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세붕 <오륜가>의 표현 전략 연구 -교훈시조 작품군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Strategy of Ju Sebung(周世鵬)’s Oryunga(五倫歌) -Focused on the Contrast with Didactic Sijo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9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obing Ju Sebung’s Oryunga from the viewpoint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s and conveyance about didactic sijo for a long time and its literary value has been underestimated. Thus, the objective is looking at its meaning with fresh eyes from the perspective of message and persuasion. Such critical mind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strategy and effects as follows. Those are 1) the effect of figuration and materializ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characters, 2) the effect of appropriateness and justification of opinions through negative assumption, and 3) the effect of getting rid of repulsion and euphemistic voice expression through making use of various endings. As mentioned above, Ju Sebung’s Oryunga shows a variety of expression strategies in the worries about audiences and sijo genre. Accordingly, it boosts the effect of conveyance and persuasion. It is time to reconsider its meaning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that it carries out a role to bear various expression strategies and methods of didactic sijo.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probing Ju Sebung’s Oryunga from the viewpoint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s and conveyance about didactic sijo for a l...

      This study aims at probing Ju Sebung’s Oryunga from the viewpoint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that ther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s and conveyance about didactic sijo for a long time and its literary value has been underestimated. Thus, the objective is looking at its meaning with fresh eyes from the perspective of message and persuasion. Such critical mind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strategy and effects as follows. Those are 1) the effect of figuration and materializ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and utilization of characters, 2) the effect of appropriateness and justification of opinions through negative assumption, and 3) the effect of getting rid of repulsion and euphemistic voice expression through making use of various endings. As mentioned above, Ju Sebung’s Oryunga shows a variety of expression strategies in the worries about audiences and sijo genre. Accordingly, it boosts the effect of conveyance and persuasion. It is time to reconsider its meaning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that it carries out a role to bear various expression strategies and methods of didactic sij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규수,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 In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태학사 2003

      2 권정은, "훈민시조의 창작기반과 다원적 진술양상" 국문학회 9 : 2003

      3 조태흠,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과 향유방식, In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4 김열규, "한국시가의 서정의 몇 국면,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7 최재남,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보고사 2012

      8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2002

      9 길진숙, "주세붕의 죽계지 편찬과 시가관:황준량과의 시가편입 논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11 : 1997

      10 우응순,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창설과 국문시가에 대한 방향 모색:황준량과의 논의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35 : 1996

      1 최규수, "훈민형 시가에서 말하기 방식의 특징과 효 윤리의 의미, In 고전시가 엮어읽기(하)" 태학사 2003

      2 권정은, "훈민시조의 창작기반과 다원적 진술양상" 국문학회 9 : 2003

      3 조태흠, "훈민시조 종장의 특이성과 향유방식, In 고시조연구" 태학사 1997

      4 김열규, "한국시가의 서정의 몇 국면,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제4판)" 지식산업사 2005

      6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997

      7 최재남, "체험서정시의 내면화 양상 연구" 보고사 2012

      8 장윤희,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태학사 2002

      9 길진숙, "주세붕의 죽계지 편찬과 시가관:황준량과의 시가편입 논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11 : 1997

      10 우응순,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창설과 국문시가에 대한 방향 모색:황준량과의 논의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35 : 1996

      11 최재남, "주세붕의 목민관 생활과 <오륜가>, In 士林의 鄕村生活과 詩歌文學" 국학자료원 1997

      12 신연우, "주세붕에서 정철로 훈민시조의 변이와 그 의의" 온지학회 4 : 1998

      13 김창원, "조선전기 시조사의 시각과 경기체가" 한국시가학회 9 : 2001

      14 강명관, "조선시대 문학 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2002

      15 金恒洙, "조선 전기 三綱行實圖와 小學의 편찬" 한국사상문화학회 (19) : 191-221, 2003

      16 최홍원, "정훈 시가 다기성에 대한 시학적 이해" 국어국문학회 (159) : 147-178, 2011

      17 고영화, "장르의 매체적 성격과 장르 선택 원리에 대하여" 한국문학교육학회 5 : 2000

      18 조태흠, "유교 이념의 시적 변용고" 부산대 국어국문학과 27 : 1990

      19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대출판부 1986

      20 RichardsI. A., "수사학의 철학" 고려대출판부 2001

      21 Plett, H. F., "수사학과 텍스트 분석" 동인 2002

      22 Timothy Borchers, "수사학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3 김항수, "삼강행실도 편찬의 추이" 진단학회 85 : 1998

      24 김훈식, "삼강행실도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진단학회 85 : 1998

      25 권두환, "목소리 낮추어 노래하기, In 白影鄭炳昱先生10週忌追慕論文集刊行委員會,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26 장호종, "말다'의 의미와 용법적" 한국어학회 20 : 221-239, 2003

      27 전재강, "노계 <오륜가>의 당위적 지향과 현실적 표현 양상" 문학과언어연구회 10 : 1989

      28 박연호, "가사문학장르론" 다운샘 2003

      29 하윤섭, "鮮初 <五倫歌>의 고전적 원천과 그 의미 -경기체가 <오륜가>와 시조 <오륜가>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0) : 67-96, 2009

      30 김대행, "詩歌詩學硏究" 이대출판부 1991

      31 조태흠, "訓民時調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9

      32 金容徹, "訓民時調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0

      33 김진우, "言語와 修辭" 한국문화사 2010

      34 고영근, "現代國語의 文體法에 대한 硏究" 서울대 어학연구소 12 (12): 1976

      35 권두환, "松江의 <訓民歌>에 대하여, In 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36 박경주, "景幾體歌硏究" 이회문화사 1996

      37 김성화, "‘-{지/다가/고}말-’의 의미 기능" 국어국문학회 102 : 1989

      38 최재남, "<훈민가> 보급의 경과와 그 의미"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1) : 319-343, 2008

      39 우응순, "16세기 정치현실과 시가문학, In 민족문학사강좌(상)" 1995

      40 하윤섭,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민족문학사학회 (46) : 21-54,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