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84692
2013
Korean
수도권 ; 비수도권 ; 인구이동 ; 주거문화 ; 자기집소유 ; 한계효과 ; Seoul metropolitan area ; non-Seoul metropolitan area ; migration ; housing culture ; owning house ; marginal effect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7-46(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2010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주결정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남성보다 여성, 기혼자보다 미혼자가 이주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작을수록, 거주지 평균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수도권에서 거리가 짧을수록 이주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적자본 인구이동이론과 합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주자들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분석의 일환으로 자기집 소유 결정함수를 추정하였는데 여성보다 남성, 미혼자보다 기혼자,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서울보다는 경기, 경기보다는 인천거주자가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자를 대상으로 연령과 교육연수의 자기집 소유에 대한 한계효과를 구하였다. 한계효과 추정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1세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약 1%P 증가하고, 교육연수가 1년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0.9%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the estimated migration determination function, female, young-aged and unmarried have higher migration tendenci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higher education level is, the smaller household size is, the lower average income is, and the closer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higher is the tendency to migrat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migr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house ownership determination function, male, married, and highly educated have higher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than their counterparts. Insid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is high in the order of Incheon, Gyeonggi, and Seoul. Finally, marginal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level on house ownership are estimated. In case of people aged older than 30, marginal effect of age is 1%P. In addition, the one-year increase of education length brings 0.9%P increase of house ownership.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Seoul Metropolitan Area)으로 이주한 자의 이주 결정요인과 이주지에서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다. 이용한 자료는 5년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2010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주결정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남성보다 여성, 기혼자보다 미혼자가 이주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원수가 작을수록, 거주지 평균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수도권에서 거리가 짧을수록 이주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적자본 인구이동이론과 합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주자들의 주거문화에 대한 실태분석의 일환으로 자기집 소유 결정함수를 추정하였는데 여성보다 남성, 미혼자보다 기혼자,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그리고 서울보다는 경기, 경기보다는 인천거주자가 자기집 소유경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자를 대상으로 연령과 교육연수의 자기집 소유에 대한 한계효과를 구하였다. 한계효과 추정결과에 의하면 연령이 1세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약 1%P 증가하고, 교육연수가 1년 증가하면 자기집 소유확률이 0.9%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migration and housing culture for the immigrants to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used here is 2% sample data of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leased every 5 years by Statistics Korea. According to the estimated migration determination function, female, young-aged and unmarried have higher migration tendenci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higher education level is, the smaller household size is, the lower average income is, and the closer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the higher is the tendency to migrat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migr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house ownership determination function, male, married, and highly educated have higher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than their counterparts. Insid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ndencies of house ownership is high in the order of Incheon, Gyeonggi, and Seoul. Finally, marginal effects of age and education level on house ownership are estimated. In case of people aged older than 30, marginal effect of age is 1%P. In addition, the one-year increase of education length brings 0.9%P increase of house ownersh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우, "한국의 농촌·도시간 인구이동함수" 41 (41): 213-232, 1993
2 권상철,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5-26, 2010
3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계속이동과 회귀이동" 13 (13): 19-44, 2001
4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한국지역학회 18 (18): 49-82, 2002
5 이성우, "주거밀도로 측정한 출신지역별 주거수준 차이, 1990-200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137-155, 2002
6 천진홍,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651-673, 2007
7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71-584, 2005
8 이성우, "아시아 이민자들의 주택소유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9 (9): 223-250, 2001
9 권용우, "수도권 인구이동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30 (30): 21-39, 1995
10 이승권, "수도권 노인, 비노인 인구의 공간분포 및 이동특성" 한국주거환경학회 8 (8): 193-210, 2010
1 이은우, "한국의 농촌·도시간 인구이동함수" 41 (41): 213-232, 1993
2 권상철,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5-26, 2010
3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계속이동과 회귀이동" 13 (13): 19-44, 2001
4 이성우,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이동과 연계이동" 한국지역학회 18 (18): 49-82, 2002
5 이성우, "주거밀도로 측정한 출신지역별 주거수준 차이, 1990-2000"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137-155, 2002
6 천진홍,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651-673, 2007
7 권상철, "우리나라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시기별 유출지역 특성과이주자 선별성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71-584, 2005
8 이성우, "아시아 이민자들의 주택소유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9 (9): 223-250, 2001
9 권용우, "수도권 인구이동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30 (30): 21-39, 1995
10 이승권, "수도권 노인, 비노인 인구의 공간분포 및 이동특성" 한국주거환경학회 8 (8): 193-210, 2010
11 여윤경, "소비자의 주택점유 형태 선택의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 41 (41): 205-220, 2003
12 최은영, "선택적 인구이동과 공간적 불평등의 심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7 (7): 57-70, 2004
13 하성규, "서울 거주자의 출신지역별 자가점유 특성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 지역격차와 지역차별" 13 (13): 33-56, 2001
14 이은우 Lee, Eun-Woo, "군 지역-도시 간 이주 및 이주자의 자가 소유 결정요인" 재단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31): 49-68, 2008
15 김옥연, "가계 자산구조와 주택소유결정요인 분석 - 보통가구와 1인가구의 비교 -" 한국주거환경학회 9 (9): 25-38, 2011
16 Sjaastad, L. A., "The Cost and Return of Human Migration" 70 : 80-93, 1962
17 Harris, J. R., "Migration, Unemployment, and Development" 60 (60): 126-142, 1970
18 Lee, S. W., "Migration Determinants and Employment Consequences of White and Black Families, 1985-1990" 75 (75): 109-133, 1999
19 Haurin, D. L., "Income Variability, Homeownership, and Housing Demand" 1 : 60-74, 1991
20 Gyourko, J., "Housing, Wealth, Housing Finance and Tenure in Korea" 19 : 211-234, 1989
21 Huang, Y., "Housing Tenure Choice in Transitional Urban China : A Multilevel Analysis" 39 (39): 7-32, 2002
22 Pindyck, R. S., "Econ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s" McGraw Hill 1998
23 Kim, H. M., "An Analysis of Individual and Family Migration Behavior: The Case of Korea" Harvard University 1988
24 Todaro, M. P.,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59 (59): 138-148, 1969
25 Bourassa, S. C., "A Model of Housing Tenure Choice in Australia" 37 (37): 161-175, 1995
일본의 외래문화 유입요인으로 분석한 한류산업의 형성과 발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