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자유화가 진전될수록 환율, 금리, 주가, 국제자본이동간의 상호연계성 정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발생 이후에는 국제자본이동이 주가와 금리 및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703694
1998
Korean
323.000
학술저널
61-88(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본자유화가 진전될수록 환율, 금리, 주가, 국제자본이동간의 상호연계성 정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발생 이후에는 국제자본이동이 주가와 금리 및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
자본자유화가 진전될수록 환율, 금리, 주가, 국제자본이동간의 상호연계성 정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외환위기발생 이후에는 국제자본이동이 주가와 금리 및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본유출입, 환율, 금리, 주가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이들의 움직임에 있어서 그 변동성을 조건부이분산으로 추정한 후 변동성과 변화율간의 상호연관성을 찾아보는 데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환율과 주가가 연동되어 움직이고 있으며 그 기본원인은 금리에서 찾을 수 있다. 즉, 금리와 주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며, 금리가 안정적일 때 주가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환율이다. 환율이 떨어질 때는 주가가 오르고 환율이 오를 때는 주가가 내린다. 원화가치가 높아질 때 주가가 상승하는 이유는 원화가치의 안정으로 인해 우리나라 투자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린 외국인들이 주식시장에 적극 참여하기 때문이며 또한 외국자본이 환차익과 주식투자이익을 동시에 노린다는 점이다. 원화가치가 계속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외국인주식 투자들은 원화를 사들이고 이 원화로 주식투자를 하게된다. IMF체제이후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한마디로 '외국인이 주도하는 장'이 됐으며, 외국인 주식 보유한도가 97년말 이후대폭 확대되어 외국인 주식투자의 충격에 대해서 환율, 금리, 주가의 효과는 장기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