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스타그램 광고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식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6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택트 시대의 소비유형의 변화로 SNS 및 포털 사이트에서 다양한 유형의 광고가 확대되고 있다. 인스타그램 광고 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식연구에서 광고요소와 광고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

      언택트 시대의 소비유형의 변화로 SNS 및 포털 사이트에서 다양한 유형의 광고가 확대되고 있다. 인스타그램 광고 유형에 따른 소비자 인식연구에서 광고요소와 광고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관심도 및 호감도를 실증분석한 결과 인스타그램 광고는 관심이 높을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구매 빈도 및 만족도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타그램 광고요소는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 사진, 리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광고유형은 직관적인 텍스트 중심, 리뷰, 제품사진 중심의 광고에 호감을 보이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광고표현에 있어 신뢰도가 포함된 정량적 수치의 텍스트와 사용후기, 제품 및 브랜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광고를 선호하고, 리뷰중심의 광고는 50대 이상과 주부들에게 높은 호감을, 대학원 이상의 학력에서 직관적 텍스트 중심 광고에 호감을 보이고 광고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다. 인스타그램은 10대들에게는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타그램 사용자의 관심 분야는 패션, 푸드, 뷰티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자동차, 여성은 패션에 관심이 높으며, 10대는 패션과 영화, 20-30대는 패션, 40대는 여행과 푸드, 50대 이상에서 푸드가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가 SNS광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소비자들에게 관심과 신뢰가 높은 SNS 광고 제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transition of consumption patterns in the ‘Untact Era’,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 have been widely expanded in SNS and portal sites.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s perceptions based on Instagram advertising formats, we...

      With the transition of consumption patterns in the ‘Untact Era’,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 have been widely expanded in SNS and portal sites.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on consumer’s perceptions based on Instagram advertising formats, we analyzed the level of interest and favorability. Women tend to have higher purchasing frequency,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than men. People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frequency,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Instagram ads consider typography, illustration, photo, and product review as important factors. Types of advertising formats are mostly focused on intuitive text, product review, and photo. Consumers have a higher preference for reliable quantitative data and reviews. Furthermore, advertisement that visually expresses brand image is preferred. Advertisement based on reviews are preferred in the housewives and over 50s. People with post-graduate degrees showed high preferences in intuitive text advertisement. Teenagers tend to have a low level of interest in using Instagram. The main fields of interest on Instagram are fashion, food, and beauty in order. Men tend to choose a car as a major interest, women choose fashion. Fashion and movies are preferred in teenagers. Their 20s and 30s showed high preferences in fashion. Travel and food are preferred in 40s. Food is preferred in over 50s.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esented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NS advertisement and will help to vitalize the reliable SNS advertisement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및 결과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및 결과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그린, "인스타그램 사진 보정 기능의 이용과 충족이 인스타그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2017

      2 최유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동기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18

      3 이소라, "인스타그램 네이티브 광고의 기만성 인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20

      4 서인숙, "이모티콘 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증연구" 융복합지식학회 7 (7): 115-124, 2019

      5 이가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패션 브랜드 마케팅에 관한 연구 : 핀터레스트, 인스타그램 적용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6 유진영,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스타그램 광고이미지 분석과 메시지 효과 연구: 글로벌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20

      7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2014/global-social-networks-ranked-by-number-of-users/"

      8 "https://ko.wikipedia.org/wiki"

      9 "https://brunch.co.kr/@chrisjeon82n3/64"

      10 M. De Veirman, "Marketing through Instagram Influencers: The Impact of Number of Followers and Product Divergence on Brand Attitude" 36 (36): 798-828, 2017

      1 방그린, "인스타그램 사진 보정 기능의 이용과 충족이 인스타그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2017

      2 최유진,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동기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18

      3 이소라, "인스타그램 네이티브 광고의 기만성 인식이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20

      4 서인숙, "이모티콘 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실증연구" 융복합지식학회 7 (7): 115-124, 2019

      5 이가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패션 브랜드 마케팅에 관한 연구 : 핀터레스트, 인스타그램 적용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6 유진영, "딥러닝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스타그램 광고이미지 분석과 메시지 효과 연구: 글로벌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20

      7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2014/global-social-networks-ranked-by-number-of-users/"

      8 "https://ko.wikipedia.org/wiki"

      9 "https://brunch.co.kr/@chrisjeon82n3/64"

      10 M. De Veirman, "Marketing through Instagram Influencers: The Impact of Number of Followers and Product Divergence on Brand Attitude" 36 (36): 798-82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