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 The Grammatical Status of the Particle eui in Korean and its Semantic 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33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ts a question to the particle ``eui`` as a genitive case marker.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particle ``eui`` can be defined as a ``possessive determiner(=소유/연결 한정조사 in Korean)``.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eui`` makes us doubt whether it is really a case marker or not. Second, the ``possession relation`` in Korean is expressed generally by means of juxtaposition, that is to say, it is syntactically realized by word order <N1+N2>. Third, the presence of the particle ``eui`` in the construction <N1-eui N2>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N1, while the definite article ``le`` plays the role of determination in its corresponding construction in French ``N2 de N1``. For instance, compare the pairs, ``chien du berger`` : ``chien de berger`` and ``yangchigieui gae 양치기의 개`` : ``yangchigi gae 양치기 개``. Fourth, in terms of the parallelism between the particle ``eui`` and the determinative endings ``(eu)n, (eu)l`` and the fact that determinative endings can function as nominalizer, we can suppose that the construction ``X-eui`` can function by itself as a NP(=possessive pronoun). The hypothesis can be supported by synchronic or/and diachronic data,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data, and the comparison with the ``possessive article`` in Rumanian.
      번역하기

      This paper puts a question to the particle ``eui`` as a genitive case marker.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particle ``eui`` can be defined as a ``possessive determiner(=소유/연결 한정조사 in Korean)``. Arguments are as follows: Fi...

      This paper puts a question to the particle ``eui`` as a genitive case marker.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particle ``eui`` can be defined as a ``possessive determiner(=소유/연결 한정조사 in Korean)``.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 ``eui`` makes us doubt whether it is really a case marker or not. Second, the ``possession relation`` in Korean is expressed generally by means of juxtaposition, that is to say, it is syntactically realized by word order <N1+N2>. Third, the presence of the particle ``eui`` in the construction <N1-eui N2>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N1, while the definite article ``le`` plays the role of determination in its corresponding construction in French ``N2 de N1``. For instance, compare the pairs, ``chien du berger`` : ``chien de berger`` and ``yangchigieui gae 양치기의 개`` : ``yangchigi gae 양치기 개``. Fourth, in terms of the parallelism between the particle ``eui`` and the determinative endings ``(eu)n, (eu)l`` and the fact that determinative endings can function as nominalizer, we can suppose that the construction ``X-eui`` can function by itself as a NP(=possessive pronoun). The hypothesis can be supported by synchronic or/and diachronic data, the comparison with Japanese data, and the comparison with the ``possessive article`` in Rumani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1982

      2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2002

      3 "현대 국어문법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4 "현대 국어 속격 조사 {의}의 통사적 의미기능 고찰" 2002

      5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6 "한국어의 명사 확장범주" 31 (31): 657-684, 2006

      7 "한국어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2003

      8 "한국어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정체성: 기능동사 옹호론" 132 : 55-81, 2006

      9 "존재 전제와 속격 표지 {의} 언어와 언어학" 61-78, 1981

      10 "석독구결의 ‘(ㅅ)’에 대하여" 2 (2): 307-321, 2000

      1 "현대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1982

      2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2002

      3 "현대 국어문법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4 "현대 국어 속격 조사 {의}의 통사적 의미기능 고찰" 2002

      5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6 "한국어의 명사 확장범주" 31 (31): 657-684, 2006

      7 "한국어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2003

      8 "한국어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정체성: 기능동사 옹호론" 132 : 55-81, 2006

      9 "존재 전제와 속격 표지 {의} 언어와 언어학" 61-78, 1981

      10 "석독구결의 ‘(ㅅ)’에 대하여" 2 (2): 307-321, 2000

      11 "불완전계열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87-109, 1994

      12 "복합명사의 내적 구성에 대한 연구 : 세종전자사전의 목록과 선정기준을 둘러싸고" (3) : 105-128, 2004

      13 "명사절과 관형사절" 태학사 491-516, 1998

      14 "동명사 어미의 역사적 변화" 215-252, 1995

      15 "국어학 -어제와 오늘-" 샘문화사 1983

      16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1994

      17 "관형격조사 ‘의'의 통어적 의미 분석" 경진문화사 2007

      18 "고대 국어 문법" 국립국어연구원 121-205, 1998

      19 "격과 격표지" 도서출판 월인 1998

      20 "國語史를 위한 口訣 硏究" 태학사 1999

      21 "國語 助辭에 대한 硏究" 1977

      22 "主語的 屬格에 대한 再論" 8 (8): 1-27, 2006

      23 "‘의’의 실현양상에 대한 일고찰" 1091-1113, 2002

      24 "‘-요’ 쓰임의 구조와 기능 문중 ‘-요’의 큰 성분 가르기 및 디딤말 기능을 중심으로" 16 332-2 361, 1991

      25 "{-의}의 의미 문법연구" 161-228, 1984

      26 "{-의}의 의미" 1981

      27 "Article and Noun in English" 1972

      28 "15세기 국어 속격의 연구 국어연구" 1977

      29 "-l 動名詞의 統辭的 機能과 發達에 대하여 국어연구"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