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규수,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 In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태학사 2003
2 권정은, "훈민시조의 창작기반과 다원적 진술양상" 국문학회 9 : 2003
3 조태흠,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과 향유방식, In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4 김열규, "한국시가의 서정의 몇 국면,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7 최재남,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보고사 2012
8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2002
9 길진숙, "주세붕의 죽계지 편찬과 시가관:황준량과의 시가편입 논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11 : 1997
10 우응순,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창설과 국문시가에 대한 방향 모색:황준량과의 논의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35 : 1996
1 최규수,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 In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태학사 2003
2 권정은, "훈민시조의 창작기반과 다원적 진술양상" 국문학회 9 : 2003
3 조태흠,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과 향유방식, In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4 김열규, "한국시가의 서정의 몇 국면,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7 최재남,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보고사 2012
8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2002
9 길진숙, "주세붕의 죽계지 편찬과 시가관:황준량과의 시가편입 논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11 : 1997
10 우응순,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창설과 국문시가에 대한 방향 모색:황준량과의 논의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35 : 1996
11 최재남, "주세붕의 목민관 생활과 <오륜가>, In 士林의 鄕村生活과 詩歌文學" 국학자료원 1997
12 신연우, "주세붕에서 정철로 훈민시조의 변이와 그 의의" 온지학회 4 : 1998
13 김창원, "조선전기 시조사의 시각과 경기체가" 한국시가학회 9 : 2001
14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 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2002
15 金恒洙, "조선 전기 三綱行實圖와 小學의 편찬" 한국사상문화학회 (19) : 191-221, 2003
16 최홍원,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 국어국문학회 (159) : 147-178, 2011
17 고영화, "장르의 매체적 성격과 장르 선택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5 : 2000
18 조태흠, "유교 이념의 시적 변용고" 부산대 국어국문학과 27 : 1990
19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출판부 1986
20 Richards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출판부 2001
21 Plett, H. F., "수사학과 텍스트 분석" 동인 2002
22 Timothy Borchers, "수사학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3 김항수, "삼강행실도 편찬의 추이" 진단학회 85 : 1998
24 김훈식, "삼강행실도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진단학회 85 : 1998
25 권두환, "목소리 낮추어 노래하기, In 白影鄭炳昱先生10週忌追慕論文集刊行委員會,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26 장호종, "말다'의 의미와 용법적" 한국어학회 20 : 221-239, 2003
27 전재강, "노계 <오륜가>의 당위적 지향과 현실적 표현 양상" 문학과언어연구회 10 : 1989
28 박연호, "가사문학장르론" 다운샘 2003
29 하윤섭, "鮮初 <五倫歌>의 고전적 원천과 그 의미 -경기체가 <오륜가>와 시조 <오륜가>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0) : 67-96, 2009
30 김대행, "詩歌詩學硏究" 이대출판부 1991
31 조태흠, "訓民時調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9
32 金容徹, "訓民時調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33 김진우, "言語와 修辭" 한국문화사 2010
34 고영근, "現代國語의 文體法에 대한 硏究" 서울대 어학연구소 12 (12): 1976
35 권두환, "松江의 <訓民歌>에 대하여,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36 박경주, "景幾體歌硏究" 이회문화사 1996
37 김성화, "‘-{지/다가/고}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회 102 : 1989
38 최재남, "<훈민가> 보급의 경과와 그 의미"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1) : 319-343, 2008
39 우응순, "16세기 정치현실과 시가문학, In 민족문학사강좌(상)" 1995
40 하윤섭,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46) : 21-54,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