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의 사회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통일인식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Korean's Soci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ity on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 Mediating Effect of Unification Awar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49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알아보고, 한국인의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통일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사회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종속변수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매개변수로는 통일인식을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20세 이상의 성인 한국인 8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패널 조사, 구글 설문)과 직접 방문을 이용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870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인 5부를 제외하고 총 8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여 SPSS 24.0과 AMOS 24.0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정규성 분포 검증과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사회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한국인의 사회정체성이 높아질수록 통일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통일인식이 높아질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수록 통일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사회정체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정체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회정체성이 통일인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다문화 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수용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통일인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의 통일인식이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사이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와 차별화 된 본 연구의 기여점이다. 또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통일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요인임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인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낮추기 위해서는 통일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통일인식 함양을 위해서는 통일부에서 실시하는 ‘평화·통일교육’이 방식과 내용면에서 통일에 대한 한국인 개개인의 실제적 이해관계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구성하여야 함과, 내용전달 면에서 남과 북의 이질감이 부각되지 않도록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다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과 프로그램, 갈등 중재 프로그램 도입 및 심리상담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주제어 :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 북한이탈주민, 편견
      번역하기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알아보고, 한국인의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간의 구조적 ...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알아보고, 한국인의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통일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사회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종속변수로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매개변수로는 통일인식을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20세 이상의 성인 한국인 8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패널 조사, 구글 설문)과 직접 방문을 이용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870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인 5부를 제외하고 총 8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유의수준을 0.05로 설정하여 SPSS 24.0과 AMOS 24.0 통계패키지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정규성 분포 검증과 기술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사회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한국인의 사회정체성이 높아질수록 통일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통일인식이 높아질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질수록 통일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사회정체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정체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사회정체성이 통일인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다문화 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 수용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통일인식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인의 통일인식이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사이를 매개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는 것이 선행연구와 차별화 된 본 연구의 기여점이다. 또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이 통일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요인임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인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낮추기 위해서는 통일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통일인식 함양을 위해서는 통일부에서 실시하는 ‘평화·통일교육’이 방식과 내용면에서 통일에 대한 한국인 개개인의 실제적 이해관계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구성하여야 함과, 내용전달 면에서 남과 북의 이질감이 부각되지 않도록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다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과 프로그램, 갈등 중재 프로그램 도입 및 심리상담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주제어 : 사회정체성,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 북한이탈주민, 편견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5
      • 3. 연구의 구성 7
      • 4. 용어 정의 8
      • 가. 사회정체성 8
      • 나. 다문화 수용성 9
      • 다. 통일인식 9
      • 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사회정체성 11
      • 가. 사회정체성의 개념 11
      • 나. 사회정체성의 구성요소 14
      • 다. 한국인의 사회정체성 15
      • 2. 다문화 수용성 17
      • 가. 다문화 수용성의 개념 17
      • 나. 다문화 수용성의 구성요소 19
      • 다.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21
      • 3. 통일인식 22
      • 가. 통일인식의 개념 22
      • 나. 한국인의 통일인식 24
      • 4.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26
      • 가. 편견 개념 26
      • 나.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편견 28
      • 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29
      • 5. 선행연구 31
      • 가. 사회정체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 31
      • 나. 사회정체성과 통일인식의 관계 33
      • 다. 통일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 35
      • 라. 다문화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 36
      • 마. 다문화 수용성과 통일인식의 관계 37
      • 바. 사회정체성, 통일인식과 편견 38
      • 사. 다문화 수용성, 통일인식과 편견 39
      • Ⅲ. 연구방법 40
      • 1.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40
      • 가. 연구모형 40
      • 나. 연구가설 41
      • 2. 연구대상 44
      • 3. 측정도구 45
      • 가. 사회정체성 척도 45
      • 나. 다문화 수용성 척도 46
      • 다. 통일인식 척도 47
      • 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 척도 47
      • 4. 자료의 분석방법 48
      • Ⅳ. 분석결과 50
      • 1. 연구변수의 기초분석 50
      • 가. 표본의 일반적 특성 50
      • 나. 기술통계량 52
      • 다. 상관분석 55
      • 라. 집단 간 차이분석 57
      • 2. 측정모형의 검증 72
      • 가.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73
      • 나. 측정모형의 경로계수 검증 85
      • 다. 측정모형의 집중타당도, 신뢰도, 판별타당도 검증 87
      • 3. 연구모형 검증 89
      • 가. 연구모형의 적합도 89
      • 나. 연구모형의 경로분석 89
      • 다. 모형의 수정 및 최종 모형 설정 91
      • 4. 연구모형의 효과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93
      • 5. 가설의 검증 95
      • Ⅴ. 결론 97
      • 1. 연구결과 요약 97
      • 2. 논의 102
      • 가. 사회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103
      • 나. 사회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이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 105
      • 다. 통일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107
      • 라. 사회정체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의 매개효과 108
      • 마. 다문화 수용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의 관계에서 통일인식의 매개효과 110
      • 3. 제언 및 한계점 111
      • 가.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11
      • 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14
      • 참고문헌 115
      • 국내문헌 115
      • 국외문헌 125
      • 인터넷 128
      • ABSTRACT 129
      • 부록 1. 연구동의서 133
      • 부록 2. 설문지 13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회심리학, 강혜자, 한덕웅, 최훈석, 장은영, 김금미, 성한기, 박군석, 이경성, 서울: 학지사, , 2005

      2. 2019 통일의식조사, 강채연, 김희정, 이성우, 김학재, 김범수, 임경훈, 김병로, 최규빈, 조 용신, 통일의식조사, 1-502, , 2020

      3. 사회심리학의 이해, 한규석, 서울: 학지사, , 2013

      4.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Olson , J. M. , & Zanna , M. P., 44 , 117-154, , 1993

      5.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배병렬,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7

      6. M-Plus 7.0 구조방정식모델링, 배병렬,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6

      7.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연구, 안상수,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2

      8. 구조방정식모델 오해와 편견, 우종필, 서울: 한겨레아카데미, , 2014

      9.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유지웅, 통일문제연구, 19(1): 145-175, , 2007

      10.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서울: 한겨레아카데미, , 2017

      1. 사회심리학, 강혜자, 한덕웅, 최훈석, 장은영, 김금미, 성한기, 박군석, 이경성, 서울: 학지사, , 2005

      2. 2019 통일의식조사, 강채연, 김희정, 이성우, 김학재, 김범수, 임경훈, 김병로, 최규빈, 조 용신, 통일의식조사, 1-502, , 2020

      3. 사회심리학의 이해, 한규석, 서울: 학지사, , 2013

      4.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Olson , J. M. , & Zanna , M. P., 44 , 117-154, , 1993

      5.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배병렬,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7

      6. M-Plus 7.0 구조방정식모델링, 배병렬, 서울: 도서출판 청람, , 2016

      7.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연구, 안상수,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2

      8. 구조방정식모델 오해와 편견, 우종필, 서울: 한겨레아카데미, , 2014

      9.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유지웅, 통일문제연구, 19(1): 145-175, , 2007

      10.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서울: 한겨레아카데미, , 2017

      11.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 사연구, 마경희, 김이선, 문희경, 안상수, 이명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5

      12. 보육교사의 사회적 편견 연구, 김화선, 인문사회 21, 8(1), 269-286, , 2017

      13.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김민규, 홍세희, 김주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9

      14. Identity Theory and Social Identity Theory, Stets , J. E , & Burke , P . J., 63 ( 3 ) , 224-237, , 2000

      15.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0.0., 임지훈, 이학식, 서울: 집 현재, , 2013

      16.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의 개발, 성한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3), p.33-48, , 2001

      17. Social identity theory and the organization, Ashforth , B. E. , & Mael , F., 14 ( 1 ) , 20-39 ., , 1989

      18.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강원택,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 2007

      19. 다문화수용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박혜숙, 한국연구재단, , 2012

      20.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김이선, 안상수, 이명진, 민무숙, 선보영, 여성가족부, , 2012

      21.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 Tajfel , H., 33 , 1-39 ., , 1982

      22.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노경섭, 서울: 한빛아카데미, , 2016

      23.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윤인진, 송영호, 한국사 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1), 579-591, , 2009

      24.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변종헌, 통일정책연구, 21(1), 157-186, , 2012

      25. 북한이주민의 남한살이와 인정의 욕구, 윤인진, 한국행정학회, 2011(0), 1-21, , 2011

      26.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국민의 태도, 권수현, 한국정치연구, 20(2), 129-153, , 2011

      27. 차별에 대한 국민의식 및 수용 성 연구, 김혜숙, 정기선, 박수미, 박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70-2, 1-271, , 2004

      28.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이자형, 박현준, 김경근, 한국교육, 41(3), 5-34, , 2014

      29.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ur ., Tajfel , H. , & Turner , J. C., 13 ( 3 ) , 276-293 ., , 1986

      30. 대학생 및 고등학생들의 탈북자관 조사, 김영수, 전략논총, 10, 125-155, , 1998

      31.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 인식에 관한 연구, 박범종, 통일전략 18(2), 79-109, , 2018

      32. 통일인식 차이의 원인: 합리주 의적 설명, 최우선, 최영준, 주형민, 황태희, 아세아연구, 59(3), 84-112, , 2016

      33.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민무숙, 안상수, 김금미, 김이선, 류정아, 조영기, 서울:사회통합위원회, , 2010

      34.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김상학, 사회연구, 7, 169-206, , 2004

      35.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박혜숙, 원미순, 교 육심리연구, 24(2), 303-325, , 2010

      36.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이시형, OUGHYTOPIA, 23(1), 187-222, , 2008

      37. 대학생 통일인식과 대학교 통일교육의 함의, 김욱, 이재현, 통 일연구 24(1), 77-105, , 2020

      38. Emory Bogardus and the Origins of the Social Distance Scale, Wark , C. , & Galliher , J., 38 , 383-395 ., , 2007

      39. 국가정체성과 대북 태도: 애국심을 중심으로, 윤광일, 국방연구, 61(3), 1-31, , 2018

      40.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실태와 정착지원방안, 윤인진, 아세아연 구, 50(2), 106-143, , 2007

      4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결정요인, 정진원, 사회과 학연구, 30(1), 155-182, , 2019

      42. Perceptions of Social Distance in an Ethnically Fluid Community, Randall , N. H. , & Delbridge , S., 25 , 103-122 ., , 2005

      43. 초․중등학생의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박선웅, 사회 이론, 43, 161-197, , 2013

      44. Are Patriots Bigots ? An Inquiry into the Vices of in-Group Pride, De Figueiredo , R. J. P. , & Elkins , Z., 47 ( 1 ) :171-188 ., , 2003

      45.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 향, 안태준, 백승대, 열린교육연구, 24(1), 39-58, , 2016

      46.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와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윤인진, 송영호, 송주영, 김상돈, 파주: 이담북스, , 2010

      47. Choosing a multivariate model : Non centrality and goodness of fit, McDonald , R. P. , & Marsh , H. W., 107 ( 2 ) , 247 ? 255, , 1990

      48. 다문화인의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정명희, 박외병, 무역연구, 8(2), 355-370, , 2012

      49. 미디어 접촉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변 화, 김희상, 윤인진, 사회과학연구 25(1), 8-42, , 2017

      50.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제삼자 효과와 사회 정체성, 김현정, 언 론과학연구, 13(1), 67-91, , 2013

      5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다문화 수용성과 통일 태도, 백시내, 사회 과학연구, 32(1), 337-356, , 2016

      52. Compassion , Pride , and Social Intuitions of Self-Other Similarity, Oveis , C. , Horberg , E. J . & Keltner , D., 98 ( 4 ) , 618-630 ., , 2010

      53. Social Distance : Self Reports by Black and White School Age Children, Morgan , H., 57 , 15-33, , 2006

      54.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관제, 조용관, 윤리연구, 57, 217-240, , 2004

      55.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 성, 윤인진, 송영호, 통일문제연구, 23(1), 143-192, , 2011

      56.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최현, 시 민사회와 NGO, 5(2), 147-173, , 2007

      57.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2000

      58.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백승대, 안태준, 대한정치학회보, 21(2), 1-24, , 2013

      59. Study of the Attitudes of Nursing Personnel Toward the Geratric Patient, Campbell , M. E., 20 ( 2 ) , 147-150 ., , 1971

      60. 사회적 위협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황정미, 아태연구, 23(2), 311-346, , 2016

      61. 재일코리안 차세대의 정체성과 통일의식 상관 성 연구, 임채완, 이상걸, 동북아문화연구, 46, 355-378, , 2016

      62.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다문화교육 활성화 방 안 연구, 양계민, 정진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보고서, 38-40, , 2009

      63. 청소년 통일인식 형성 요인 연구: 가짜뉴스를 중심으로, 권혁률, 하승희, 조창완, 안수현, 남현욱, (재)경기도교육연구원, , 2020

      64.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심양섭, 김현주, 북한학보, 40(1), 36-66, , 2015

      65. 북한 주민에 대한 태도가 대북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 향, 윤광일, 사회과학연구, 25(2), 29-63, , 2013

      66. 북한이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민족의식과 다 문화의식, 송영호, 윤인진, 재외한인연구, 30, 7-40, , 2013

      67.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양대희, 김혜영, 서미, 청소년상담연구, 25(1), 197-223, , 2017

      68.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 성에 대한 조사연구」, 황정미, 최현, 이명진, 이동주, 김이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19-2), 2-229, , 2007

      69. 도덕과에서의 반편견교육: 사회 정체성 관점을 중심으 로, 추병완, 윤리교육연구, 28, 111-132, , 2012

      70. 세대와 통일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386세대를 중심 으로, 김도경, 통일전략, 19(4), 111-136, , 2019

      71. 이주민 집중 거주 지역 주민의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 전경숙, 도시연구, 19, 309-368, , 2021

      72. 탈북자 문제의 실태와 분석: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모 델, 윤인진, 통일논총, 18, 3-32, , 2000

      73. 다문화수용성 척도의 타당성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이혜진, 이연옥, 김태완, 조윤용, 문화예술교육연구, 11(2), 57-78, , 2016

      74. 북한이탈주민의 재이주: 남한주민의 정치 인식을 중심 으로, 김종원, 글로벌정치연구, 12(1), 41-65, , 2019

      75. 초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 정 학생에 대한 태도, 조영달, 박윤경, 성경희, 시민교육연구, 40(3), 1-28, , 2008

      76. Identity and Cooperative Behavior in Group . Group Process & Intergroup Relations, Tyler , T. R. & Blader , S. L., 4 ( 4 ) , 207-226 ., , 2001

      77.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양계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2), 57-79, , 2009

      78. 북한 주민에 대한 사회심리적 태도가 통일열망에 미치 는 영향, 정기선, 한국사회학, 32, 427-448, , 1998

      79.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다문화수용성이 통일인식에 미치 는 영향, 한승조,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7, , 2017

      80.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이선미, 정기선, 비교한국학, 19(1), 45-72, , 2011

      81. 가치외교의 부상과 가치의 진영화 강대국 및 중견국 사례와 함의, 김태환, 서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2018

      82.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추이와 국제비교에 관한 탐 색적 연구, 이명진, 사회과학연구, 32(1), 67-95, , 2019

      83.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한․ 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희재, 김현숙, 최송식, 국제지역연구, 15(2), 141-168, , 2011

      84.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유형: 근거 이론 에 의한 분석, 이연우, 유시은, 전우택, 통일정책연구, 20(2), 1-35, , 2011

      85. 국내 이주 외국인에 대한 부산, 울산, 경남지역 대학생의 의식조사, 인태정, 김희재, 아세아연구, 52(2), 184-213, , 2009

      86. 대구와 경북 지역 청소년의 국민정체성과 다문 화수용성 비교연구, 안태준, 백승대, 지역사회연구, 21(3), 29-51, , 2013

      87. 조직공정성이 조직구성원의 사회정체성과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호,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3

      88.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기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9

      89. Empirical validation of affect , behavior , and cognition as distinct components of attitude, Breckler , S. J, 52 , 384-389, , 1984

      90. 대학생들의 혼혈인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본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 정지언, 국제교육협력연구지, 1(1), 29-49, , 2008

      91. 직업군인의 심리적 변인이 북한이탈주민에 대 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김현아, 이자영, 통일정책연구, 25(1), 117-143, , 2016

      92.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교육 수준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경근, 이자형, 교육사회학연구, 22(3), 163-192, , 2012

      93.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 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은미, 통일과 평화, 5(2), 74-104, , 2013

      94. 다양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비교, 이정우, 사회과 교육, 47(3), 297-320, , 2008

      95.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 호감도에 관한 연구: 조선족 이 주민을 중심으로, 조수진, 상품학연구, 39(2), 47-52, , 2021

      96.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조사, 한국행정연구 원 사회조사센터, 고재권, 서울: ㈜세일포커스, , 2014

      97. 통일교육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성: 대구지역 중학교의 비교연구, 박소윤, 신형진, 박민아, 다문화와 디아스포라 연구, 14, 225-250, , 2019

      98. 사회정체성 평가 차원에 대한 국제비교조사–한국, 중 국, 미국 비교연구, 이명진, 서울: 집문당, , 2011

      99. SPSS 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 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성태제, 서울: 학지사, , 2014

      100.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 인식: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 권일남, 배진숙, 윤인진, 송영호, 김태균, 통일문제연 구, 27(1), 31-68, , 2015

      101. 청소년의 사회적 배제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및 국민정체성의 조절효과, 전병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173-183, , 2015

      102. 한국판 KABC-II 보충하위검사의 심리측정적 대체능력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문수백, 발달장애연구, 19(2), 1-34, , 2015

      103. 탈북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연구: 국가정체 성과 다문화수용성을 중심으로, 이내영, 손애리, 아태연구, 19(3), 5-33, , 2012

      104. 문화다양성 태도와 내국인과 외국인의 상호접촉:외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이윤석, 김석호, 심규선, 지역사회학, 18(3), 69-100, , 2017

      105. 다문화 시대 한국인 정체성의 의미: 서울 지역 초등학 생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윤경, 시민교육연구, 46(3), 73-103, , 2014

      106. 통일과 남북한 사회복지 제도통합에 대한 연구: 거시-구조 적 수준을 중심으로, 노용호, 한국동북아논총, 11(1), 5-29, , 2006

      107. Psychology and the End of History : A Critique and a Proposal for the Psychology of Social Categorization, Reicher , S. , & Hopkins , N., 22 , 383-407, , 2001

      108. 「국가별 관심편중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측정: 대구 달서구 사례의 실증 분석」, 이시철, 김혜순, 지방행정연구, 28(1), 89-114, , 2014

      109.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91-104, , 2007

      110. 통일편익/비용과 통일인식의 관계 연구: 부산지역 대학 생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김도경, 국제정치연구, 22(3), 105-024, , 2019

      111.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politics of membership)관점에서, 황정미, 아세아연구, 53(4), 152-272, , 2010

      112. National Identity in a United Germany : Nationalism or Patriotism ? An Empirical Test with Representative Data, Blank , T. , & Peter , S., 24 , 289-312 ., , 2003

      113. Cutoff Criteria in Fix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Hu , L. , & Bentler , P. M., 6 ( 1 ) , 1 ? 55, , 1999

      114. 계층과 탈북자에 대한 태도: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인식의 격차를 중심으로, 정희옥, 국제지역연구, 25(4), 167-198, , 2016

      115.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남한 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계민, 이우영, 북한학 연구, 12(1), 71-105, , 2016

      116. 한국인 다문화 수용성 영향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 수준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기혜, 이자형, 김경근, 교육사회학 연 구, 25(1), 1-28, , 2015

      117. 중국 호텔 종사원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체성의 조절효과, 김수진, 리모, 김진강, 동북아관광연 구, 13(3), 199-218, , 2017

      118. 탈북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시선: 남북청년통일실험- 어서 오시라요에 대한 악성댓글 사건, 정진아, 민족문화연구, 76, 281-311, , 2017

      119. 한국인 민족주의와 상징적 폭력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김정규, 사회이론, 47, 221-266, , 2015

      120. 여성 결혼이민자 한국사회 정착화 과정 연구: 정착 지원서비스 수요와 공급체계를 중심으로, 김규식, 소진광, 한국지역개발학회 지, 28(3), 205-238, , 2016

      121. 광고업계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박종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0

      122. 대학생들이 중요시하는 가치와 북한 사람 및 대북 정 책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김혜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35-50, , 2002

      12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육상경기의 종목별 연 구동향,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이영선, 스포츠사이언스, 37(1), 219-228, , 2019

      124. Assessing sources of error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The effects of sample size , reliability , and model misspecification, Bandalos , D. L., 4 ( 3 ) , 177-192 ., , 1997

      125. 스테레오타입, 편견, 사회적 거리 연구를 위한 모형 모 색: 스테레오타입 내용 모형 수정 및 확장, 김철용, 사회과학연구, 26(4), 191-218, , 2019

      126.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 한 인식 :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김경은, 윤노아, 사회과교육, 51(1), 123-140, , 2012

      127.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 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양계민, 정진경, 11(특집호), 97-115, , 2005

      128.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 향: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만, 이재창, 한국심리학회 지 사회문제, 11(3), 41-66, , 2005

      129. 국민정체성 인식과 접촉 경험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적 접근의 필요성, 유가현, 정진리, 다문 화교육연구, 13(3), 85-111, , 2020

      130. 다문화 교육의 맥락에서 한국 학생들의 국제교류 수용 도 분석: 교류영역 및 대상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임성택, 비교교육연 구, 18(2), 1-20, , 2008

      131. Intraorganizational Respect and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identity , Group Process & Intergroup Relations, Sturmer , S. , Simon , B. , & Loewy , M., 11 ( 1 ) , 5-20 ., , 2008

      132.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 탈주민에 대한 남한 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권수현, 송영훈, 오토피아, 30(2), 123-159, , 2015

      133.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김창숙, 임도경, 커뮤니케이션학연구, 5-34, , 2011

      134. Testing and Extending the Group Engagement Model : Linkages between Social Identity , Procedural Justice , Economic Outcomes , and Extra Role Behavior, Blader , S. T. , & Tyler , T. R., 94 ( 2 ) , 445-464 ., , 2009

      135. 국민 정체성과 위협의식,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외국인 밀집지역 거주 여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서연, 한국지 역학회, 35(1), 19-31, , 2019

      136.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김도영, 이주연, 신희천, 김혜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51-89, , 2011

      137. 다문화 수용성, 의사소통, 부부갈등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국제 결혼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신도를 대 상으로, 여경환, 박옥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1(2), 149-167, , 2016

      138. 민족정체성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수용성의 매개효과: 한국거주 내국인과 미국거주 해외동포 기독 교인을 중심으로, 이기영, 최혜경, 다문화와 평화, 12(1), 107-132, , 2018

      139. 대한민국은 우릴 받아줬지만, 한국인들은 탈북 자를 받아준 적이 없어요: 댓글에 나타난 남한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과 공공PR의 과제, 한국광고홍보학보, 15-3, 김수연, 최윤형, 한국광고 홍보학회, ,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