      3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1-200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5 (45): 505-514, 2006

      4 이숙정, "특수교육학에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중도중복장애 아동 교육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99-215, 2005

      5 김윤태, "제발트(Seewald)의 이해적 관점(Ansatz)을 통한 심리운동(Psychomotorik) 이론 및 중재방법연구 - 심리운동학적 관점에서 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사례 분석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75-92, 2005

      6 김윤태,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방법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97-214, 2006

      7 정희선,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연구 고찰: 1990년~2007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49-173, 2009

      8 원종례, "장애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0~2007년까지의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93-115, 2008

      9 김진호, "장애 영유아 부모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45-66, 2017

      10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91-220, 2012

      11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운동모방 및 자발적 언어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65-192, 2012

      12 박정숙, "유리드믹스에 기반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운동 및 운동지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3 (53): 193-212, 2014

      13 공마리아, "아동중심 심리운동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자발성에 미치는 사례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14 (14): 43-56, 2007

      14 송호준, "심리운동중재를 통한 줄넘기 교육이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아동의 운동협응성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83-105, 2015

      15 심태영, "심리운동적 신체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01-116, 2016

      16 백창의, "심리운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지각능력, 운동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17 한지혜,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신체능력 및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6 (6): 239-261, 2011

      18 김일명,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대근육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0 (20): 27-48, 2016

      19 마주리, "심리운동이 공격성향 아동의 사회적 기술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21-243, 2015

      20 김일명, "심리운동의 효과에 대한 일 고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193-212, 2015

      21 송호준, "심리운동을 통한 운동협응성 중재가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 아동의 협응성 및 적응행동 향상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50, 2013

      22 한유진,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65-80, 2011

      23 김춘경,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51-65, 2010

      24 정수경,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31-356, 2011

      25 김나리, "심리운동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

      26 박정숙,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센터 정신분열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완화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17-239, 2013

      27 이혜은,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사회성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05-218, 2015

      28 박정숙,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51-70, 2017

      29 최정길, "심리운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05∼2012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30 송호준, "신체경험중심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운동성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99-216, 2017

      31 박규남, "수중 심리운동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부적응 행동과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401-1410, 2015

      32 유진호, "사회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 연구동향 분석-2013년에서 2017년까지의 국내연구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32, 2017

      33 송호준, "사회경험중심의 심리운동중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정서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337-359, 2012

      34 황정보, "볼링을 통한 심리운동기능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8, 2011

      35 송정아, "발달지체 유아의 운동중재 관련 연구동향 분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36 이윤숙,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39-67, 2010

      37 송호준, "공을 활용한 심리운동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신체모방 및 자발적 놀이 참여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2 (12): 563-576, 2017

      38 김영익, "감각통합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이 자폐성 장애유아의 의사소통기능 습득과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24, 2016

      39 Buswell, D. J., "Publication among highly productive women adapted physical activity scholars" 18 : 366-388, 2001

      40 Kiphard, E. J., "Psychomotorik in Praxis und Theorie" Gütersloh 1989

      41 Lee, "Motor skills intervention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 review study" 9 (9): 2016

      42 Borg, W. R., "Educational research" Longman 1983

      43 Zimmer, R., "Auf Rollen und Rädern – Start in eine sinn(en)volle Verkehrserziehung" 28 (28): 6-13, 1998

      44 "Aktionskreis psychomotorik"

      45 Porretta, D. L., "APAQ at twenty: A documentary analysis" 22 : 119-135, 2005

      46 민소연, "ADHD성향유아 중재 연구경향 분석 : 1995∼2010년까지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47 권윤희, "ADHD 아동을 위한 Kiphard 심리운동 6단계 모델이 주의산만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4 (4): 37-61, 2012

      48 Zimmer,R, "A point of view child-centered on psychomotorik" Ins Psychomotorik in Korea 5-35, 2005

      49 보건복지부, "2017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안내"

      50 이현주, "12주간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389-41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