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래 환경변화 및 청소년정책 전망 연구 I = The Prospect for the Future of Youth Environment Change and Youth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043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2040년까지의 미래 청소년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청소년 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올해 2013년에는 미래 청소년 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보고, 둘째, 내년 2014년에는 올해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청소년정책 비전과 과제를 전망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올해 2013년 1차년도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사회전체적인 수준에서의 환경을 인구구조, 개인의식, 사회관계, 사회인식, 사회구조, 기술환경 차원으로 나눠 6가지 메가트렌드들을 추출하였고, 둘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이 인접한 미시환경을 가족, 또래, 학교, 매체, 진로환경 측면으로 나눠 20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추출하였으며, 셋째, 앞에서 추출한 6가지 메가트렌드들과 20가지 미시환경 트렌드들의 출현가능성과 정책적 중요성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메가트렌드로는 첫째, 인구구조 차원에서 ‘고령화사회와 가족구조의 다양화’, 둘째, 개인의식 차원에서 ‘고립사회와 개인주의의 강화’, 셋째 사회관계 차원에서 ‘감정사회와 현재주의의 강화’, 넷째, 사회인식 차원에서 ‘저신뢰사회와 갈등 증가’, 다섯째, 사회구조 차원에서 ‘양극화사회와 위험 증가’, 여섯째, 기술환경 차원에서 ‘네트워크사회와 위험 증가’를 제시하였다. 미시환경트렌드로는 가족환경 영역에서 ‘가족내 세대간 갈등의 증가’ 등 7가지, 또래환경 영역에서 ‘다문화 또래환경의 증가와 다문화갈등 증가’등 3가지, 학교환경 영역에서 ‘인성과 사회적 역량의 약화’ 등 3가지, 매체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증가’ 등 4가지, 진로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경제적 역량 강화 필요 증대’ 등 3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2040년까지의 미래 청소년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청소년 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올해 2013년에는 미래 청소년 환경...

      이 연구의 목적은 2040년까지의 미래 청소년 환경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청소년 정책 비전과 과제를 제시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올해 2013년에는 미래 청소년 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해보고, 둘째, 내년 2014년에는 올해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청소년정책 비전과 과제를 전망적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올해 2013년 1차년도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사회전체적인 수준에서의 환경을 인구구조, 개인의식, 사회관계, 사회인식, 사회구조, 기술환경 차원으로 나눠 6가지 메가트렌드들을 추출하였고, 둘째,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이 인접한 미시환경을 가족, 또래, 학교, 매체, 진로환경 측면으로 나눠 20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추출하였으며, 셋째, 앞에서 추출한 6가지 메가트렌드들과 20가지 미시환경 트렌드들의 출현가능성과 정책적 중요성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메가트렌드로는 첫째, 인구구조 차원에서 ‘고령화사회와 가족구조의 다양화’, 둘째, 개인의식 차원에서 ‘고립사회와 개인주의의 강화’, 셋째 사회관계 차원에서 ‘감정사회와 현재주의의 강화’, 넷째, 사회인식 차원에서 ‘저신뢰사회와 갈등 증가’, 다섯째, 사회구조 차원에서 ‘양극화사회와 위험 증가’, 여섯째, 기술환경 차원에서 ‘네트워크사회와 위험 증가’를 제시하였다. 미시환경트렌드로는 가족환경 영역에서 ‘가족내 세대간 갈등의 증가’ 등 7가지, 또래환경 영역에서 ‘다문화 또래환경의 증가와 다문화갈등 증가’등 3가지, 학교환경 영역에서 ‘인성과 사회적 역량의 약화’ 등 3가지, 매체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정보통신기술의 이용 증가’ 등 4가지, 진로환경 영역에서 ‘청소년 경제적 역량 강화 필요 증대’ 등 3가지 미시환경트렌드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the environment change of future youths until the year of 2040 and to present the vision and subject for a future youth policy thereby. To achieve this, first, this study projected the environment trend of future youths in 2013, and second, tried to project the vision and subject of a future youth policy for 2014 based on the projection for 2013.
      In the first year study for 2013, first, this study produced six mega-trends of population structure, personal consciousness, social relationship, social structure, and technic environment at the level of the entire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Second, it produced 20 micro-environment trends by dividing the micro-environment of youths into family, peers, school, madia, and course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Third, it finally presented the prospect for the future youth environment trend by surveys on experts about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potential appearance of the six mega-trends and 20 micro-tre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ga-trends, first, presente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tructures of old age society and family on the dimension of population structure, second, the strengthening of isolation society and individualism on the dimension of personal consciousness, third, the strengthening of emotion society and present pursuits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fourth, the increase of low trust society and confliction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cognition, fifth, the increase of bipolar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social structure, and, sixth, the increase of network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technic environment. The micro-trends presented seven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in the family in the area of family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diversified culture and peer environment and of the conflicts between multiple cultures in the area of peer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weakening of personality and social power in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four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by youths in the area of media environment, and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need for the strengthening of youths’ economic power in the area of course environ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the environment change of future youths until the year of 2040 and to present the vision and subject for a future youth policy thereby. To achieve this, first, this study projected the environment trend of fut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ject the environment change of future youths until the year of 2040 and to present the vision and subject for a future youth policy thereby. To achieve this, first, this study projected the environment trend of future youths in 2013, and second, tried to project the vision and subject of a future youth policy for 2014 based on the projection for 2013.
      In the first year study for 2013, first, this study produced six mega-trends of population structure, personal consciousness, social relationship, social structure, and technic environment at the level of the entire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Second, it produced 20 micro-environment trends by dividing the micro-environment of youths into family, peers, school, madia, and course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statistic data. Third, it finally presented the prospect for the future youth environment trend by surveys on experts about the strategic importance and potential appearance of the six mega-trends and 20 micro-tre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ga-trends, first, presente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tructures of old age society and family on the dimension of population structure, second, the strengthening of isolation society and individualism on the dimension of personal consciousness, third, the strengthening of emotion society and present pursuits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lationship, fourth, the increase of low trust society and confliction on the dimension of social recognition, fifth, the increase of bipolar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social structure, and, sixth, the increase of network society and risk on the dimension of technic environment. The micro-trends presented seven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in the family in the area of family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diversified culture and peer environment and of the conflicts between multiple cultures in the area of peer environment, three trends such as the weakening of personality and social power in the area of school environment, four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by youths in the area of media environment, and three trend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need for the strengthening of youths’ economic power in the area of course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발간사]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목차]
      • [표지]
      • [발간사]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제1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 연구내용
      • 3. 연구방법
      •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논의]
      • 1. 관련 주요 선행연구
      • 2. 이론적 논의
      • [제3장.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
      • 1. 메가트렌드
      • 2. 미시환경 트렌드
      • [제4장.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에 대한 전문가 조사]
      • 1.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의 출현가능성
      • 2. 미래 청소년환경 트렌드의 정책적 중요성
      • [제5장. 결론]
      • 1. 연구의 요약
      • 2. 정책적 함의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